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자주색172

누운주름잎 Miquel's mazus 산과바다 누운주름잎 Miquel's mazus 2018. 4. 15. 담음 잎에 주름이 잡혀있어서 주름잎이라 하고 줄기가 누워서 기는 가지가 있어서 누운주름잎이라 하는군요. 누운주름잎은 꽃피는 기간이 짧은데 주름잎은 줄기가 서서 자라고 연중 꽃이 핀다는군요. 누운주름잎 Mazus miquelii Makino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주름잎과(또는 현삼과) >주름잎속(Mazus) 여러해살이풀로 누운담배풀이라고도 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논두렁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꽃이 진 다음 밑에서 기는줄기가 사방으로 뻗어 번식한다. * 잎이 군생한다. 잎은 거꿀달걀모양, 타원형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엽병과 더불어 길이 4~7cm, 나비 1~1.5cm로서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 2018. 4. 17.
지면패랭이꽃 Moss Phlox 산과바다 지면패랭이꽃 Moss Phlox 2018. 4. 15. 담음 꽃잔디라고도 하며 야산 언덕에 식재된 지면패랭이꽃이 붉은색, 분홍색, 자주색, 흰색으로 예쁘게 피어있군요. 지면패랭이꽃 Phlox subulat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가지목(통꽃식물) >꽃고비과 >풀협죽도속(Phlox) 멀리서 보기에 잔디 같지만 아름다운 꽃이 피기 때문에 꽃잔디 라고도 하며, 꽃이 패랭이꽃과 비슷하고 지면으로 퍼지기 때문에 지면패랭이꽃이라고 한다. 높이 10cm이고 잔디처럼 땅을 덮고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며 주로 끝이 뾰족한 바소모양이고 가장자리가 꺼칠하고 잎자루가 없다. 꽃은 4~9월에 피고 붉은색, 자주색, 분홍색, 흰색 등으로 줄기 윗부분의 갈라진 가지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 2018. 4. 15.
자주개자리 Alfalfa 산과바다 자주개자리 Alfalfa 2017. 9. 26. 담음 열매인 협과(莢果 : 꼬투리로 맺히는 열매)가 나선상으로 2-3회 말려있음이 특이하군요. * 개자리속(Medicago)의 개자리, 좀개자리, 잔개자리와 비슷하나 전체에 털이 많고 5~6월에 황색의 꽃이 피는데 비해 자주개자리는 7~9월에 붉은색 계통의 보라.. 2017. 9. 26.
배초향 排草香 Agastache rugosa 산과바다 배초향 排草香 Agastache rugosa 2017. 9. 13. 담음 꽃이 비슷한 꽃향유는 한쪽으로만 꽃이 핌이 배초향과 다르고 줄기가 네모지고 성숙한 배초향을 곽향이라고 하는군요. 배초향 Agastache rugosa (Fisch. &Mey.) Kuntz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꿀풀과 >배초향속(Agastache) 배초향속 식물로 여러해살이풀이다. 일명 방아풀 방애잎 또는 깨나물이라고도 하며 전체에서 강한 향기를 풍기는 방향성 식물이다. 양지쪽 자갈밭에서 자란다. 높이 40∼10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네모진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5∼10cm, 나비 3∼7cm이다.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길이 1∼4cm의 긴 잎자루가 있.. 2017. 9. 14.
송엽국(松葉菊) Lampranthus 산과바다 송엽국(松葉菊) Lampranthus 2017. 9. 9. 담음 * 시절 뜨기인가? 4~6월에 핀다는 꽃이 9월인데도 보이는군요. * 이름은 소나무 잎과 같은 잎이 달리는 국화라는 뜻에서 송엽국(松葉菊)이라 한다는군요.  * 흔히 속명인 ‘램프란터스’라고 부른다.       송엽국(松葉菊) Lampranthus spectabilis (haw.) N. E. B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석죽목 >석류풀과 >송엽국속(Lampranthus) 사철채송화(松葉菊)라고도 하며 높이 약 20cm이다. 줄기는 밑 부분이 나무처럼 단단하고 옆으로 벋으면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잎은 마주나고 두꺼운 육질이며 원통 모양이고 3개의 능선이 있다. 꽃은 4∼6월에 붉은빛을 띤 자주색, 붉은색, 흰색 등으로.. 2017. 9. 11.
미스김라일락 Miss Kim Lilac 산과바다 미스김라일락 Miss Kim Lilac 2017. 5. 2. 담음 한국의 고유품종이었던 털개회나무(수수꽃다리)가 미스킴라일락으로 지켜주지 못한 식물자원 털개회나무(정향나무)는 수수 모양의 꽃이 달려 ‘수수꽃다리’로 불리는 한국 자생식물이며, 자주색 · 분홍색 · 흰색 꽃이 있다. 미스김라일락으로 개량되어 다시 고향으로 돌아온 우리의 잃어버린 자원식물이다. 미스김라일락 Elwin M. Mead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시물강 >현삼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Syringa) 한국의 고유품종이었던 털개회나무(수수꽃다리)가 미스킴라일락으로 지켜주지 못한 식물자원으로 털개회나무(정향나무)는 수수 모양의 꽃이 달려 ‘수수꽃다리’로 불리는 한국 자생식물이며, 자주색 · 분홍색 · 흰색 꽃이 있다. 미스김라.. 2017. 5. 3.
긴병꽃풀(=금전초 Glechoma hederacea) 산과바다 긴병꽃풀(=금전초 Glechoma hederacea) 2017. 5. 2. 담음 긴병꽃풀의 화관은 입술꼴로 같은 꿀풀과인 조개나물 자란초 금창초의 화관과 비슷하게 입술꽃잎이 갈라져 있군요. 입술모양의 꽃이 피며 윗입술꽃잎은 오목하고 끝이 바늘 모양이며 아랫입술꽃잎은 3갈래로 갈라지며 안쪽에 수.. 2017. 5. 3.
지면패랭이꽃 Moss Phlox 산과바다 지면패랭이꽃 Moss Phlox 2017. 4. 12. 담음 두꺼비생태공원(청주) 참개구리못 언덕에 지면패랭이꽃이 붉은색 분홍색 자주색 흰색 등으로 예쁘게 피어있군요. 지면패랭이꽃 Phlox subulat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가지목(통꽃식물) >꽃고비과 >풀협죽도속(Phlox) 멀리서 보기에 잔디 같지만 아름다운 꽃이 피기 때문에 꽃잔디 라고도 하며, 꽃이 패랭이꽃과 비슷하고 지면으로 퍼지기 때문에 지면패랭이꽃이라고 한다. 높이 10cm이고 잔디처럼 땅을 덮고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며 주로 끝이 뾰족한 바소모양이고 가장자리가 꺼칠하고 잎자루가 없다. 꽃은 4~9월에 피고 붉은색, 자주색, 분홍색, 흰색 등으로 줄기 윗부분의 갈라진 가지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 2017. 4. 12.
민자주방망이버섯 Lepista nuda 산과바다 민자주방망이버섯 Lepista nuda 2016. 10. 17. 담음 활엽수림 부식된 낙엽위에서 단생하고 있음을 담았는데 자주방망이버섯보다 진한 자주색인 점이 다르군요. 민자주방망이버섯 Lepista nuda (Bull.:Fr.) Cooke 균계 >진정담자균강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자주방망이버섯속 균모의.. 2016. 10. 17.
자주졸각버섯 Laccaria amethystea 산과바다 자주졸각버섯 Laccaria amethystea 2016. 10. 10. 담음 야산 등산로 양지바른 잣나무숲길 땅에서 발생함을 담았는데 전체가 자주색으로 졸각버섯과 쉽게 구별되는군요. 자주졸각버섯 Laccaria amethystea (Bull.) Murr. 균계 >진정담자균강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졸각버섯속 균모의 지.. 2016. 10. 10.
엉겅퀴 Korean thistle 산과바다 엉겅퀴 Korean thistle2016. 6. 15. 담음백색 깃털에 씨가 달려 떠날 준비를 하고있군요.                   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Regel) Kita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엉겅퀴속(Cirsium) 줄기는 여러해살이로 바로 서서 자라며, 전체에 거미줄 같은 흰 털이 많다.잎은 어긋나며(互生), 우상(羽狀)으로 양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결각상(缺刻狀) 톱니가 있으며, 날카로운 가시도 있다. 잎의 아래 기부는 줄기를 살짝 감싸 안는다.꽃은 6~8월에 적색 또는 자주색으로 피며, 가지와 원줄기 끝에 1개씩 두화(頭花)가 달리며, 모두 관상화(冠狀花)다. 암술이 성장하기 전에.. 2016. 6. 15.
좀작살나무 Purple Beauty-berry 산과바다  좀작살나무 Purple Beauty-berry  2016. 6. 13. 담음 * 잎 가장자리의 밑 부분에서 1/3부터 톱니가 있음이 전체에 톱니가 있는 작살나무와 구분이 되는군요.                  좀작살나무 Callicarpa dichotoma (Lour.) K. Koch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마편초과 >작살나무속(Callicarpa) 산기슭에서 자라며 키는 1.5 미터에 이른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어린 가지는 네모지고 암자색 별 모양 털이 나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3~8cm, 너비 1.5~3cm로 길둥근꼴 또는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작살나무와 달리 가장자리의 끝부분 .. 2016. 6. 13.
감자꽃 Potato Flower 산과바다 감자꽃 Potato Flower 2016. 6. 3. 담음 * 감자꽃을 담다보니 몇 해 전에 텃밭에 감자를 가꾸어 6월 말경 외손자와 감자 캐던 생각이 나는군요. * 감자꽃을 보니 권태응(權泰應) 시인의 동요 감자꽃 생각나는군요.  감자꽃 / 권태응(權泰應) 시인     자주 꽃 핀 건 자주 감자    파 보나 마나 자주 감자.     하얀 꽃 핀 건 하얀 감자    파 보나 마나 하얀 감자. * 동요 「감자꽃」은 권태응(權泰應) 시인의 토속적 정서와 정형적 형식미가 잘 드러나는 대표작이자, 가장 많이 불리는 노래이기도 하다. 동요 「감자꽃」은 생명현상의 섭리를 식물을 대상으로 노래한 동요이다. 전해지는 말로는 일제강점기 일본에 의해 강요된 ‘창씨개명’을 반대하는 은유로 씌어졌다고 한다. 201.. 2016. 6. 4.
송엽국(松葉菊) Lampranthus 산과바다송엽국(松葉菊) Lampranthus2016. 5. 31. 담음이름은 흔히 속명인 람프란서스라고 부르고 사철채송화(松葉菊)라고도 하며 * 소나무잎과 같은 잎이 달리는 국화라는 뜻에서 송엽국(松葉菊)이라 한다는군요.        송엽국(松葉菊) Lampranthus spectabilis (haw.) N. E. B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석죽목 >석류풀과 >송엽국속(Lampranthus) 사철채송화(松葉菊)라고도 하며 높이 약 20cm이다. 줄기는 밑 부분이 나무처럼 단단하고 옆으로 벋으면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잎은 마주나고 두꺼운 육질이며 원통 모양이고 3개의 능선이 있다. 꽃은 4∼6월에 붉은빛을 띤 자주색, 붉은색, 흰색 등으로 무리지어 핀다. 국화같이 생기고 윤이 나며 지름 .. 2016. 5. 31.
갈퀴나물 Vicia amoena 산과바다 갈퀴나물 Vicia amoena 2016. 5. 19. 담음 흰색의 꽃봉오리가 열리면서 자주색으로 되는군요. 대청호 오백리길 13구간 강변길에서 담음 갈퀴나물 Vicia amoena Fisch. ex DC.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나비나물속(Vicia) 산야의 습윤한 풀밭, 관목림에서 자란다. 줄기는 덩굴성으로 길이 80~180cm이며 능선이 있어 네모지고 잎 뒷면과 더불어 잔털이 있거나 없다. 뿌리는 땅속줄기가 뻗으면서 번식한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10~16개의 소엽으로 된 짝수깃모양겹잎이며 극히 짧은 엽병이 있고 엽축끝에는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15~30mm, 폭 4~10mm로서 끝에 돌기가 약.. 2016. 5. 20.
호제비꽃 Violaceae 산과바다 호제비꽃 Violaceae 2016. 4. 20. 담음 흔하게 볼 수 있는 제비꽃 같은데 자주색이 진하게 보임이 다른 호제비꽃과 다르게 보이는군요. 호제비꽃 Viola yedoensis Makino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Viola) 전국의 들 양지바른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짧다. 높이 7~15cm이고 줄기는 없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모여 나며, 삼각상 피침형, 길이 3~6cm, 폭 1~2cm이지만 나중에 더 커진다. 잎밑은 심장 모양 또는 자른 모양,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털이 조금 난다. 잎자루는 길이 2~5cm, 꽃이 진 후 더 길어지며, 날개가 없다. 꽃은 3~4월에 피며 자주색으로 끝에 1개씩 달리며 옆으로 향한다.. 2016. 4. 20.
지면패랭이꽃 Moss Phlox 산과바다 지면패랭이꽃 Moss Phlox 2016. 3. 31. 담음 지면패랭이꽃 Phlox subulat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가지목(통꽃식물) >꽃고비과 >풀협죽도속(Phlox) 멀리서 보기에 잔디 같지만 아름다운 꽃이 피기 때문에 꽃잔디 라고도 하며, 꽃이 패랭이꽃과 비슷하고 지면으로 퍼지기 때문에 지면패랭이꽃이라고 한다. 높이 10cm이고 잔디처럼 땅을 덮고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며 주로 끝이 뾰족한 바소모양이고 가장자리가 꺼칠하고 잎자루가 없다. 꽃은 4~9월에 피고 붉은색, 자주색, 분홍색, 흰색 등으로 줄기 윗부분의 갈라진 가지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뾰족하며 5개로 갈라지고 털이 있다. 화관은 5개로 길게 갈라지며 끝부분이 조금 오목하고 수술은 5개이다. .. 2016. 3. 31.
두메애기풀 Polygala sibirica 산과바다 두메애기풀 Polygala sibirica 2015. 6. 6. 담음 애기풀인가 하고 가까이 보니 키가 크고, 잎이 길고, 잎에 붉은 보라빛이 아니고, 4~5월에 꽃이 피는 애기풀과 다르고, 꽃피는 시기가 애기풀보다 늦군요. 아래는 4월에 담은 애기풀이랍니다. 두메애기풀 Polygala sibirica L. 쌍떡잎식물> 무환.. 201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