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전체 글10268

시경(詩經) : 采번(채번)-물쑥을 뜯네, 草蟲(초충)-풀벌레, 采빈(채빈) 산과바다 시경(詩經) 采번(채번)-물쑥을 뜯네 草蟲(초충)-풀벌레 采빈(채빈)-마름 따기 采번(채번) - 물쑥을 뜯네 于以采번(우이채번) 물쑥을 뜯네 于沼于沚(우소우지) 못가에서 물가에서. 于以用之(우이용지) 뜯어다 쓰네 公侯之事(공후지사) 공후 집안 일에. 于以采번(우이채번) 물쑥을 뜯.. 2007. 4. 1.
시경(시경) : 汝墳(여분)-여수 제방, 麟之趾(린지지)-기린의 발, 鵲巢 산과바다 시경(詩經) 汝墳(여분) - 여수 제방 麟之趾(린지지) - 기린의 발 鵲巢(작소) - 까치 집 汝墳(여분) - 여수 제방 遵彼汝墳(준피여분) 저 여수 제방에 가서 伐其條枚(벌기조매) 그 나뭇가지 베어오네 未見君子(미견군자) 군자를 아직 보기 전엔 녁如調飢(녁여주기) 밥굶은 듯이 허전했.. 2007. 4. 1.
시경(詩經) : 兎저(토저)-토끼그물, 부이(부이)-질경이, 漢廣(한광) 산과바다 시경(詩經) 兎저(토저) - 토끼그물 부이(부이) -질경이 漢廣(한광) -한수는 넓어 兎저(토저) - 토끼그물 肅肅兎저(숙숙토저) 가지런한 토끼그물 탁之丁丁(탁지정정) 떵떵 말뚝을 박네 赳赳武夫(규규무부) 씩씩한 무부는 公侯干城(공후간성) 공후의 간성이네 肅肅兎저(숙숙토저) 가.. 2007. 4. 1.
시경(詩經): 규목-굽어늘어진 나무, 종斯(종사)-베짱이처럼, 桃夭(도요) 산과바다 시경(詩經) 규목 - 굽어 늘어진 나무 종斯(종사) - 베짱이처럼 桃夭(도요) - 잘 자란 복숭아나무 규목 - 굽어 늘어진 나무 南有규木(남유규목) 남산에 굽어늘어진 나무 葛류루之(갈류루지) 머루덩쿨 칭칭 휘감았네 樂只君子(락지군자) 즐겁구나 군자여 福履綏之(복리수지) 복록이 .. 2007. 4. 1.
한국의 시 산과바다 -한국의 시- • 개념 한국의 시를 시라는 용어 대신 향가·가사·시조·창가 등의 명칭으로 부르는 것은 역사적 모습의 다양성과 용어의 다양성에 기인하며, 또 이들을 가리켜 '시가'라고도 하고 '시'라고도 하는 것은 입으로 노래했는가 또는 글로 써서 읽었는가 하는 향유방식의 차이.. 2007. 3. 31.
중국의 시 산과바다 -중국의 시- 중국의 시는 민중 사이에서 불려지던 노래 속에서 탄생했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은 〈시경 詩經〉인데, 이것은 BC 6세기에 공자가 그때까지의 가요를 편집, 정리하여 펴낸 것이라고 전해진다. 〈시경〉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풍'(風)은 주(周)나라 치하 여러 제후국의 민.. 2007. 3. 31.
서유럽의 시 산과바다 -서유럽의 시- 서유럽 시는 그리스로부터 로마에 이르는 고대시와, 중세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유럽 시와는 본래 별개의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다만 후자는 전자의 영향을 크게 받아 전자를 계승한다는 특징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어쨌든 어느 경우나 먼저 서사시, 뒤이어 서정시·극시가 .. 2007. 3. 31.
시의 분류 산과바다 -시의 분류- • 고전적 분류법 이 방법에 따르면 서사시(epic)·서정시(lyric)·극시(dramatic poetry)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러한 분류는 서양 시에서 아주 일찍부터 써온 방법이다. 서사시는 민족·국가의 역사나 전승 및 영웅의 사적(事績)을 각각의 사건에 따라 이야기식으로 기술한 것으로.. 2007. 3. 31.
시의 개요와 정의 산과바다 시-詩, poetry 시-詩, poetry (프)poème (독)Gedicht. 언어의 의미·소리·운율 등에 맞게 선택·배열한 언어를 통해 경험에 대한 심상적인 자각과 특별한 정서를 일으키는 문학의 한 장르. [개요] 일반적으로 시라 할 때는 주로 그 형식적 측면을 가리켜 문학의 한 장르로서의 시 작품(poem)을 말하.. 2007. 3. 31.
시경(詩經) : 關雎(관저) - 물수리, 葛覃(갈담) - 칡넝쿨, 卷耳(권이) 산과바다 시경(詩經) 關雎(관저)-물수리 葛覃(갈담)-칡넝쿨 卷耳(권이) - 도꼬마리 關雎(관저) - 물수리 關關雎鳩(관관저구) 꾸우꾸우 물수리 在河之洲(재하지주) 모래 섬에 있네 窈窕淑女(요조숙녀) 정숙한 아가씨 君子好逑(군자호구) 군자의 좋은 짝이네 參差荇菜(참치행채) 물위의 마름나물 左右流之(좌우류지) 이리저리 따랐네 窈窕淑女(요조숙녀) 정숙한 아가씨 寤寐求之(오매구지) 자나깨나 찾았네 求之不得(구지불득) 찾아봐도 못 만나 寤寐思服(오매사복) 자나깨나 그렸네 悠哉悠哉(유재유재) 언제나 만날까 輾轉反側(전전반측) 잠 이루지 못했네 參差荇菜(참치행채) 물위의 마름나물 左右采之(좌우채지) 이리저리 따왔네 窈窕淑女(요조숙녀) 정숙한 아가씨 琴瑟友之(금슬우지) 금슬 타며 친했네 參差荇菜(참치행채) 물위의 마.. 2007. 3. 31.
유종원 江雪, 왕안석 梅花, 소식 東欄梨花 春夜 산과바다 당송8대가 詩 - 江雪 梅花 東欄梨花 春夜 江雪 -- 柳宗元 (강설 -- 유종원) 千山鳥飛絶 (천산조비절) 온 산에는 새도 날지 않고 萬徑人踪滅 (만경인종멸) 모든 길엔 사람 자취가 끊어졌는데 孤舟蓑笠翁 (고주사립옹) 외로운 배 위의 삿갓 쓴 늙은이가 獨釣寒江雪 (독조한강설) 눈 덮.. 2007. 3. 30.
한국의 100대 명산 산과바다 한국의 100 대 명산 충북 대야산 산림청에서는 "2002 세계 산의 해"를 기념하고 산의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기 위하여 "산의날" 및 "100대 명산"을 선정 공표하였습니다. 100대 명산은 지리·생태학 관련 교수 및 산악관련 전문가 등 13명으로 선정위원회를 구성하여 선정한 것입니다. (가나다순,,) 출처 : 한국의 산천 http://www.koreasan.com ※ 아래의 산명을 클릭하시면 상세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1. 가리산 1,051m 강원 홍천 두촌면, 화촌면 2. 가리왕산 1,561m 강원 정선 북면, 평창 진부면 3. 가야산 1,430m 경남 합천, 거창, 경북 성주 [국립공원] 4. 가지산 1,240m 경남 밀양, 울산 울주, 경북 청도 [도립공원] 5. 감악산.. 2007. 3. 25.
혜능대사와 六祖壇經 산과바다 ---------[ 받은 메일 내용 ]---------- 제목 : 禪이란 날짜 : Tue, 20 Mar 2007 15:48:15 +0900 (KST) 보낸이 : "선재" 받는이 : "이계도" 身是菩提樹 心如明鏡臺 時時勤拂栻 勿使有塵埃 菩提本無樹 明鏡赤非臺 本來無一物 何處有塵埃 선재님이 보내온 禪詩 보내준 神秀大師의 禪詩와 六祖大師 혜능의 禪詩를 읽었군요 神秀大師의 시 " 몸은 보리의 나무요, 마음은 밝은 거울의 받침대와 같나니, 때때로 부지런히 털고 닦아서 티끌과 먼지 묻지 않게 하라" 身是菩提樹(신시보리수) 心如明鏡臺(심여명경대) 時時勸拂拭시시근불식) 勿使惹塵埃(물사야진애) 아래의 혜능의 시가 수좌인 神秀의 시를 눌러 그는 五祖大師인 홍인대사로 부터 법을 받아 혜능은 六祖大師가 되었다는 군요 .. 2007. 3. 20.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의상대사가 화엄의 요지를 밝힌 글 산과바다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의상대앞 의상기념관에 들리어 화엄일승법계도를 담으며 생각함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신라의 고승 의상대사(義湘大師)가 화엄의 요지를 밝힌 글. 낙산사 의상기념관에서 촬영 화엄일승법계도1권 1책. 670년 7월 중국 지상사(至相寺)에서 저술한 것이다. 의상의 저서 중에서 유일하게 전하는 책이기도 하다. 의상은 그냥 〈법계도〉라고 했으나 〈화엄일승법계도장〉·〈화엄법계도〉·〈일승법계도〉·〈법도장 法圖章〉·〈법성도 法性圖〉·〈해인도 海印圖〉 등으로도 불린다. 저자는 모든 것에 주인이 따로 있지 않음을 밝히기 위해 일부러 저자명을 기록하지 않는다고 하고 다만 향상대사(香象大師:의상의 스승인 智儼)라고만 밝혔다. 이때문에 이 책이 법장(法藏) 또는 현수(賢首)의 작품이라.. 2007. 3. 10.
불조삼경 (佛祖三經) - 불설사십이장경(佛說四十二章經), 불유교경(佛遺敎 산과바다 불조삼경 (佛祖三經) 설악산 신흥사앞 불상 불설사십이장경(佛說四十二章經), 불유교경(佛遺敎經), 위산경책(위山警策)을 불조삼경이라 한다. 불조삼경은 1384년(우왕 10) 고려 후기에 전래된 송(宋)나라 판본을 복각한 목판으로 찍은 불교 경전. 지정번호-보물 제1224호 소장-개인 시대-고려 후기(1384) 종류-불교 경전 보물 제1224호. 목판본. 1책. 개인소장. 이 책은 인도에서 제일 먼저 중국에 전해진 것으로 알려진 《불설사십이장경(佛說四十二章經)》과 석가의 최후 가르침인 《불유교경(佛遺敎經)》 및 중국 위앙종( 仰宗)의 조사(祖師) 영우(靈祐)의 《위산경책( 山警策)》을 합철한 것으로, 몽산(蒙山) 덕이(德異)의 서문이 있으며, 이색(李穡)의 발문을 통하여 승려 지봉(志峯)이 김씨 등.. 2007. 3. 10.
선운사 동백꽃 산과바다 선운사 동백꽃 보러 갔더니 07.3.1. 동반하여 나들이 선운사-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도솔산(兜率山)에 위치 선운사 동백꽃 보러 갔더니 동백꽃이 뚝뚝 떨어지고 막걸리집 없어 여자의 육자백이 가락 듣지 못하고 풍천장어 집에 들려 장어구이와 복분자 한잔하고 왔지요 .. 2007. 3. 3.
홍련암과 청간정을 다녀오고 산과바다 홍련암과 청간정을 다녀오고 나는-동반하여 추억 만들기... 추억은 영혼의 보석이라 하던가... 2007년2월24일-25일 일정 : 24일-청주-충주IC중부내륙고속도-영동고속도(점심 대관령휴게소 감자국수)-의상대(홍련암)-속초청초호(시나브로1박)-버스로 대포항(저녁 회+소주+매운탕) 25일-.. 2007. 2. 27.
연천봉에 올라 산과바다 연천봉에 올라 어려운 자연 환경에서 모질게 자라온 바위틈에 자란 소나무 큰소리로 외처본다 ..............." 바위틈 소나무 아름답네!----" 계룡산 자연성능 중간 너럭바위에 앉아서 심호흡으로 마음을 달래보며...... 연천봉에 올라 속인의 마음은 감싸줌이 포근하여 속세번뇌 땀 흘려 씻어내.. 2007.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