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六祖慧能(육조혜능 638∼713) 臨終偈(임종게)
一切無有眞(일체무유진) : 이 세상 모든 것 참이 아니니
不以見於眞(불이견어진) : 참 아닌 것을 참으로 보려 하지 마라
若見於眞者(약견어진자) : 만약에 참 아닌 것을 참으로 본다면
是見盡非眞(시견진비진) : 그렇게 보는 것은 모두 참이 아니다
若能自有眞(약능자유진) : 만약 자기에게 참된 것이 있다면
離假即心眞(이가즉심진) : 거짓에서 멀어진 그 마음이 참이다
自心不離假(자심불리가) : 자기 마음이 거짓에서 멀어지지 않았다면
無眞何處眞(무진하처진) : 참이란 게 없는데 어디 참이 있으랴
有情即解動(유정즉해동) : 살아 숨을 쉬는 것은 움직일 수 있고
無情即不動(무정즉부동) : 숨쉬지 않는 것은 움직이지 않는다
若修不動行(약수부동행) : 만약에 부동의 행 닦고 기를 수 있다면
同無情不動(동무정부동) : 죽은 것과 마찬가지로 부동할 수 있다
若覓眞不動(약멱진부동) : 만약에 참된 부동 찾아낼 수 있다면
動上有不動(동상유부동) : 움직이는 것 속에도 부동이 있다
不動是不動(부동시부동) : 부동은 그대로 부동인 것이고
無情無佛種(무정무불종) : 숨 안 쉬는 것에는 부처의 씨가 없다
能善分別相(능선분별상) : 여러 상을 제대로 분별해낼 수 있는
第一義不動(제일의부동) : 궁극의 깊은 뜻은 부동하는 것이다
但作如此見(단작여차견) : 그러니 이와 같은 견해 낼 수 있으면
即是眞如用(즉시진여용) : 그것이 곧 진여의 묘용이라 할 수 있다
報諸學道人(보제학도인) : 도 배우는 사람들에게 알려주나니
努力須用意(노력수용의) : 끊임없이 노력하고 단단히 준비하라
莫於大乘門(막어대승문) : 대승의 문 안에만 머물려 하지 말고
卻執生死智(각집생사지) : 나고 죽는 지혜 따위에도 얽매이지 말라
若言下相應(약언하상응) : 말 한마디로 통하는 사람을 만나면
即共論佛義(즉공론불의) : 그와 함께 부처님 말씀 나누고
若實不相應(약실불상응) : 만약에 서로 말이 통하지 않더라도
合掌令歡喜(합장영환희) : 두 손 모아 일체중생 기쁘게 기도하라
此宗本無諍(차종본무쟁) : 부처님 가르침에는 본래 다툴 것이 없으니
諍即失道意(쟁즉실도의) : 다투는 것은 곧 도의 뜻을 잃는 것이다
執逆諍法門(집역쟁법문) : 만약에 법문의 논쟁에 매여 산다면
自性入生死(자성입생사) : 생사윤회 끝끝내 빠져나올 수 없게 되리
六祖 慧能大師(혜능대사) 涅槃頌(열반송)
心地念諸種(심지염제종) : 심지는 모든 씨앗을 머금었으니
普雨悉皆萌(보우실개맹) : 비만 잘 내리면 모두 싹을 틔우고
頓悟花情已(돈오화정이) : 문득 꽃의 뜻을 깨닫고 나면
菩提果自成(보리과자성) : 보리(菩提)의 열매는 절로 익으리라.
* 육조 혜능대사가 열반 직전에 제자들을 불러서 이 게송을 읊어주시고 즉시 입적했다고 함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涅槃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화(淸華)선사 열반송(涅槃頌) (0) | 2022.11.29 |
---|---|
법장(法長)선사 열반송(涅槃頌) (0) | 2022.11.29 |
회광일각(廻光壹覺) 열반송(涅槃頌) (0) | 2022.11.25 |
혜암성관(慧菴性觀) 열반송(涅槃頌) (0) | 2022.11.25 |
혜은법홍(慧隱法弘) 열반송(涅槃頌) (0) | 2022.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