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寒山詩集 : 한산(寒山) 습득(拾得) 풍간(豊干) 詩
한산시(寒山詩) 115
《詩 三百三首 其一一五》
柳郞八十二(유랑팔십이) : 유가 신랑은 여든에서 두 살을 더 먹었고
藍嫂一十八(남수일십팔) : 남가 신부는 이제 겨우 열여덟 살이라네.
夫妻共百年(부처공백년) : 이들이 부부 되어 백 년 함께 살기로 하고
相憐情狡猾(상련정교활) : 서로를 사랑하기 여우처럼 약삭빨랐다네.
弄璋字烏※ (농장자오※) : 아들을 낳았을 땐 오머시기라 이름 짓고
擲瓦名婠妠(척와명완납) : 딸을 보았을 땐 이름을 포동이라 지었네.
(擲瓦名上一丸切下奴答切)
屢見枯楊荑(누견고양제) : 아쉽게도 마른 버들 새싹을 여러 차례 보았지만
常遭靑女殺(상조청녀살) : 언제나 서리를 만나면 죽고 말았다네.
▶ 弄璋(농장)~擲瓦(척와): 고대 중국에서 아들을 낳으면 구슬(璋) 장난감을 주고, 딸이 태어나면 실패(瓦) 장난감을 준 고사를 인용한 것임
▶婠妠(완납):어린아이가 통통하게 살이 올라 예쁜 모양
▶ 枯楊(고양) : 마른 버들. 여기서는 80세를 넘긴 신랑을 가리킴
▶ 靑女(청녀) : 서리, 또는 서리를 관장하는 여신을 말하지만 여기서는 18세의 어린 신부를 가리킴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寒山詩集(寒山, 拾得, 豊干)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산시(寒山詩) 117 (0) | 2024.03.22 |
---|---|
한산시(寒山詩) 116 (0) | 2024.03.22 |
한산시(寒山詩) 114 (0) | 2024.03.22 |
한산시(寒山詩) 113 (0) | 2024.03.22 |
한산시(寒山詩) 112 (0) | 2024.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