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中庸(중용) 제13장
子曰(자왈)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道不遠人(도불원인)하니 : 도는 사람에게서 멀지 아니하니
人之爲道而遠人(인지위도이원인)이면 : 사람이 도를 행하되 사람을 멀리 한다면
不可以爲道(불가이위도)니라 : 도가 될 수 없는 것이다.
詩云伐柯伐柯(시운벌가벌가)여 : 시경에 말하기를, “도끼자루를 찍어내나니 도끼자루를 찍어내나니,
其則不遠(기칙불원)이라하니 : 그 법은 멀지 않도다.” 고 하셨다.
執柯以伐柯(집가이벌가)하되 : 도끼 자루를 잡고서 도끼 자루를 찍어내되
睨而視之(예이시지)하고 : 대중하여 보고
猶以爲遠(유이위원)하나니 : 오히려 멀다고 생각한다.
故(고)로 : 그러므로
君子(군자)는 : 군자는
以人治人(이인치인)하다가 : 사람으로서 사람을 다스리다가
改而止(개이지)니라 : 고쳐져야 그만둔다.
忠恕違道不遠(충서위도불원)하니 : 충과 서는 도에서 어긋남이 멀지 아니하니,
施諸己而不願(시제기이불원)을 : 자기에게 베풀어짐을 원하지 않는 것을
亦勿施於人(역물시어인)이니라 : 또한 남에게 베풀지 말아야 한다.
君子之道四(군자지도사)에 : 군자의 도가 넷인데
丘未能一焉(구미능일언)이로니 : 구는 하나도 다하지 못하였다
所求乎子(소구호자)로 : 자식에게 요구하는 바로써
以事父(이사부)를 : 아버지를 섬기는 일을
未能也(미능야)하며 : 아직 다하지 못하였다.
所求乎臣(소구호신)으로 : 신하에게 요구하는 바로서
以事君(이사군)을 : 임금 섬김을
未能也(미능야)하며 : 아직 다하지 못하였다.
所求乎弟(소구호제)로 : 아우에게 요구하는 바로써
以事兄(이사형)을 : 형님 섬김을
未能也(미능야)하며 : 아직 다하지 못하였다.
所求乎朋友(소구호붕우)로 : 친구에게 요구하는 바를
先施之(선시지)를 : 먼저 베풀어 주는 일을
未能也(미능야)로니 : 아직 다하지 못하였다.
庸德之行(용덕지행)하며 : 용덕을 행하며
庸言之謹(용언지근)하여 : 용언을 삼가
有所不足(유소불족)이어든 : 부족한 바가 있으면
不敢不勉(불감불면)하며 : 감히 힘쓰지 아니치 못하며
有餘(유여)어든 : 남음이 있으면
不敢盡(불감진)하여 : 감히 다해버리지 않아서
言顧行(언고행)하며 : 말은 행동을 돌아보고
行顧言(행고언)이니 : 행동은 말을 돌아보는 것이니
君子胡不慥慥爾(군자호불조조이)리오 : 군자가 어찌 부지런히 힘쓰지 않겠는가?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中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庸(중용) 제15~16장 (0) | 2016.02.21 |
---|---|
中庸(중용) 제14장 (0) | 2016.02.21 |
中庸(중용) 제12장 (0) | 2016.02.21 |
中庸(중용) 제11장 (0) | 2016.02.21 |
中庸(중용) 제10장 (0) | 2016.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