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3편 滕文公 下(등문공 하)
7. 不見諸侯何意(불견제후하의)
公孫丑問曰不見諸侯何意(공손축문왈불견제후하의)잇고 : 공손추가 물어 말하기를, 제후를 만나 보지 않으시는 것이 무슨 취지입니까?
孟子曰古者(맹자왈고자)에 : 맹자가 말하기를, 옛날에
不爲臣(불위신)하여는 : 신하가 되지 않으면
不見(불견)하더니라 : 만나 보지 않는 것이었다.
段干木(단간목)은 : 단우목은
踰垣而辟之(유원이벽지)하고 : 담장을 넘어서 피해 달아나고
泄柳(설류)는 : 설류는
閉門而不內(폐문이불내)하니 : 문을 닫아걸어 들이지 아니하였으니
是皆已甚(시개이심)하니 : 이것들은 모두 너무 심했다.
迫(박)이어든 : 저쪽에서 다가오면
斯可以見矣(사가이견의)니라 : 만나 볼만한 것이니라.
陽貨欲見孔子而惡無禮(양화욕견공자이오무례)하여 : 양화가 공자를 면회하고자 하였으나 적당한 예법이 없는 것을 꺼려
大夫有賜於士(대부유사어사)이어든 : 대부가 사에게 선물할 경우에
不得受於其家(부득수어기가)면 : 자기 집에서 직접 받지 못한 경우에는
則往拜其門(칙왕배기문)일새 : 대부의 집에 가서 그 문간에서 답례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陽貨矙孔子之亡也(양화감공자지망야)하여 : 양화는 공자가 출타하고 없는 틈을 엿보아
而饋孔子蒸豚(이궤공자증돈)한대 : 공자에게 삶은 돼지고기를 선사하였는데
孔子亦矙其亡也(공자역감기망야)하여 : 공자도 또한 양화가 출타한 틈을 엿보아서
而往拜之(이왕배지)하시니 : 그 문간에 가서 답례하시니
當是時(당시시)하여 : 만일 이때를 당하여
陽貨先(양화선)이면 : 양화가 먼저 찾아뵈었으면
豈得不見(기득불견)이시리오 : 어떻게 면회하지 않을 수 있었겠는가?
曾子曰脅肩諂笑(증자왈협견첨소)는 : 증자가 말하기를, 어깨를 으쓱하며 아첨하여 웃는 것이
病于夏畦(병우하휴)라하며 : 여름에 밭에 김매는 것보다 괴롭다 하고
子路曰未同而言(자로왈미동이언)을 : 자로는 말하기를, 찬동하지 않으면서 억지로 말하는 것은
觀其色(관기색)컨대 : 그 사람의 얼굴을 보면
赧赧然(난난연)이라 : 부끄러운 빛이 나타나니
非由之所知也(비유지소지야)라하니 : 이런 짓은 나의 알 바가 못 된다 하니
由是觀之(유시관지)면 : 이 증자와 자로의 말로 비추어서 본다면
則君子之所養(칙군자지소양)을 : 군자들이 수양하는 데 힘쓰는 것을
可知已矣(가지이의)니라 : 알 만하니라.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9. 夫子好辯(부자호변) (0) | 2016.02.23 |
---|---|
孟子(맹자) 8. 月攘一鷄(월양일계) (0) | 2016.02.23 |
孟子(맹자) 6. 戴不勝(대불승) (0) | 2016.02.23 |
孟子(맹자) 5. 宋小國也(송소국야) (0) | 2016.02.23 |
孟子(맹자) 4. 食志乎食功乎(식지호식공호) (0) | 2016.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