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中庸(중용) 제21장
自誠明(자성명)을 : 정성됨으로 말미암아 밝아지는 것을
謂之性(위지성)이요 : 성이라 말하고,
自明誠(자명성)을 : 밝음으로 말미암아 정성되어짐을
謂之敎(위지교)니 : 교라 말한다.
誠則明矣(성칙명의)요 : 정성되면 곧 밝아지고,
明則誠矣(명칙성의)니라 : 밝으면 곧 정성되어지는 것이다.
中庸(중용) 제22장
惟天下至誠(유천하지성)이야 : 오직 천하의 지극한 정성됨이라야
爲能盡其性(위능진기성)이니 : 그의 성을 다할 수 있는 것이다.
能盡其性(능진기성)이면 : 그의 성을 다할 수 있으면
則能盡人之性(칙능진인지성)이요 : 곧 사람의 성을 다할 수 있고,
能盡人之性(능진인지성)이면 : 사람의 성을 다할 수 있으면
則能盡物之性(칙능진물지성)이요 : 곧 만물의 성을 다할 수 있고,
能盡物之性(능진물지성)이면 : 만물의 성을 다할 수 있으면
則可以贊天地之化育(칙가이찬천지지화육)이요 : 곧 하늘과 땅의 화육을 도울 수 있게 될 것이고,
可以贊天地之化育(가이찬천지지화육)이면 : 하늘과 땅의 화육을 도울 수 있게 되면
則可以與天地參矣(칙가이여천지참의)니라 : 곧 하늘과 땅과 더불어 함께 참여할 수 있게 된다.
中庸(중용) 제23장
其次(기차)는 : 그 다음은
致曲(치곡)이니 : 세소한 것에까지 이르게 하는 것이다.
曲能有誠(곡능유성)이니 : 세소함에도 정성됨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니,
誠則形(성칙형)하고 : 정성되면 곧 나타나고,
形則著(형칙저)하고 : 나타나면 곧 뚜렷해지고,
著則明(저칙명)하고 : 뚜렷해지면 곧 밝아지고,
明則動(명칙동)하고 : 밝아지면 곧 움직이고,
動則變(동칙변)하고 : 움직이면 곧 변하고,
變則化(변칙화)니 : 변하면 곧 화하는 것이다.
唯天下至誠(유천하지성)이야 : 오직 천하의 지극한 정성됨이어야
爲能化(위능화)니라 : 화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中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庸(중용) 제26장 (0) | 2016.02.21 |
---|---|
中庸(중용) 제24장~25장 (0) | 2016.02.21 |
中庸(중용) 제20장 (0) | 2016.02.21 |
中庸(중용) 제19장 (0) | 2016.02.21 |
中庸(중용) 제18장 (0) | 2016.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