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한자성어(漢字成語)***/한자성어(漢字成語)

41. 연령(年齡)에 관련된 漢字成語

by 산산바다 2025. 2. 5.

산과바다

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41. 연령(年齡)에 관련된 漢字成語

연령(年齡)을 나타내는 한자어(漢字語): 유래 
나이 호칭
15 지학(志學), 성동(成童).
20 약관(弱冠), 약령(弱齡), 약년(弱年), 방년(芳年), 방령(芳齡), 묘령(妙齡), 묘년(妙年).
30 이립(而立).
32 이모지년(二毛之年), 이모(二毛).
40 불혹(不惑).
50 지명(知命).
51 망륙(望六).
60 이순(耳順).
61 화갑(華甲), 환갑(還甲), 주갑(周甲), 환력(還曆), 회갑(回甲).
62 진갑(進甲).
61~70 칠질(七秩).
70 고희(古稀), 종심(從心), 희수(稀壽).
77 희수(喜壽).
80 팔순(八旬), 산수(傘壽), 팔질(八耋).
88 미수(米壽).
90 졸수(卒壽).
99 백수(白壽). (白壽)  : 아흔아홉 살. ‘에서 을 빼면 99가 되고 ()가 되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연령(年齡)을 나타내는 한자어(漢字語): 유래 
나이 호칭
15 지학(志學), 성동(成童).
20 약관(弱冠), 약령(弱齡), 약년(弱年), 방년(芳年), 방령(芳齡), 묘령(妙齡), 묘년(妙年).
30 이립(而立).
32 이모지년(二毛之年), 이모(二毛).
40 불혹(不惑).
50 지명(知命).
51 망륙(望六).
60 이순(耳順).
61 화갑(華甲), 환갑(還甲), 주갑(周甲), 환력(還曆), 회갑(回甲).
62 진갑(進甲).
61~70 칠질(七秩).
70 고희(古稀), 종심(從心), 희수(稀壽).
77 희수(喜壽).
80 팔순(八旬), 산수(傘壽), 팔질(八耋).
88 미수(米壽).
90 졸수(卒壽).
99 백수(白壽). (白壽)  : 아흔아홉 살. ‘에서 을 빼면 99가 되고 ()가 되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한글 발음 漢字成語 의미 해석
강장지년 強壯之年 ()’40, ‘()’30라는 뜻으로, 몸이 튼튼하고 힘이 왕성(旺盛)한 나이를 이르는 말.
계피학발 鷄皮鶴髮 피부(皮膚)는 닭의 살갗 같고 머리털은 학()처럼 희다.’는 뜻으로, 늙은이를 이르는 말. 출전:당현종(唐玄宗)의 괴뢰음(傀儡吟)
고희 古稀 고래(古來)로 드문 나이란 뜻으로, 일흔 살을 이르는 말. 두보(杜甫)<곡강시(曲江詩)>에 나오는 말이다. 출전:두보(杜甫)의 곡강시(曲江詩) 두보 시(杜甫 詩) 곡강이수(曲江二首) 人生七十古來稀(인생칠십고래희) : 인생 칠십은 예로부터 드물다 하지 않았는가.  유래 
관동지별 冠童之別 어른과 아이와의 구별(區別).
관세 冠歲 남자(男子) 나이 20.
귀령 龜齡 거북의 나이라는 뜻으로, ‘장수(長壽)’를 이르는 말.
기이 期頤 백 살의 나이. 사람의 수명(壽命)100년으로써 기()로 하므로 라 한 것임. ()는 양(), 곧 몹시 늙어서 음식(飮食)ㆍ기거(起居)가 모두 다른 사람에게 걸린다는 뜻.
대춘지수 大椿之壽 오래도록 삶.
만수무강 萬壽無疆 아무런 탈 없이 아주 오래 삶.
망륙 望六 사람의 나이가 예순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쉰한 살을 이르는 말.  유래 
망백 望百 ()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아흔한 살을 이르는 말.
망오 望五 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마흔하나를 이르는 말. 궁중(宮中)에서, 임금과 왕후(王后), 왕대비(王大妃)의 나이가 쉰이 되기 이삼(二三) () ()에 베풀던 경축연(慶祝宴).
미수 米壽 ()자를 분해(分解)하면 팔십팔(八十八)이 되기 때문에 미수(米壽)여든여덟 살(88)의 다른 이름.  유래 
미수 眉壽 눈썹이 희고 길게 자라도록 오래 사는 수명(壽命)이라는 뜻으로, 남에게 대(해 축수(祝壽)할 때에 쓰는 말.
반백 半百 () 살의 반()인 쉰 살.
반수 半壽 절반(折半)의 나이란 뜻으로, 81세를 말함을 파자(破字)하면 八十一이 되는 데서 유래(由來).
방년 芳年 이십(二十) () 전후(前後)의 한창 젊은 꽃다운 나이.  유래 
백수 白壽 아흔아홉 살. ‘에서 을 빼면 99가 되고 ()가 되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유래 
백수잔년 白首殘年 머리가 세고 죽을 날이 가까운 늙바탕. * 잔년(殘年) : 명이 다할 때까지 얼마 남지 않은 나이. 여생(餘生). 잔생(殘生).
백수지년 白首之年 늙은 나이를 일컫는 말.
불혹 不惑) 마흔 살을 달리 이르는 말. 논어(論語)<위정편(爲政篇)>에서, 공자(孔子)가 마흔 살부터 세상일(世上-)에 미혹(迷惑)되지 않았다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論語(논어) 2. 爲政(위정)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或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 나이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뜻이 섰으며, 마흔 살에 유혹을 이겼으며, 쉰 살에 하늘의 뜻을 알았으며, 예순에 무슨 말이든 다 들어줄 수 있게 되었고, 일흔에 이르러서는 내 마음이 하자는 대로 해도 경우에 어긋나지 않게 되었다.'  유래 
불혹지년 不惑之年 불혹(不惑)의 나이라는 뜻으로, ‘마흔 살을 이르는 말. 논어(論語)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말이다.  유래 
불혹지세 不惑之歲 불혹(不惑)의 나이라는 뜻으로, ‘마흔 살을 이르는 말.
산수 傘壽 ()자의 팔()과 십()을 팔십(八十)으로 간주(看做)하여 80세를 일컬음.  유래 
삼십이립 三十而立 서른 살이 되어 자립(自立)한다.’는 뜻으로, 학문(學問)이나 견식(見識)이 일가(一家)를 이루어 도덕상(道德上)으로 흔들리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출전:논어(論語) 論語(논어) 2. 爲政(위정)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或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 나이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뜻이 섰으며, 마흔 살에 유혹을 이겼으며, 쉰 살에 하늘의 뜻을 알았으며, 예순에 무슨 말이든 다 들어줄 수 있게 되었고, 일흔에 이르러서는 내 마음이 하자는 대로 해도 경우에 어긋나지 않게 되었다.'  유래 
삼칠 三七 스물한 살을 달리 일컫는 말.
상수 上壽 1. 보통(普通) 사람보다 아주 많은 나이. 또는 그 사람. 2. 사람의 수명(壽命)을 상(), (), 하로 나눌 때, 가장 많은 나이로서, 100세를 말함. 또는 100세 이상(以上)된 노인(老人). 3. 120.  유래 
애년 艾年 머리털이 약쑥(-)같이 희어지는 나이라는 뜻으로, 쉰 살을 이르는 말.
애로 艾老 쑥처럼 머리가 하얗게 세었다.’는 뜻으로, 쉰 살이 넘음 또는 그런 사람을 이르는 말.
약관 弱冠 스무 살을 달리 이르는 말. 예기(禮記)<곡례편(曲禮篇)>에서, 공자(孔子)가 스무 살에 관례(冠禮)를 한다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젊은 나이.  유래 
오십천명 五十天命 오십(五十)이 되어 천명(天命)을 안다.’는 뜻으로, 쉰 살을 달리 이르는 말. 출전:논어(論語)  유래 
육순 六旬 예순 살(60일 또는 60).  유래 
이립 而立 서른 살을 달리 이르는 말. 논어(論語)<위정편(爲政篇)>에서, 공자(孔子)가 서른 살에 자립(自立)했다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유래 
이모지년 二毛之年 흰 머리털이 나기 시작(始作)하는 나이라는 뜻으로, 32()를 이르는 말.  유래 
이순 耳順 예순 살을 달리 이르는 말. 논어(論語)<위정편(爲政篇)>에서, 공자(孔子)가 예순 살부터 생각하는 것이 원만(圓滿)하여 어떤 일을 들으면 곧 이해(理解)가 된다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유래 
이팔청춘 二八靑春 열여섯 살 전후(前後)의 젊은이, 젊은 나이.
장가 杖家 집 안에서 지팡이를 짚을 만한 나이라는 뜻으로, 쉰 살을 이르는 말.
장년 壯年 기운(氣運)이 씩씩하여 한창 활동(活動)이 활발(活潑)한 시기(時期). 또는 그런 사람.  유래 
장조 杖朝 나이 여든 살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주나라(周--) 때에, 여든 살이 되면 조정(朝廷)에서 지팡이를 짚는 것을 허락(許諾)한 일에서 유래(由來)한다.
장향 杖鄕 예순 살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주나라(周--) 때에, 노인(老人)60() 되던 해부터 고향(故鄕)에서 지팡이 짚는 것을 허락(許諾)했던 데서 유래(由來)한다.
졸수 卒壽 ()의 약자(略字)의 모양(模樣)에서 따와 졸수(卒壽)는 구십(九十), 90.  유래 
종심 從心 일흔 살을 달리 이르는 말. 논어(論語)<위정(爲政)> ()에서 공자(孔子)칠십이종심소욕불유구(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라고 한 것에서 유래(由來)한다. 論語(논어) 2. 爲政(위정)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或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 나이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뜻이 섰으며, 마흔 살에 유혹을 이겼으며, 쉰 살에 하늘의 뜻을 알았으며, 예순에 무슨 말이든 다 들어줄 수 있게 되었고, 일흔에 이르러서는 내 마음이 하자는 대로 해도 경우에 어긋나지 않게 되었다.'  유래 
지명 知命 1. 천명(天命)을 앎. 2. 쉰 살의 나이를 달리 이르는 말. 공자(孔子)가 나이 쉰 살에 천명(天命)을 알았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출전:논어(論語)  유래 
지명지년 知命之年 쉰 살의 나이를 달리 이르는 말. 공자(孔子)가 나이 쉰 살에 천명(天命)을 알았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유래 
지천명 知天命 하늘의 뜻을 앎. 쉰 살을 달리 이르는 말. 논어(論語)<위정편(爲政篇)>에서, 공자(孔子)가 쉰 살에 하늘의 뜻을 알았다는 데서 나온 말.  유래 
지학 志學 학문(學問)에 뜻을 둠. 열다섯 살을 달리 이르는 말. 논어(論語)<위정편(爲政篇)>에서, 공자(孔子)가 열다섯 살에 학문(學問)에 뜻을 두었다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출전:논어(論語)  유래 
진갑 進甲 환갑(還甲)보다 한 해 더 나아간 해란 뜻으로, 62세를 일컬음.  유래 
청춘 靑春 1. ‘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이라는 뜻으로, () () 후반(後半)에서 이십(二十) ()에 걸치는 인생(人生)의 젊은 나이 또는 그런 시절(時節)을 이르는 말. 2. 191410월에 최남선(崔南善)이 창간(創刊)한 우리나라 최초(最初)의 월간(月刊) 종합지(綜合誌). 청년(靑年)을 상대(相對)로 한 계몽지(啓蒙誌)로서 소년(少年)지가 폐간(廢刊)된 후 그 후신(後身)으로 발간(發刊)한 것으로, 신문학(新文學) 운동(運動)이 일어나던 무렵에 문학(文學) 작품(作品)의 발표(發表) 및 문예(文藝) 작품(作品) 현상(懸賞) 모집(募集)에 의한 창작(創作) 의욕(意欲)의 진작(振作), 해외(海外) 문학(文學) 번역(飜譯翻譯) 소개(紹介) 등 문학(文學) 발전(發展)에 큰 구실을 하였다. 19188월까지 통권(通卷) 15호를 냈다. 3. 독일(獨逸)의 극작가(劇作家) 할베(Halbe, M.)가 지은 희곡(戲曲). 주인공(主人公) 안헨은 대학생(大學生)인 한스와 사랑을 나누나, 안헨의 이복(異腹) 오빠가 질투심(嫉妬心)에서 한스를 죽이려다 잘못해서 동생 안헨을 죽이게 된다는 내용(內容)이다. 청춘(靑春)의 사랑을 주제(主題)로 한 작품(作品)으로 그 당시(當時) 연애(戀愛) 희곡(戲曲)의 대표작(代表作)이다. 1893년에 초연(初演)되었다. 3.
초츤 髫齔 다박머리에 앞니를 갈 무렵의 어린아이라는 뜻으로, 일곱 살이나 여덟 살의 어린애 때를 이르는 말.
춘추정성 春秋鼎盛 1. 혈기(血氣) 왕성(旺盛)한 나이를 이르는 말. 2. 제왕(帝王)의 나이가 젊음. 출전:한서(漢書)
칠순 七旬 일흔 살.  유래 
파과지년 破瓜之年 1. 여자(女子)의 나이 16세를 이르는 말. 곧 오이 과() 자를 파자(破字)하면 여덟 팔() ()가 둘이 되므로 이팔(二八)이 십육(十六)이 됨. 2. 남자(男子)의 나이 64세를 이르는 말. 곧 여덟 팔() ()가 두 개이므로 팔팔(八八)이 육십사(六十四)가 됨. 줄여서 파과(破瓜)라고도 함. 출전:사문유취(事文類聚)
팔순 八旬 여든 살.  유래 
학령 鶴齡 두루미의 나이라는 뜻으로, 장수(長壽)한 노인(老人)의 나이를 이르는 말.
향년 享年 한평생(-平生) 살아 누린 나이라는 뜻으로, 죽은 사람의 나이를 말함.
현여 懸輿 수레를 건다.’는 뜻으로, 나이가 들어 벼슬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한나라(--)의 설광덕(薛廣德)이 관직(官職)을 그만두고 은거(隱居)할 때, 임금이 내린 안거(安車)를 매달아 놓고 자손(子孫)에게 전()한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화갑 華甲 육십갑자(六十甲子)()’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유래 
환갑 還甲 육십갑자(六十甲子)()’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유래 
회갑 回甲 육십갑자(六十甲子)()’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유래 
희년 稀年 드문 나이라는 뜻으로, 일흔 살을 이르는 말.
희수 喜壽 나이 일흔일곱 살을 달리 이르는 말.  유래 
희수 稀壽 나이 일흔 살을 달리 이르는 말.  유래 

 

41 한자성어 연령.hwpx
0.08MB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