산과바다
제4편 離婁 下(이루 하)
24. 逢蒙學射於羿(방몽학사어예)
逄蒙(방몽)이 : 방몽이
學射於羿(학사어예)하여 : 활쏘기를 후예에게 배워서
盡羿之道(진예지도)하고 : 후예의 방법을 다 습득하고
思天下(사천하)에 : 생각하기를, 천하에
惟羿爲愈己(유예위유기)라하여 : 후예만이 자기보다 낫다 해서
於是(어시)에 : 이에
殺羿(살예)한대 : 후예를 죽였는데
孟子曰是亦羿有罪焉(맹자왈시역예유죄언)이니라 : 맹자가 말씀하시기를, 여기에 대해서는 후예도 죄가 있는 것이다.
公明儀曰宜若無罪焉(공명의왈의야무죄언)이라하나 : 송명의가 말하기를, 제 생각에는 죄가 없는 것 같습니다
曰薄平云爾(왈박평운이)언정 : 맹자 말씀하시기를, 과실이 작을지언정
惡得無罪(악득무죄)리오 : 어떻게 과실이 없다고 말하겠는가?
鄭人(정인)이 : 정나라에서
使子濯孺子侵衛(사자탁유자침위)어늘 : 자탁유자로 하여금 위를 공격하더니
衛使庾公之斯(위사유공지사)로 : 위에서는 유공지사로 하여금
追之(추지)러니 : 자탁유자를 추격하게 하였는데
子濯孺子曰今日(자탁유자왈금일)에 : 자탁유자가 말하기를, 오늘날
我疾作(아질작)이라 : 나는 병이 났기 때문에
不可以執弓(불가이집궁)이로소니 : 활을 쏠 수 없으니
吾死矣夫(오사의부)인저하고 : 나는 죽게 되었다 하고
問其僕曰追我者誰也(문기복왈추아자수야)오 : 그 마부에게 묻기를, 도대체 나를 추격하는 자가 누구인가?
其僕曰庾公之斯也(기복왈유공지사야)로소이다 : 그 마부가 말하기를, 유공지사라는 사람입니다.
曰吾生矣(왈오생의)로다 : 유자가 말하기를, 그렇다면 내가 살았다.
其僕曰庾公之斯(기복왈유공지사)는 : 그래서 그 마부가 말하기를, 유공지사는
衛之善射者也(위지선사자야)어늘 : 위나라의 활을 잘 쏘는 사람인데
夫子曰吾生(부자왈오생)은 : 부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내가 살았다 하는 것은
何謂也(하위야)잇고 : 무슨 말씀이십니까?
曰庾公之斯(왈유공지사)는 : 유자가 말하기를, 유공지사는
學射於尹公之他(학사어윤공지타)하고 : 윤공타에게 활쏘기를 배웠고
尹公之他(윤공지타)는 : 윤공타는
學射於我(학사어아)하니 : 나에게 활쏘기를 배웠는데
夫尹公之他(부윤공지타)는 : 윤공타라는 사람은
端人也(단인야)라 : 단정한 사람이다.
其取友必端矣(기취우필단의)리라 : 그 벗을 취택하는 것이 틀림없이 단정할 터이라 하더니
庾公之斯至曰夫子(유공지사지왈부자)는 : 유공지사가 다가와서 말하기를, 선생께서는
何爲不執弓(하위불집궁)고 : 왜 활을 잡지 아니하십니까?
曰今日(왈금일)에 : 유자가 대답하기를 오늘
我疾作(아질작)이라 : 나는 병이 났기 때문에
不可以執弓(부가이집궁)이로라 : 활을 쏠 수 없노라.
曰小人(왈소인)은 : 유공사가 말하기를, 저는
學射於尹公之他(학사어윤공지타)하고 : 윤공타에게 활쏘기를 배웠고
尹公之他(윤공지타)는 : 윤공지타는
學射於夫子(학사어부자)하니 : 선생께 활쏘기를 배웠으니
我不忍以夫子之道(아부인이부자지도)로 : 저는 선생님의 기술을 가지고
反害夫子(반해부자)하노라 : 도리어 선생님을 해칠 수 없습니다.
雖然(수연)이나 : 그러나
今日之事(금일지사)은 : 오늘의 일은
君事也(군사야)라 : 임금의 명령이라
我不敢廢(아부감폐)라하고 : 제가 감히 그만두어 버릴 수도 없습니다 하고
抽矢扣輪(추시구륜)하여 : 화살을 뽑아서 수레바퀴에 두들겨
去其金(거기금)하고 : 그 쇠를 뽑아버리고
發乘矢而後反(발승시이후반)하니라 : 화살 네 대를 쏜 후에 돌아갔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26. 所惡於智者(소오어지자) (0) | 2016.02.24 |
---|---|
孟子(맹자) 25. 西子蒙不潔(서자몽불결) (0) | 2016.02.24 |
孟子(맹자) 23. 取傷廉(취상렴) (0) | 2016.02.24 |
孟子(맹자) 22. 君子之擇(군자지택) (0) | 2016.02.24 |
孟子(맹자) 21. 王者之迹熄(왕자지적식) (0) | 2016.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