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경천송족제순(涇川送族弟錞) - 이백(李白)
경천에서 친족 아우인 순을 보내며
涇川三百里(경천삼백리) : 경천 삼백리 인데
若耶羞見之(야야수견지) : 마치 (사람이) 보는 것을 부끄러워하는 것 같네
錦石照碧山(금석조벽산) : 아름다운 돌은 푸른 산에 빛나고
兩邊白鷺鶿(량변백노자) : 양쪽 가에는 흰 백로와 가마우지가 있네.
佳境千萬曲(가경천만곡) : 아름다운 풍경이 천만 굽이라서
客行無歇時(객항무헐시) : 나그네의 행렬 쉴 때가 없구나.
上有琴高水(상유금고수) : 윗 쪽에는 금고가 들어간 물이 있고
下有陵陽祠(하유능양사) : 아래쪽에는 능양의 사당이 있네.
仙人不見我(선인불견아) : 신선들은 나를 보지 못했고
明月空相知(명월공상지) : 밝은 달만 공연히 나를 알아주네.
問我何事來(문아하사내) : 무슨 일로 왔냐고 나에게 묻는다면
盧敖結幽期(노오결유기) : 노오가 은밀한 약속을 맺기 위해서라네.
蓬山振雄筆(봉산진웅필) : 봉산은 웅장한 필체를 떨치고
繡服揮淸詞(수복휘청사) : 자수 놓은 옷을 입은 이(귀족)는 청아한 글귀를 휘두르네.
江湖發秀色(강호발수색) : 강호에는 아름다운 색채가 발하고 있고
草木含榮滋(초목함영자) : 초목은 무성함을 머금었네.
置酒送惠連(치주송혜련) : 술을 두고 아우를 보내니
吾家稱白眉(오가칭백미) : 우리 집에서는 그를 으뜸이라 칭하네.
愧無海嶠作(괴무해교작) : 바닷가 산들을 읊은 작품이 없음이 부끄럽지만
敢闕河梁詩(감궐하량시) : 감히 송별의 시가 빠질쏘냐.
見爾復幾朝(견이복기조) : 너를 봄이 다시 어느 시기일지
俄然告將離(아연고장리) : 문득 장차 이별을 고하네.
中流漾綵鷁(중류양채익) : 강 가운데는 배가 흔들거리고
列岸叢金覇(렬안총금패) : 양쪽 언덕에는 말(馬)이 모여 있네.
歎息蒼梧鳳(탄식창오봉) : 탄식하노니 벽오동 위의 봉황이
分棲瓊樹枝(분서경수지) : 나무 가지를 나누어 깃듦을.
淸晨各飛去(청신각비거) : 새벽에 각자 날아가
飄落天南垂(표낙천남수) : 하늘 남쪽 끝에 날아 떨어지겠지.
望極落日盡(망극낙일진) : 끝을 바라보니 지는 해 다해가고
秋深暝猿悲(추심명원비) : 가을은 깊어 어둑한데 원숭이 소리마저 슬프구나.
寄情與流水(기정여류수) : 감정을 흘러가는 물에 띄어 보내니
但有長相思(단유장상사) : 단지 그리움만 오래도록 남아 있도다.
* 若耶羞見之(야야수견지) : 제 느낌상 물길이 똑바로 흘러 사람이 한 번에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구불구불하여 어떤 때는 보였다가 혹은 보이지 않는 것이 마치 부끄러워 모습을 숨기는 것 같다는 표현 같습니다.
* 盧敖(노오) - 진나라 사람 신선이 되고자 갈망하여 훗날 신선이 됨
* 惠連(혜연) - 남송 시대 사람. 총명하여 형인 영운이 아낌. 뒷날 아우를 가리키는 미칭이 됨.
* 河梁(하량) - 舊題漢李陵《與蘇武》詩之三:“攜手上河梁,遊子暮何之? ……行人難久留,各言長相思。”後因以“河梁”借指送別之地。이릉의 시에서 나온 말로 훗날 하량은 송별하는 장소를 가리키게 됨(손을 잡고 다리에 오르니 나그네여 날저문데 어디로 가려는가 행인은 오래 머무르기 어려우니 각자 오래도록 서로 기억하자고 말하네)
* 金羈(금기)는 금으로 장식한 말머리에 매는 끈 轉하여 말이란 뜻
* 綵鷁(채익) - 彩舟。鷁,水鳥名,古代常畫鷁於船首,故稱。색칠한 배 鷁은 물새 이름 고대에는 항상 배 앞머리에 鷁를 그렸기 때문에 그렇게 칭함.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詩仙 李白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유소사항(古有所思行) - 이백(李白) (0) | 2020.11.04 |
---|---|
계전추(桂殿秋) - 이백(李白) (0) | 2020.11.03 |
결객소년장행(結客少年場行) – 이백(李白) (0) | 2020.11.03 |
견경조위참군량이동양2수(見京兆韋參軍量移東陽二首) – 이백(李白) (0) | 2020.11.03 |
거부사(去婦詞) - 이백(李白) (0) | 2020.1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