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四書/孟子

孟子(맹자) 18. 古者易子而敎(고자역자이교)

by 산산바다 2016. 2. 23.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4 離婁 上(이루 상)

 

18. 古者易子而敎(고자역자이교)

 

公孫丑曰君子之不敎子(공손축왈군자지불교자): 공손추가 말하기를, 군자가 자기 자식을 가르치지 않는 것은

何也(하야)잇고 : 무슨 까닭입니까?

孟子曰勢不行也(맹자왈세불행야)니라 : 맹자가 말씀하시기를 형편상 시행하지 않는 것 이니라

敎者(교자): 가르치는 사람은

必以正(필이정)이니 : 반드시 바른 길로써 할 것이니

以正不行(이정불행)이어든 : 바른 길을 가르쳐서 행하지 아니하면

繼之以怒(계지이노)하고 : 노함으로써 계속할 것이며

繼之以怒(계지이노): 성내는 것으로 이어가게 되면

則反夷矣(칙반이의): 도리어 해롭느니라.

夫子敎我以正(부자교아이정)하시되 : 선생님께선 나를 바른 길로 가르쳐 주시지만

夫子(부자): 선생님께서도

未出於正也(미출어정야)라하면 : 바른 길을 행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냐 한다면

則是父子相夷也(칙시부자상이야): 이것은 부모와 자식이 서로 손상하는 것이니

父子相夷(부자상이): 아비와 자식 사이에 서로 손상하게 되면

則惡矣(칙악의)니라 : 좋지 못하느니라,

古者(고자): 옛날에는

易子而敎之(역자이교지)하니라 : 자식을 바꾸어서 가르쳤느니라.

父子之間(부자지간): 아비와 자식 사이에는

不責善(불책선)이니 : 선으로 책하지 아니하나니

責善則離(책선칙리)하나니 : 선을 책하게 되면 마음이 멀어지게 되며

離則不祥(리칙불상): 마음이 멀어지면 상스럽지 못한 일이

莫大焉(막대언)이니라 : 이보다 더한 것이 없느니라.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