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4편 離婁 上(이루 상)
24. 樂正子見孟子(악정자견맹자)
樂正子從於子敖(락정자종어자오)하여 : 악정자가 자오를 따라서
之齊(지제)러니 : 제나라에 가더니
樂正子見孟子(락정자현맹자)한대 : 악정자가 맹자께 뵈었다.
孟子曰子亦來見我乎(맹자왈자역래견아호)아 : 맹자가 말씀하기를, 자네도 또한 나를 찾아와서 만나 보는가?
曰先生(왈선생)은 : 악정자가 말하기를 선생님께서는
何爲出此言也(하위출차언야)시니잇고 : 왜 그런 말씀을 하십니까?
曰子來幾日矣(왈자래기일의)오 : 맹자가 말씀하시기를, 자네가 이곳에 온 지 며칠이 되었는가.
曰昔者(왈석자)니이다 : 대답하기를 어제 왔습니다.
曰昔者(왈석자)면 : 맹자가 말씀하기를 어제 왔다면
則我出此言也不亦宜乎(칙아출차언야불역의호)아 : 내가 이런 말을 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은가
曰舍館(왈사관)을 : 대답해 말씀하기를, 사관을
未定(미정)이러이다 : 미처 정하지 못해서 그랬습니다.
曰子聞之也(왈자문지야)아 : 맹자가 말씀하시기를, 자네는 이런 말을 들은 일이 있는가?
舍館定然後(사관정연후)에 : 사관을 정한 연후에야
求見長者乎(구견장자호)아 : 장자를 찾아보는 법인가
曰克(왈극)이 : 대답해 말하기를
有罪(유죄)호이다 : 제가 잘못했습니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26. 不孝有三(불효유삼) (0) | 2016.02.23 |
---|---|
孟子(맹자) 25. 徒餔啜也(도포철야) (0) | 2016.02.23 |
孟子(맹자) 21. 不虞之譽(불우지예) 22. 易其言也(역기언야) 23. 人之患(인지환) (0) | 2016.02.23 |
孟子(맹자) 20. 一正君而國定矣(일정군이국정의) (0) | 2016.02.23 |
孟子(맹자) 19. 曾子養曾晳(증자양증석) (0) | 2016.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