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1편 梁惠王 下(양혜왕 하)
2. 文王之囿(문왕지유)
齊宣王(제선왕)이 : 제 선왕이
問曰文王之囿方七十里(문왈문왕지유방칠십리)라하니 : “문왕의 원유는 사방이 칠십리 였다고 하는데...
有諸(유제)잇가 : 그랬습니까”하고 묻자
孟子對曰於傳(맹자대왈어전)에 : 맹자는 “전해 내려오는 글에는
有之(유지)하니이다 : 그런 말이 있습니다.”하고 대답하셨다.
曰若是其大乎(왈약시기대호)잇가 : “그렇게까지 컸었습니까.”
曰民猶以爲小也(왈민유이위소야)니이다 : “백성들은 그래도 그것이 작다고 생각하였었습니다.”
曰寡人之囿(왈과인지유)는 : “과인의 원유는
方四十里(방사십리)로되 : 사방이 사십리 인데
民猶以爲大(민유이위대)는 : 백성들은 그래도 그것이 크다고 생각하는 것은
何也(하야)잇고 : 무엇 때문입니까”
曰文王之囿(왈문왕지유)는 : “문왕의 원유는
方七十里(방칠십리)에 : 사방이 칠십 리에
芻蕘者往焉(추요자왕언)하며 : 꼴 베고 나무하는 사람들이 그 곳에 가고
雉兎者往焉(치토자왕언)하여 : 꿩과 토끼를 잡는 사람들이 그 곳에 가고 하여
與民同之(여민동지)하시니 : 그것을 백성들과 함께 썼으니
民以爲小不亦宜乎(민이위소불역의호)잇가 : 백성들이 그것을 작다고 생각한 것이 또한 의당하지 않습니까?
臣始至於境(신시지어경)하여 : 제가 처음 제 나라의 국경에 도달하였을 때
問國之大禁然後(문국지대금연후)에 : 제 나라의 큰 금령을 물어본 후에
敢入(감입)하니 : 감히 들어왔습니다.
臣聞郊關之內(신문교관지내)에 : 제가 듣건대 교외 관문 안에
有囿方四十里(유유방사십리)에 : 원유가 있는데 사방이 사십리로
殺其糜鹿者(살기미록자)를 : 거기에 이는 크고 작은 사슴을 잡은 자는
如殺人之罪(여살인지죄)라하니 : 사람을 죽인 죄와 동일하게 다룬다는 것입니다.
則是方四十里(칙시방사십리)로 : 그렇다면 그것은 사방 사십리가
爲阱於國中(위정어국중)이니 : 나라 가운데의 함정이 되는 것이니
民以爲大不亦宜乎(민이위대불역의호)잇가 : 백성들이 그것을 크다고 생각하는 것이 또한 마땅하지 않습니까.”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4. 樂以天下(낙이천하) (0) | 2016.02.22 |
---|---|
孟子(맹자) 梁惠王 下(양혜왕 하) 3. 寡人好勇(과인호용) (0) | 2016.02.22 |
孟子(맹자) 1. 莊暴見孟子(장포견맹자) (0) | 2016.02.22 |
孟子(맹자) 7. 齊桓晉文(제환진문) (0) | 2016.02.22 |
孟子(맹자) 6. 不嗜殺人(불기살인) (0) | 2016.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