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009 사상자 Torilis japonica 산과바다 사상자 Torilis japonica 2012. 6. 18. 담음 사상자 Torilis japonica (Houtt.) DC. 현화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산형화목 > 산형과 산형과의 두해살이풀로 줄기는 높이 30~70cm 정도로 곧게 자라며 원주형이고 전체에 아래를 향한 잔털이 있다. 위쪽에서 분지한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2회.. 2012. 6. 19. 6월 꽃을 담으며 조령산에 오르다 산과바다 조령산(鳥嶺山 1025m)2012. 6. 17.산과바다 홀로 꽃을 담으며 약 4시간이화령휴게소 →조령산능선안부 →조령샘 →조령산 정상 왕복 충북 괴산군 연풍면과 경북 문경시 문경읍의 경계에 있는 산 조령산에서 동쪽방향으로 바라본 주흘산(중앙 뾰쪽한 부분이 주흘산)높이 1,025m 백두대간에 솟아 있으며 주위에는 신선봉(神仙峯:967m) 주흘산(主屹山:1,106m) 등이 있다. 조령산과 신선봉의 안부에 해당하는 조령은 문경새재라고도 부른다. 남쪽과 북쪽 산록에 있는 이화령(梨花嶺:548m) 소조령을 비롯하여 유명한 고개가 많다. 특히 문경새재라는 이름은 과거부터 영남사람들이 이 고개를 넘어 서울로 가는 주요관문이 되었던 것에서 비롯된다. 동쪽에 조령천을 따라 조령 제1·2·3 관문이 있다.. 2012. 6. 18. 참빗살나무 Euonymus hamiltonianus 산과바다 참빗살나무 Euonymus hamiltonianus 2012. 6. 17. 담음 참빗살나무 Euonymus hamiltonianus Wal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노박덩굴목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Euonymus) 산에서 자라며 높이는 3~9m이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원가지에는 털이 없고 어린 가지는 녹색이나 나무껍질은 회갈색으로 흰 줄이 있는 것이 많다. 노목은 세로로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바소꼴 긴 타원형이며 길이 5~15cm 나비 2~8cm로서 끝이 뾰족하다.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둔하며 자잘한 톱니가 있으며 잎 양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 8~15mm이다. 꽃은 5~6월에 엷은 녹색으로 피며 취산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받침조각 꽃잎 수술이 모두 4개로 수.. 2012. 6. 18. 싸리 bush clover 산과바다 싸리 bush clover 2012. 6. 17. 담음 싸리 Lespedeza bicolor Turcz.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싸리속(Lespedeza) 수고 2~3m 정도로 곧게 자라며 가지는 많이 갈라진다. 어린 가지는 암갈색으로 능선이 있으며 털이 있다가 없어진다.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3출엽이다. 작은 잎은 도란형으로 잎끝에 옆맥의 끝부분이 침상의 돌기로 되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뒷면은 약간 회록색을 띠며 복모가 드문드문 난다. 꽃은 7~8월 잎겨드랑이나 가지 끝에서 총상화서로 붉은 자줏빛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얕게 4갈래로 갈라지고 견모가 있다. 열매는 협과(莢果 꼬투리로 맺히는 열매)로 타원형이며 10~11월에 익.. 2012. 6. 18. 큰뱀무 Geum aleppicum 산과바다 큰뱀무 Geum aleppicum 2012. 6. 17. 조령산에서 담음 큰뱀무 Geum aleppicum Jacq.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뱀무속(Geum) 산야의 습초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30~10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전체에 옆으로 벌어진 털이 있다. 뿌리의 근경은 굵고 짧으며 수염뿌리가 뭉쳐난다.잎은 뿌리잎(근생엽)은 모여나기하며 긴 엽병이 있는 홀수깃모양겹잎이다. 소엽은 3~5쌍이며 점차 작아지고 타원모양 또는 피침형이며 끝은 뾰족하고 고르지 못한 톱니와 결각이 있으며 소엽사이에 작은 부속 소엽이 있다. 정소엽은 사각상 달걀모양 또는 원형이며 예두 또는 원두이고 예저 또는 약간 심장저이며 길이 5~10cm, 폭 3.. 2012. 6. 18. 벌노랑이 Asian birdsfoot trefoil 산과바다 벌노랑이 Asian birdsfoot trefoil 2012. 6. 6. 제주 해안에서 담음 * 벌노랑이, 서양벌노랑이, 들벌노랑이의 구분 꽃줄기 끝 꽃의 수잎에벌노랑이2~3개털이 없다서양벌노랑이3~7개털이 갈래조각에 많다.들벌노랑이5~15개부드러운 털 잎 뒷면 백분색 벌노랑이 Lotus corniculatus L. var. japonicus Rege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 >벌노랑이속(Lotus) 벌노랑이는 노랑돌콩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숲이나 풀밭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 높이 약 30cm이다. 밑동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비스듬히 자라거나 퍼지고 털이 없다.잎은 어긋나는데, 5개의 작은잎 중 2개는 원줄기에 가까이 붙어 턱잎같이 보이고,.. 2012. 6. 16. 하눌타리 Trichosanthes kirilowii 산과바다 하눌타리 Trichosanthes kirilowii 2012. 6. 6. 담음 하눌타리 Trichosanthes kirilowii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박목 >박과 박과(―科 Cucurbitaceae)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식물. 중부 이남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고구마같이 생긴 굵고 긴 덩어리 모양의 뿌리가 있다. 잎은 둥글고 단풍잎처럼.. 2012. 6. 16. 큰천남성 Arisaema ringens (Thunb.) Schott 산과바다 큰천남성 Arisaema ringens (Thunb.) Schott 2012. 6. 7. 담음 큰천남성 Arisaema ringens (Thunb.) Schott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천남성목 >천남성과 큰천남성은 남도의 계곡이나 서해안 섬에서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반그늘이며 토양의 비옥도가 높은 곳에서 서식한다. .. 2012. 6. 15. 꽃을 담으며 노로오름에 오르다. 산과바다 노로오름 정상에서 양승보친구와 서산꽃(박종규) 꽃을 담으며 노로오름에 오르다. 2012. 6. 7. 산과바다는 서산꽃(박종규)님과 함께 오후 노로오름(1093m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 산139) 등산(벗 양승보 동행 안내함) 신제주에 투숙 6월 8일 오전 청주도착 길가에 애마는 매어두고 임.. 2012. 6. 15. 꽃을 담으며 마라도에 가다 산과바다꽃을 담으며 마라도에 가다2012. 6. 7. 산과바다는 서산꽃(박종규)님과 함께오전 마라도로 이동 마라도 일주 걷기오후 노로오름(1069m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 산139) 등산(벗 양승보 동행 안내함)신제주에 투숙 6월 8일 오전 청주도착 모슬포 마라도정기여객선 터미널에서 매표(왕복 2인 31,000) 09:00 출항 모슬포항에 고깃배가 많이 정박해있군요. 그뒤에 우리를 싫어 나를 마라도 정기여객선이 기다리는군요. 모슬포엔 멸치가 많이 잡히나봐요. 상자가 많이 쌓여있네요. 출항하기 전에 모슬포등대 방파제에 올라본다. 우리를 데리고 갈 마라도정기여객선 모슬포항의 전경이 아름답군요. 등대방파제에 올라보니 멀리 가파도가 보인다. 그넘어에 마라도가 있다. 모슬포에서 30여분후에 마라도에 도착.. 2012. 6. 15. 꽃을 담으며 올레길 7-8코스를 걷다 산과바다 올레길 7-8코스를 걷다 2012. 6. 6. 산과바다는 서산꽃(박종규)님과 함께 오전 외돌개로 이동 올레길 7코스 오후 월평에서 주상절리까지 8코스 주상절리에서 모슬포로 이동 투숙 서산꽃님 냉커피맛이 어떠한지요. 월평마을 7코스 종점 슈퍼에서 커피 한잔하며 쉬어간다. . . . . . 월.. 2012. 6. 15. 꽃을 담으며 올레길 7-8코스를 걷다 산과바다 꽃을 담으며 올레길 7-8코스를 걷다 2012. 6. 6. 산과바다는 서산꽃(박종규)님과 함께 오전 외돌개로 이동 올레길 7코스 오후 월평에서 주상절리까지 8코스 주상절리에서 모슬포로 이동 투숙 산과바다는 제주 막걸리 한병과 토마토안주 서산꽃님은 라면 한그릇이 오늘의 점심이다. .. 2012. 6. 14. 꽃을 담으며 올레길 6코스 산과바다 꽃을 담으며 올레길을 걷는다 6월 5일 산과바다는 서산꽃(박종규)님과 함께 오전 올레길 1코스(광치기해변-성산)와 1-1코스(우도) 오후에 성산일출봉에 오른 후 쇠소깍으로 이동 올레길 6코스 걷고 서귀포에 투숙 성산일출봉에 오르며 내려다본 성산마을 성산일출봉에서 바라본 .. 2012. 6. 14. 꽃을 담으며 올레길을 걷는다 산과바다 꽃을 담으며 올레길을 걷는다 산과바다는 서산꽃(박종규)님과 함께 6월 4일 18: 25 출항(청주-제주) 제주항공이용 항공료 왕복 250,800원(2인) 늦게 제주에 도착하여 신제주에 숙소를 정하고 식사 후 바오젠거리 산책 한다. 음식점 편의점 술먹는집 관광객들 이용에 편리하군요. 이거.. 2012. 6. 14. 도깨비쇠고비 Hollyfern 산과바다 도깨비쇠고비 Hollyfern 2012. 6. 6. 담음 도깨비쇠고비 Cyrtomium falcatum (L. f.) C. Presl 양치식물문 >고사리강 >고사리목 >고란초과 >쇠고비속 도깨비쇠고비는 제주도와 울릉도, 중부지방 해안가의 돌 틈에서 자라는 상록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양지나 반그늘의 돌 틈에서 자란다. 키는 20~40㎝이고, 잎은 새의 깃 모양으로 억세고 가죽 같으며 암록색에 광택이 나고 뿌리에서 뭉쳐서 올라오며 잎자루 길이는 15~40㎝로, 갈색 또는 흑갈색의 인편이 있다. 포자낭군은 잎 뒷면 전체에 산재해 있고, 익으면 중앙부가 검은 갈색으로 된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인다. * 쇠고비속 : 긴잎도깨비쇠고비, 도깨비고비, 도깨비쇠고비, 산쇠고비, .. 2012. 6. 13. 콩짜개덩굴 Lemmaphyllum microphyllum C. Presl 산과바다 콩짜개덩굴 Lemmaphyllum microphyllum C. Presl 2012. 6. 5. 성산에서 담음 콩짜개덩굴 Lemmaphyllum microphyllum C. Presl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잔고사리과 콩짜개덩굴은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지방과 섬 지역, 대둔산, 태백산 등지에서 자라는 상록성 다년생 초본이고 난대성 양치류에 속.. 2012. 6. 13. 애기달맞이꽃 Cutleaf evening primrose 산과바다 애기달맞이꽃 Cutleaf evening primrose2012. 6. 6. 서귀포 바닷가에서 담음 애기달맞이꽃 Oenothera laciniata Hil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바늘꽃과 >달맞이꽃속(Oenothera) 제주도 해안가 모래땅에서 흔하게 자라는 두해살이풀로, 1980년경에 제주도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줄기는 땅에 누워 자라며 끝부분이 위를 향한다. 높이 40cm 정도로 자란다.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나 뿌리 잎은 짧게 있다. 잎몸은 넓은 피침형 또는 거꿀피침형이고 길이는 2~4cm, 폭 0.6~1.2cm이다. 잎 가장자리는 깊게 우상분열 또는 물결 모양이다.꽃은 6~8월에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지름은 3~5cm이다. 꽃받.. 2012. 6. 13. 유카 Yucca 산과바다 유카 Yucca 2012. 6. 6. 제주 올레길에서 담음 유카 Yucca gloriosa L. 속씨식물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용설란과 >유카속(Yucca) 북아메리카 남부가 원산지이다. 대부분의 종 들은 줄기가 없으며 뻣뻣한 잎은 칼 모양으로 아랫부분에서 로제트를 이루고 매끈한 흰꽃은 무리져 핀다. 꽃은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피는데, 높이 1m 안팎의 꽃줄기에 많이 달린다. 포는 어긋나고 꽃은 지름 5∼8cm로서 밑을 향하여 반쯤 벌어진다. 화피는 노란빛을 띤 흰색이고 6개이며 두껍다. 수술 6개, 암술 1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대개 맺지 못 하지만 간혹 달리는데, 모양은 긴 타원형이다. 번식은 종자나 포기나누기로 한다. 꽃말 : 위험, 접근하지 마세요. *.. 2012. 6. 13. 이전 1 ··· 549 550 551 552 553 554 555 ··· 6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