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寒山詩集 : 한산(寒山) 습득(拾得) 풍간(豊干) 詩
한산시(寒山詩) 259
《詩 三百三首 其二五九》
無衣自訪覓(무의자방멱) : 입을 옷이 없을 때는 다른 것을 찾아보지
莫共狐謀裘(막공호모구) : 행여라도 여우 잡아 가죽옷 짓지 말고
無食自採取(무식자채취) : 먹을 것이 없을 때는 풀과 나물 뜯더라도
莫共羊謀羞(막공양모수) : 절대로 양을 잡아 고기 먹을 생각 말게
借皮兼借肉(차피겸차육) : 가죽옷 지어 입고 고기 먹고 사는 것은
懷歎復懷愁(회탄부회수) : 마음에 근심과 슬픔 거리 쌓아두는 것이네.
皆緣義失所(개연의실소) : 이런 인연 절대로 뜻 없는 것 아니니
衣食常不周(의식상부주) : 다음 생에 못 입고 못 먹는 삶 살게 되네.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寒山詩集(寒山, 拾得, 豊干)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산시(寒山詩) 261 (0) | 2024.03.27 |
---|---|
한산시(寒山詩) 260 (0) | 2024.03.27 |
한산시(寒山詩) 258 (0) | 2024.03.27 |
한산시(寒山詩) 257 (0) | 2024.03.27 |
한산시(寒山詩) 256 (0) | 2024.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