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40. 경조사(慶弔事)에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 漢字成語 | 의미 해석 |
강신 | 降神 | 「제사(祭祀) 지낼 때 초헌(初獻)하기 전(前)에 먼저 신(神)이 내리게 하는」 뜻으로, 향(香)을 피우고 술을 따라 모사(茅沙) 위에 붓는 일. 주문(呪文)이나 또는 다른 술법(術法)으로 신(神)을 내리게 함. |
건좌습우 | 乾左濕右 | 제사(祭祀)의 제물(祭物)을 진설(陳設)할 때, 마른 것은 왼쪽,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음. 출전:국립민속박물관(國立民俗博物館) |
계상배언 | 稽顙拜言 | ‘머리를 조아려 사뢴다.’는 뜻으로, 상제(喪制)가 편지(便紙ㆍ片紙) 첫머리나 자기(自己) 이름 다음에 쓰는 한문(漢文) 투(套)의 말. |
고서비동 | 考西妣東 | 제사(祭祀) 지낼 때, 아버지 신위(神位)는 서쪽, 어머니 신위(神位)는 동쪽에 모심. 출 |
공하신년 | 恭賀新年 | ‘삼가 새해를 축하(祝賀)한다.’는 뜻으로, 새해의 복(福)을 비는 인사말(人事-). |
공하신희 | 恭賀新禧 | ‘삼가 새해를 축하(祝賀)한다.’는 뜻으로, 새해의 복(福)을 비는 인사말(人事-). |
근하신년 | 謹賀新年 | ‘삼가 새해를 축하(祝賀)한다.’는 뜻으로, 새해의 복(福)을 비는 인사말(人事-). |
근화사례 | 近火謝禮 | 가까운 곳에서 불이 나 손해(損害)는 입지 않았으나 근심을 끼쳐 미안하다는 인사(人事). |
남좌여우 | 男左女右 | 「음양설(陰陽說)에 왼쪽이 양(陽)이고 오른쪽은 음(陰)이라 하여, 남자(男子)는 왼쪽이 중(重)하고 여자(女子)는 오른쪽이 중(重)하다.」는 말로, 이런 뜻에서 맥ㆍ손금ㆍ자리 등도 여자(女子)는 오른쪽을, 남자(男子)는 왼쪽을 취(取)함. |
두동미서 | 頭東尾西 | 제사(祭祀)의 제물(祭物)을 진설(陳設)할 때, 생선(生鮮)의 머리는 동쪽을 향(向)하고 꼬리는 서쪽을 향(向)하게 놓음. 출전:국립민속박물관(國立民俗博物館) |
무축단잔 | 無祝單盞 | 기제사(忌祭祀)와 달리 차례(茶禮)는 약식(略式) 제사(祭祀)이기 때문에 잔(盞) 드리기를 한 번만 하고 축문(祝文)을 읽지 않음. |
반서갱동 | 飯西羹東 | 제사(祭祀)의 제물(祭物)을 진설(陳設)할 때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놓음. 출전:국립민속박물관(國立民俗博物館) |
붕성지통 | 崩城之痛 | ‘성(城)이 무너질 만큼 큰 슬픔’이라는 뜻으로, 남편(男便)이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
붕천지통 | 崩天之痛 | ‘하늘이 무너지는 슬픔’이라는 뜻으로, 아버지가 돌아가신 슬픔을 이르는 말. |
사인사질 | 斯人斯疾 | ‘이 사람이 이런 병(病)에 걸렸다.’라는 뜻으로, 몹시 아끼는 사람이 병(病)들어 죽게 되었다는 것을 말함. 조문(弔問) 할 때에 쓰는 말. 출전:논어(論語) 論語(논어) 6. 雍也(옹야) 斯人也而有斯疾也 : 이런 사람이 몹쓸 병에 걸리다니! 유래 |
사인이유사질 | 斯人而有斯疾 | ‘이 사람이 이런 병(病)에 걸렸다.’라는 뜻으로, 몹시 아끼는 사람이 병(病)들어 죽게 되었다는 것을 말함. 조문(弔問) 할 때에 쓰는 말. |
상향 | 尙饗 | ‘적지만 흠향(歆饗)하옵소서’의 뜻으로, 축문(祝文)의 맨 끝에 쓰는 말. |
생동숙서 | 生東熟西 | 생채(生菜)(김치)는 동쪽, 숙채(熟菜)(나물)은 서쪽에 차리는 격식(格式)을 뜻함. 출전:국립민속박물관(國立民俗博物館) |
아헌 | 亞獻 | 제사(祭祀) 지낼 때 두 번째 잔을 올리고, 네 번 절함. * 삼헌(三獻) : 제사 때, 술잔을 초헌(初獻)·아헌(亞獻)·종헌(終獻) 세 번 올림. |
어동육서 | 魚東肉西 | 제사상(祭祀床)을 차릴 때 어찬(魚饌)은 동쪽에, 육찬(肉饌)은 서쪽에 놓음. 출전:국립민속박물관(國立民俗博物館) |
인간대사 | 人間大事 | 인간(人間)의 일생(一生) 중(中) 중대(重大)한 일. 곧 결혼(結婚)과 장례(葬禮)를 이름. |
접동잔서 | 楪東盞西 | 접시는 동쪽에 차리고 잔은 서쪽에 차림. |
조율이시 | 棗栗梨柹 | 1. 제사(祭祀)에 흔히 쓰는 대추, 밤, 배, 감 따위의 과실(果實). 2. 제사(祭祀)의 제물(祭物)을 진설(陳設)할 때, 왼쪽부터 대추ㆍ밤ㆍ배ㆍ감의 차례(次例)로 차리는 격식(格式). |
좌포우혜 | 左脯右醯 | 제사(祭祀)의 제물(祭物)을 진설(陳設)할 때, 육포(肉脯)는 왼쪽에, 식혜(食醯)는 오른쪽에 차리는 격식(格式). 출전:국립민속박물관(國立民俗博物館) |
천붕 | 天崩 | 「하늘이 무너진다.」는 뜻으로, 임금이나 부모(父母)가 돌아가시는 것을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슬픔」이라 하여 이르는 말. |
천붕지통 | 天崩之痛 |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은 아픔’이라는 뜻으로, 제왕(帝王)이나 아버지의 죽음을 당(當)한 슬픔을 이르는 말. |
향촉대 | 香燭代 | ‘상에 켜는 촛값 정도(程度)의 약소(略少)한 성의(誠意)’를 뜻하는 말로, 근조(謹弔), 부의(賻儀), 조의(弔儀), 전의(奠儀) 등(等)과 함께 초상(初喪) 때 부의금(賻儀金)의 겉봉투(-封套)에 쓰이는 말. |
헌수 | 獻壽 | 환갑 잔치(還甲--) 같은 때 오래 살기를 비는 뜻으로 잔에 술을 부어서 드림. |
홍동백서 | 紅東白西 | 제사(祭祀) 때 제물(祭物)을 차려 놓는 차례(次例). 붉은 과실(果實)은 동쪽에 흰 과실(果實)은 서쪽에 차리는 격식(格式)을 뜻함. 출전:국립민속박물관(國立民俗博物館) |
산과바다 이계도
'***한자성어(漢字成語)*** > 한자성어(漢字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42. 절기(節氣)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6 |
---|---|
41. 연령(年齡)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5 |
39. 백중(伯仲)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5 |
38. 가난(家難)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5 |
37. 외로움(孤獨)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