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전체 글11005

청미래덩굴 Wild Smilax 산과바다 청미래덩굴 Wild Smilax 2012. 7. 15. 담음 청미래덩굴 Smilax china L. 속씨식물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백합과 >청미래덩굴속 백합과(百合科 Liliaceae)에 속하는 덩굴 낙엽관목. 줄기에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다. 윤기가 있는 넓은 타원형의 잎은 길이 3~12㎝, 너비 2~10㎝로 어긋나.. 2012. 7. 16.
참마 Dioscorea japonica Thunb. 산과바다 참마 Dioscorea japonica Thunb. 2012. 7. 15. 담음 참마 Dioscorea japonica Thunb. 외떡잎식물 >백합목 >마과 마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산마 당마 산약이라고도 한다. 원기둥 모양의 육질 뿌리가 있으며, 줄기는 뿌리에서 나와 길이 2m 정도로 뻗고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간다. 잎은 마주나.. 2012. 7. 16.
칡 kudzu vine 산과바다 칡 kudzu vine 2012. 7. 15. 담음 칡 Pueraria lobata (Willd.) Ohwi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칡은 우리나라 전역의 표고가 낮은 산과 들에서 자라는 덩굴성 식물이다. 생육환경은 토양 비옥도가 좋고 반그늘 혹은 양지에서 줄기를 뻗어 가며 자란다. 길이는 약 10m 정도까지.. 2012. 7. 16.
10여년 만에 붕어낚시에 나서본다. 산과바다 10여년 만에 붕어낚시에 나서본다. 2012. 7. 13. 대청호 상류(충북 옥천군) 2.7대 수심 약3m 떡밥+어분+글루텐 아주작은 2봉바늘 조과 참붕어 28cm 1수 뼘치 2수 모래무지 다수 바다낚시 다니다가 야생화 담느라고 주춤 하든 차에 옛날 다니던 낚시터에 가보고 싶어 민물낚시 가방을 뒤적거려 간단한 채비로 대청호 상류를 찾아 5시간 동안 앉아 오랫만에 붕어의 작은 손맛으로 망중한의 즐거움이었다. 옥천 오대리앞 낚싯터 옥천 오대리 건너가는 뱃턱이다. 뱃턱아래 100여m 쯤 돌무더기에서 낚음. 좌우측에 로 보이는데 한가로이 쉬고있군요. 대를 드리우고 한장 담아본다. 상류지역이라 그런가? 물흐름이 있다가 뭠추었다 한다. 2.7대에 수심 약 3m정도 간단한 채비지만 있을건 다있어야 한다. 호.. 2012. 7. 14.
꿩의다리 Thalictrum aquilegiofolium 산과바다 꿩의다리 Thalictrum aquilegiofolium 2012. 7. 8. 담음 바위틈에서 자라서인지 키가 30cm정도로 너무 작아서 다른종일까? 꿩의다리 Thalictrum aquilegifolium L.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풀밭에서 자라며 줄기 속은 비었고, 키는 50~100㎝ 정.. 2012. 7. 12.
석잠풀 Stachys japonica Miq. 산과바다 석잠풀 Stachys japonica Miq. 2012. 7. 11. 담음 석잠풀 Stachys japonica Miq.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꿀풀과 꿀풀과의 다년생초로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산과 들의 습지에 주로 분포한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벋고 흰색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30∼60cm이.. 2012. 7. 12.
미국미역취 Solidago serotina Aiton 산과바다 미국미역취 Solidago serotina Aiton 2012. 7. 11. 담음 미국미역취 Solidago serotina Ait.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줄기는 높이 1~2m 정도로 곧게 서고 위쪽에서만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거나 위쪽에만 있다. 어긋나게 촘촘히 달리는 잎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의 .. 2012. 7. 12.
산꿩의다리 Thalictrum filamentosum Maxim. 산과바다 산꿩의다리 Thalictrum filamentosum Maxim. 2012. 7. 8. 담음 바디칼꿩의다리로 동정하고 싶은데 백두산이 아니어서...... 산꿩의다리 Thalictrum filamentosum Maxim.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과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 약 50cm이다. 뿌리줄기가 짧고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 2012. 7. 11.
꼬리진달래 Manchurian Rhodo-dendron 산과바다 꼬리진달래 Manchurian Rhodo-dendron 2012. 7. 8. 담음 꼬리진달래 Rhododendron micranthu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진달래목> 진달래과 >진달래속(Rhododendron) 참꽃나무겨우살이라고도 부르고 있다. 진달래과(―科 Ericaceae)에 속하는 상록관목. 키는 1~2m 정도이다. 줄기 마디마디에서 가지가 2~3개씩 나와 나무 모양이 반구형(半球形)을 이룬다. 잎은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는 몇 개씩 모여난다. 잎 앞면은 초록색이나 하얀 점들이 있고 뒷면은 갈색의 비늘 모양 털들이 달린다. 꽃은 6~7월에 가지 끝에 총상(總狀)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하얀색의 꽃부리는 깔대기처럼 생겼다. 열매는 9월에 익는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상북도 충청도 강원도에서.. 2012. 7. 10.
돌양지꽃 Korean cinquefoil 산과바다 돌양지꽃 Korean cinquefoil  2012. 7. 8. 조령산 촛대바위 벼랑에서 담음      돌양지꽃 Potentilla dickinsii Franch. & Sav.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양지꽃속(Potentilla) 산지의 햇볕이 잘 들고 건조한 바위틈 또는 배수가 잘되는 척박한 사질토양에 주로 생육한다. 줄기는 높이가 10~20cm이며 전체에 복모가 밀생한다.뿌리의 근경은 굵고 목질이다.잎은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모여나기하며 소엽은 3개(간혹 5개)이고 사각상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2.5~5cm, 폭1.5~3cm로서 뒷면이 분백색이고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탁엽은 피침형이며 예두이다. 줄기잎은 3출 또는 우상으.. 2012. 7. 10.
촛대바위-조령산에 오르다 산과바다 조령산 산행(1025m) 2012. 7. 8. 백두대간에 위치한 조령산은 이화령에서 여러 번 올라 보았는데 안 가본 코스로 오르고 싶어 촛대바위-조령산에 올랐지만 추천하고 싶지 않은 코스다. 너무 힘들고 어려워서......(세월이 지났나?) 충북 괴산 신풍 절골주차장-절골-무덤이정표-촛대바.. 2012. 7. 10.
홀로앉아 외롭네 산과바다 홀로앉아 외롭네 仙界에 들어서니 갈은동문(葛隱洞門) 반겨주고 갈천정(葛天亭) 선비모습 바람결에 스치는데 내님은 보이지 않고 은빛물만 흐르네. 신선이 따로 있나 산과바다 신선되어 강선대(降僊臺) 갈은구곡 자연풍광 즐김인데 내님은 보이지 않고 홀로앉아 외롭네. 옥류.. 2012. 7. 5.
버들명아주 Chenopodium virgatum 산과바다 버들명아주 Chenopodium virgatum Thunb. 2012. 7. 1. 담음 버들명아주 Chenopodium virgatum Thunb.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석죽목 >명아주과 명아줏과에 속한 한해살이풀. 높이 30~60센티미터 정도로 자라며, 잎은 피침형 또는 난형으로 버들잎처럼 생겼으나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 2012. 7. 4.
실새삼 Australian dodder 산과바다 실새삼 Australian dodder  2012. 7. 1. 담음 * 야산 길가 쑥에 기생함을 담았는데 덩굴이 아주 가늘고 꽃의 총상꽃차례가 덩어리처럼 뭉쳐 달림이 새삼과 달라 구분이 되어 실새삼으로 올리는군요.       실새삼 Cuscuta australis R.B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새삼속(Cuscuta) 한해살이 기생식물로 새삼에 비해 줄기가 아주 가늘고, 각처의 들, 밭둑, 콩밭에 나며 주로 콩과(大豆)에 기생한다. 기주는 주로 콩과식물이며 국화과 식물 그리고 버드나무, 찔레나무, 사철나무, 그 밖의 다양한 풀, 나무, 고사리 등 기주도 다양하다.줄기는 길이가 50cm에 달하며 전체에 털이 없고 왼쪽으로 감으면서 뻗으며 황색이고 실 모양으로 기.. 2012. 7. 3.
명아자여뀌 Persicaria nodosa 산과바다 명아자여뀌 Persicaria nodosa 2012. 7. 1. 담음 명아자여뀌 Persicaria nodosa (Pers.) Opiz 쌍떡잎식물 >미디풀목 >마디풀과(Polygonaceae) >여뀌속 잎은 호생하고 타원상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은 쐐기모양이며 엽병은 짧다. 길이 7-20cm, 폭 1.5-5cm로서 엽맥과 가장자.. 2012. 7. 3.
떡쑥 Cudweed 산과바다  떡쑥 Cudweed 2012. 7. 1. 담음            떡쑥 Gnaphalium affine D. Don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떡쑥속(Pseudognaphalium) 괴쑥, 솜쑥, 흰떡쑥이라고도 한다. 들과 밭, 길가, 빈터에서 흔히 자란다. 줄기는 높이 15~40cm이고 전체가 백색 털로 덮여 있어 흰빛이 돌며 곧게 서고 땅 가까이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져 포기를 이룬다.잎은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주걱모양 또는 거꿀피침 모양이며 끝이 둥글거나 뾰족하고 길이 2~6cm, 나비 4~12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 원줄기로 흐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꽃은 5~7월에 피고 원줄기 끝의 편평꽃차례에 쌀알 같은 황색의 꽃이 달리며 .. 2012. 7. 3.
어저귀 China jute 산과바다 어저귀 China jute 2012. 7. 1. 담음 어저귀 Abutilon theophrasti Medicus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아욱목 >아욱과 >어저귀속 높이가 1.5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윤기가 나고 윗부분의 가지는 전체적으로 털이 밀생한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모양이고 잎자루가 길며 잎 뒷면에 털이 밀.. 2012. 7. 2.
모감주나무 Golden rain tree 산과바다 모감주나무 Golden rain tree 2012. 6. 29. 담음 모감주나무 Koelreuteria paniculata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무환자나무목 >무환자나무과 >모감주나무속 무환자나무과(無患子―科 Sapindaceae)에 속하는 꽃피는 교목. pride-of-India, China tree, varnish tree라고도 함.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 2012.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