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寒山詩集(寒山, 拾得, 豊干) 詩

한산시(寒山詩) 114

by 산산바다 2024. 3. 22.

산과바다

寒山詩集 : 한산(寒山) 습득(拾得) 풍간(豊干)

 

 

          한산시(寒山詩) 114

        《詩 三百三首 其一一四

 

貧驢欠一尺(빈려결일척) : 가난한 집 나귀는 한 자가 모자라고

富狗剩三寸(부구잉삼촌) : 넉넉한 집 개는 세 치가 남아도네.

若分貧不平(약분빈반평) : 가난을 돕는 게 고르지 못하다니

中半富與困(중반부여곤) : 부자 살림 반은 잘라 가난한 집에 주면

始取驢飽足(시취려포족) : 배고픈 나귀 비로소 배부르다 하겠지만

卻令狗饑頓(각령구기돈) : 개는 오히려 배가 고파 쓰러진다. 하겠지.

爲汝熟思量(위여숙사량) : 그대가 생각에 생각을 거듭해야 할 일이듯

令我也愁悶(영아야수민) : 내게도 시름과 고민 쌓이는 일이라오.

 

() : 주다, 베풀다.좌씨춘추左氏春秋 소공14昭公十四年분빈진궁分貧振窮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는 나눠주어 가난한 구제하는 것을 이름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寒山詩集(寒山, 拾得, 豊干)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산시(寒山詩) 116  (0) 2024.03.22
한산시(寒山詩) 115  (0) 2024.03.22
한산시(寒山詩) 113  (0) 2024.03.22
한산시(寒山詩) 112  (0) 2024.03.22
한산시(寒山詩) 111  (0) 2024.03.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