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中庸(중용) 제24장
至誠之道(지성지도)는 : 지극한 정성됨의 도는
可以前知(가이전지)니 : 가히 앞서 알 수 있는 것이다.
國家將興(국가장흥)에 : 국가가 일어나려 할 때에는
必有禎祥(필유정상)하며 : 반드시 상서가 있으며,
國家將亡(국가장망)에 : 국가가 망하려 할 때에는
必有妖孼(필유요얼)하여 : 반드시 흉조가 있어
見乎蓍龜(견호시구)하며 : 시초점과 거북점에 나타나며
動乎四體(동호사체)라 : 사체에 움직여지는 것이다.
禍福將至(화복장지)에 : 화복이 닥쳐오려 할 때에는
善(선)을 : 선함을
必先知之(필선지지)하며 : 반드시 먼저 알아보고,
不善(불선)을 : 선하지 않음도
必先知之(필선지지)하나니 : 반드시 먼저 알아보는 것이다.
故(고)로 : 그러므로
至誠(지성)은 : 지극한 정성은
如神(여신)이니라 : 신과 같은 것이다.
中庸(중용) 제25장
誠者(성자)는 : 정성됨이라는 것은
自成也(자성야)요 : 스스로 이루는 것이요,
而道(이도)는 : 도는
自道也(자도야)니라 : 스스로가 가는 것이다.
誠者(성자)는 : 정성이라는 것은
物之終始(물지종시)니 : 만물의 처음이요 끝이니,
不誠(불성)이면 : 정성됨이 아니라면
無物(무물)이라 : 만물은 없는 것이다.
是故(시고)로 : 이러하므로
君子(군자)는 : 군자는
誠之爲貴(성지위귀)니라 : 정성되는 것을 귀히 여긴다.
誠者(성자)는 : 정성됨이라는 것은
非自成己而已也(비자성기이이야)라 : 스스로 자기를 이루게 할 뿐만 아니라
所以成物也(소이성물야)니 : 만물을 이루게 하는 까닭이 되는 것이다.
成己(성기)는 : 자기를 이루는 것은
仁也(인야)요 : 인이요,
成物(성물)은 : 만물을 이룸은
知也(지야)니 : 지로서
性之德也(성지덕야)라 : 성의 덕이니,
合內外之道也(합내외지도야)니 : 안팎을 합치게 하는 도이다.
故(고)로 : 그러므로
時措之宜也(시조지의야)니라 : 수시로 씀이 마땅하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中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庸(중용) 제27장 (0) | 2016.02.21 |
---|---|
中庸(중용) 제26장 (0) | 2016.02.21 |
中庸(중용) 제21~23장 (0) | 2016.02.21 |
中庸(중용) 제20장 (0) | 2016.02.21 |
中庸(중용) 제19장 (0) | 2016.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