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詩仙 李白 詩

북풍행(北風行) - 이백(李白)

by 산산바다 2020. 11. 7.

산과바다

만리장성

李白 詩(이백 시) HOME

 

 

 

            북풍행(北風行) - 이백(李白)

            북풍은 불고

 

燭龍棲寒門(촉룡서한문) : 촉룡이 한문에 깃들어

光曜猶旦開(광요유단개) : 햇빛이 여전히 아침에 열린다.

日月照之何不及此(일월조지하불급차) : 해와 달의 빛임이 어찌 여기에 이르지 않으리오.

惟有北風號怒天上來(유유북풍호노천상래) : 오직 북풍이 노호하여 천상에서 내려오는구나.

燕山雪花大如席(연산설화대여석) : 연산에 내리는 눈꽃의 크기는 연꽃 같아서

片片吹落軒轅臺(편편취락헌원대) : 편편히 불리어 헌원대에 떨어지는구나.

幽州思婦十二月(유주사부십이월) : 유주에는 십이월에 임 생각하는 아낙들

停歌罷笑雙蛾摧(정가파소쌍아최) : 노래도 그치고 웃음도 그만두고 두 눈썹도 꺾이었구나.

倚門望行人(의문망행인) : 힘없이 문에 기대어 길 떠난 임을 바라보며

念君長城苦寒良可哀(념군장성고한량가애) : 만리장성에 계신임의 고통과 추위를 생각하니 애련하기만 하여라.

 

 

*山海經/大荒北經西北海外赤水之北有章尾山有神人面蛇身而赤直目正乘其暝乃晦其視乃明不食不寢不息風雨是謁是燭九陰是謂燭龍

중국 고대 지리지山海經에서 북쪽 바다 밖에, 赤水 북쪽에, 章尾山이 있다. 산에 신이 있는데, 사람 얼굴에 뱀의 몸을 하고 있으며 빨갛고, 그 눈은 정방형 수레 같았는데, 그가 잠들면 어두워지고, 그가 쳐다보면 밝아졌고, 먹지도 잠자지도 쉬지도 않고, 비바람을 알려준다. 이것이 燭九陰인데 燭龍이라 부른다.

*淮南子/墜形訓八紘之外乃有八極自東北方曰方土之山曰蒼門東方曰東極之山曰開明之門東南方曰波母之山曰陽門南方曰南極之山曰暑門西南方曰編駒之山曰白門西方曰西極之山曰閶闔之門西北方曰不周之山曰幽都之門北方曰北極之山寒門……..燭龍在雁門北蔽於委羽之山不見日其神人面龍身而無足

前漢淮南王 劉安(BC179~ BC122)이 지은淮南子에 북방은 북쪽 끝에 있는 산을 寒門이라한다.

* 燭龍雁門의 북쪽에 있는데, 委羽山에 가려져 있고, 해를 볼수 없으며, 그 신인의 얼굴은 용의 몸을 하고 발이 없다.

* 燕山은 나라 梧台 동쪽 河北省 薊縣(계현)에 있는 산으로 옥과 비슷한 燕石이 많이난다.

* 軒轅臺黃帝軒轅氏常先을 기리기 위해 幽州(燕京, 河北省順天縣/范陽郡)에 쌓았다.

 

 

別時提劍救邊去(별시제검구변거) : 떠나던 날 칼을 가지고 변방을 구하러 가더니

遺此虎紋金鞞靫(유차호문금비채) : 이 호랑이 무늬 박힌 화살통만 남기셨도다.

中有一雙白羽箭(중유일쌍백우전) : 통 속에는 한 쌍의 흰 깃털 화살만 남아있어

蜘蛛結網生塵埃(지주결망생진애) : 거미줄이 쳐지고 먼지만 이는구나.

箭空在(전공재) : 화살통만 남아있고

人今戰死不復回(인금전사불부회) : 사람은 이제 전쟁에 죽고 다시 돌아오지 않는구나.

不忍見此物(불인견차물) : 차마 이 물건을 보지 못하여

焚之已成灰(분지이성회) : 태워서 이미 재가 다 되었도다.

黃河捧土尚可塞(황하봉토상가새) : 황하의 물은 오히려 흙으로 막을 수 있건만

北風雨雪恨難裁(북풍우설한난재) : 북풍과 눈비는 없애버리기 어려움을 한하노라

 

 

*後漢書/33今天下幾裏列郡幾城奈何以區區漁陽而結怨天子此猶河濱之人捧土以塞孟津多見其不知量也

南朝宋(420~479)나라 范曄(398~445)이 편찬한後漢書/逸民列傳/嚴光 지금 천하는 몇 리나 될까, 여러 고을들 몇 성이 될까, 어찌 구차하게 漁陽으로 결부하여 임금을 원망할까? 이에 黃河 물가 사람들이, 흙을 쌓아 孟津을 막으려하니, 자신을 헤아림을 알지 못한다는 것을 많이 보여주는 것이다.

* 黃河捧土는자신의 분수를 모르고 어림없는 일을 추진 한다는 뜻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