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1편 梁惠王 下(양혜왕 하)
8. 聞誅一夫(문주일부)
齊宣王(제선왕)이 : 제선왕이
問曰湯放桀(문왈탕방걸)하시고 : 물어 말하기를 탕이 걸을 제거하고
武王伐紂(무왕벌주)라하니 : 무왕은 주를 정벌하였다 하니
有諸(유제)잇가 : 그런 일이 있습니까?
孟子對曰於傳(맹자대왈어전)에 : 맹자가 대답해 말하기를 기록에
有之(유지)하니이다 : 있습니다.
曰臣弑其君(왈신시기군)이 : 왕이 말하기를 신하로서 임금을 시해하는 것이
可乎(가호)잇가 : 가합니까?
曰賊仁者(왈적인자)를 : 맹자가 답해 말하기를, 인을 해치는 사람을
謂之賊(위지적)이요 : 적이라 이르고
賊義者를謂之殘(賊義者를위지잔)이요 : 의를 해치는 사람을 잔이라 이르며
殘賊之人(잔적지인)을 : 잔적하는 사람을
謂之一夫(위지일부)니 : 한 지아비라 이르나니
聞誅一夫紂矣(문주일부주의)요 : 한 지아비인 주를 처형했다는 말은 들었지만
未聞弑君也(미문시군야)니이다 : 임금을 시해했다는 말은 듣지 못했습니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10. 避水火也(피수화야) (0) | 2016.02.22 |
---|---|
孟子(맹자) 9. 爲巨室(위거실) (0) | 2016.02.22 |
孟子(맹자) 7. 所謂故國(소위고국) (0) | 2016.02.22 |
孟子(맹자) 6. 王顧左右(왕고좌우) (0) | 2016.02.22 |
孟子(맹자) 5. 好貨好色(호화호색) (0) | 2016.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