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1편 梁惠王 下(양혜왕 하)
6. 王顧左右(왕고좌우)
孟子謂齊宣王曰王之臣(맹자위제선왕왈왕지신)이 : 맹자가 제선왕 에게 일러 말하기를 왕의 신하로서
有託其妻子於其友而之(유탁기처자어기우이지)하고 : 자기의 아내와 자식을 친구에게 부탁하고
楚遊者比其反也(초유자비기반야)하야 : 초나라에 가서 여행하던 자가 있어서 그 돌아옴에 미쳐서
則凍餒其妻子(칙동뇌기처자)어든 : 자기의 처자가 동상을 입고 굶주렸으면
則如之何(칙여지하)잇고 : 어떻게 하겠습니까?
王曰棄之(왕왈기지)니이다 : 왕이 말하기를, 버릴 것입니다.
曰士師不能治士(왈사사불능치사)어든 : 맹자가 말하기를 옥관이 사를 잘 다스리지 못하면
則如之何(칙여지하)잇고 : 어떻게 하겠습니까
王曰已之(왕왈이지)니이다 : 왕이 말하기를 파면시킬 것입니다.
曰四境之內不治(왈사경지내불치)어든 : 맹자가 말하기를, 나라 안이 잘 다스려지지 못하면
則如之何(칙여지하)잇고 : 어떻게 하겠습니까
王顧左右而言他(왕고좌우이언타)하시다 : 왕은 좌우를 돌아다보며 딴 일을 말하였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8. 聞誅一夫(문주일부) (0) | 2016.02.22 |
---|---|
孟子(맹자) 7. 所謂故國(소위고국) (0) | 2016.02.22 |
孟子(맹자) 5. 好貨好色(호화호색) (0) | 2016.02.22 |
孟子(맹자) 4. 樂以天下(낙이천하) (0) | 2016.02.22 |
孟子(맹자) 梁惠王 下(양혜왕 하) 3. 寡人好勇(과인호용) (0) | 2016.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