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寒山詩集 : 한산(寒山) 습득(拾得) 풍간(豊干) 詩
한산시(寒山詩) 127
《詩 三百三首 其一二七》
大有好笑事(대유호소사) : 세상에 가소로운 얘기 여럿 있지만
略陳三五個(약진삼오개) : 그 가운데 몇 가지만 말해보려네
張公富奢華(장공부사화) : 술도가 장공 글 몰라도 부자로서 호사했고
孟子貧轗軻(맹자빈감가) : 세상을 가르친 맹자는 평생동안 가난했네.
只取侏儒飽(지취주유포) : 배부른 주유의 웃음을 사주면서
不憐方朔餓(불련방삭아) : 배고픈 방삭의 바른말은 흘려들었네.
巴歌唱者多(파가창자다) : 시중의 하리파인(下里巴人) 따라 부르는 이 많아도
白雪無人和(백설무인화) : 고아한 양춘백설(陽春白雪) 화답하는 이 없네.
▶ 張公(장공) : 전국시대 말기에 연횡책連衡策을 주장하여 진秦나라로부터 많은 봉록을 받은 장의張儀를 말한다. 장의는 위대한 사상은 없었지만 세치 혀로 부귀영화를 누렸다. 그러나 위대한 사상가였던 맹자는 부국강병정책을 원하는 시대에 왕도정치를 주장하여 제후들이 받아들이지 않음으로써 은거하며 제자를 길렀다.
▶ 轗軻(감가) : 길이 험하여 수레가 잘 나아가지 못하는 것 또는 일이 뜻대로 되지 아니하는 것을 가리킨다. 두보杜甫는 그의 「취시가醉時歌」 중에서‘德尊一代常坎軻/名垂萬古知何用(덕을 따르는 이의 일생은 곤고하나니/만고에 이름 남겨 무엇 하겠소’라고 읊었다.
▶ 侏儒(주유)와 方朔(방삭) : 주유는 진秦나라 궁중에서 우스갯소리를 잘하던 키가 아주 작은 예인 우전優旃을 말한다. 이에 반해 동방삭은 영웅적 기질을 타고났으나 끝내는 은둔의 삶을 살았다. 웃음을 팔아 잘살게 된 예인과 바른말을 함으로써 배척당한 경세가의 비교되는 풍자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 巴歌(파가)와 白雪(백설) : 전국시대 송옥宋玉이 초楚나라 양왕襄王에게 한 말 중에“파인의 노래는 저속하지만 그가 노래할 때 화답하는 사람이 수천 명이고, 백설의 거문고 곡조는 그 가락이 고상하지만 화답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한 것을 인용한 것이다.「하리파인下里巴人」은 본래 전국시대 초나라의 민간에서 부르던 통속적인 가곡이었고, 이와 달리 「춘양백설春陽白雪」은 고아한 악곡이었다.
전국시대 초나라 송옥宋玉의<대초왕문對楚王問>에는 초양왕과 송옥의 나눈 대화가 들어있다.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寒山詩集(寒山, 拾得, 豊干)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산시(寒山詩) 129 (0) | 2024.03.23 |
---|---|
한산시(寒山詩) 128 (0) | 2024.03.23 |
한산시(寒山詩) 126 (0) | 2024.03.23 |
한산시(寒山詩) 125 (0) | 2024.03.23 |
한산시(寒山詩) 124 (0) | 2024.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