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한자성어(漢字成語)***/한자성어(漢字成語)

42. 절기(節氣)에 관련된 漢字成語

by 산산바다 2025. 2. 6.

산과바다

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42. 절기(節氣)에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漢字成語 의미 해석
건양다경 建陽多慶 입춘(立春)을 맞이하여 길운(吉運)을 기원(祈願)하는 글.  유래 
경복 庚伏 삼복(三伏)’을 달리 이르는 말. 하지(夏至) ()의 셋째 경일(庚日)에 시작(始作)한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국월 菊月 국화꽃(菊花-)이 피는 달이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9()을 달리 이르는 말.
국추 菊秋 국화꽃(菊花-)이 피는 가을이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9()을 이르는 말.
기망 旣望 음력(陰曆)으로 매달(-) 열엿샛날. 출전:적벽부(赤壁賦) 前赤壁賦(전적벽부) : 소식(蘇軾) 壬戌之秋七月既望蘇子与客泛舟遊于赤壁之下: 임술년 가을 716에 나는 객과 함께 배를 띄워 적벽(赤壁) 아래에서 노닐었다.  유래 
남지 南至 태양(太陽)이 남회귀선(南回歸線) 위에 이른다.’는 뜻으로, ‘동지(冬至)’를 이르는 말.
녹음방초 綠陰芳草 푸르게 우거진 나무와 향기(香氣)로운 풀이라는 뜻으로, 여름철의 자연(自然) 경관(景觀)을 이르는 말.
도월 桃月 복숭아꽃이 피는 달이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3()을 달리 이르는 말.
동장군 冬將軍 겨울 장군(將軍)’이라는 뜻으로, 혹독(酷毒)한 겨울 추위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만추가경 晚秋佳景 늦가을의 아름다운 경치(景致).
매하 梅夏 매실(梅實)이 익을 무렵의 여름이라는 뜻으로, 긴 장마가 지는 음력(陰曆) 유월경(六月頃)을 이르는 말.
맥풍 麥風 보리 위를 스치는 바람이라는 뜻으로, 초여름(--)의 훈훈(薰薰)한 바람을 이르는 말.
목왕지절 木旺之節 오행(五行)의 목기(木氣)가 성()한 때라는 뜻으로, ‘봄철을 달리 이르는 말.
박초풍 舶趠風 배를 빨리 달리게 하는 바람이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5()에 부는 바람을 이르는 말.
반하생 半夏生 반하(半夏)라는 약재(藥材)가 나올 무렵이란 뜻으로, 하지(夏至)로부터 11()째 되는 날을 이르는 말. 양력(陽曆)으로는 7() 2일경이다.
방동 方冬 바야흐로 겨울이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10()을 달리 이르는 말.
방절 芳節 꽃다운 아름다운 철이란 뜻으로, 봄철을 이르는 말.
서월 暑月 더운 달이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유월(六月)을 이르는 말.
설월화 雪月花 눈과 달과 꽃이라는 뜻으로, 사철(-)의 좋은 경치(景致)를 이르는 말.
세한 歲寒 설 전후(前後)의 추위라는 뜻으로, 매우 심()한 한겨울의 추위를 이르는 말.
세한고절 歲寒孤節 추운 계절(季節)에도 혼자 푸르른 대나무.  유래 
소절 素節 1. ‘가을철을 달리 이르는 말. 오행설(五行說)에서 흰빛은 가을에 해당(該當)한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2. 때 묻지 아니한 깨끗한 절개(節槪節介). 3. 평소(平素)의 행실(行實).
소추 素秋 가을철을 달리 이르는 말. 오행설(五行說)에서 흰빛은 가을에 해당(該當)한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송구영신 送舊迎新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출전:한서(漢書)  유래 
신일 愼日 근신(謹愼)하여 경거망동(輕擧妄動)을 삼가는 날이란 뜻으로, ‘설날을 이르는 말.
악월 惡月 ()이 나쁘거나 흉년(凶年)이 드는 달이라는 뜻으로, ()로 음력(陰曆) 5()을 이르는 말.
약일 藥日 ()이나 들에 나가서 약풀(-)을 캐어 모으는 날이라는 뜻으로, ‘단오(端午)’를 달리 이르는 말.
양시 良時 좋은 때라는 뜻으로, ‘봄철을 이르는 말.
양신미경 良辰美景 좋은 시절(時節)과 아름다운 경치(景致)’라는 뜻으로, 봄 경치(景致)를 이르는 말.
양춘 陽春 따뜻한 봄. 음력(陰曆) 정월(正月)의 다른 이름.
양춘가절 陽春佳節 따뜻하고 좋은 봄철.
염절 炎節 몹시 더운 계절(季節)’이라는 뜻으로, ‘여름을 달리 이르는 말.
오월 梧月 오동나무(梧桐--)의 잎이 지는 가을이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칠월(七月)을 이르는 말.
오추 梧秋 오동나무(梧桐--)의 잎이 지는 가을이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칠월(七月)을 이르는 말.
우월 雨月 비 오는 달이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5()을 달리 이르는 말.
월백풍청 月白風淸 달은 빛나고 바람은 맑다.’는 뜻으로, 달 밝은 가을밤을 이르는 말.
유월 流月 유두(流頭)가 있는 달이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유월(六月)을 이르는 말.
유월 榴月 석류꽃(石榴-)이 피는 달이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오월(五月)을 이르는 말.
일난풍화 日暖風和 일기(日氣)가 따뜻하고 바람이 온화(溫和).
일양내복 一陽來復 ()이 끝나고 양()이 돌아온다.’는 뜻으로, 동짓달(冬至-)이나 동지(冬至)를 이르는 말. 주역(周易)<복괘(復卦)> 본의(本義)에 나오는 말이다. 궂은일이 걷히고 좋은 일이 돌아옴. 겨울이 가고 봄이 돌아옴. 周易上經(주역 상경) 24 지뢰복(地雷復) (☷☳) : 일양내복(一陽來復)의 형상이다. 봄이 돌아왔으나, 급히 나가면 위험하다.
일행 日行 하루를 걸음. 또는 하루에 걷는 걸음. 해가 간다는 뜻으로, ‘절기(節氣)’를 이르는 말.
입매 入梅 매우(梅雨)에 들어간다.’는 뜻으로, 장마철에 들어감을 이르는 말. * 매우(梅雨) : 매화나무 열매가 익을 무렵의 장마라는 뜻으로, 6월 상순부터 7월 상순에 걸쳐 계속되는 장마.
입춘대길 立春大吉 입춘(立春)을 맞이하여 길운(吉運)을 기원(祈願)하며 벽()이나 문짝(-) 따위에 써 붙이는 글귀(-).  유래  * 보통 입춘문(立春文)으로 쓰이는 문구(立春)로는 (立春大吉 建陽多慶) :봄이 시작(立春)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慶事)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祈願)한다. (國泰民安 家給人足) : 나라는 태평(太平泰平)하고 백성(百姓)은 편안(便安)하며 집집이 넉넉하다. (開門萬福來 掃地黃金出) : ()을 열면 복()이 들어오고 땅을 쓸면 황금(黃金)이 나온다. (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 : 부모(父母)는 천() ()을 장수(長壽)하시고 자식(子息)은 만대(萬代)까지 번영(繁榮)하라. (去千災 來百福) : 온갖 재앙(災殃)은 가고 모든 복()은 오라. ()이 쓰인다.
적음 積陰 쌓이고 쌓인 음기(陰氣)’라는 뜻으로, 한기(寒氣)나 겨울철을 이르는 말.
절교 折膠 아교(阿膠)가 굳어져 꺾이는 때라는 뜻으로, 늦가을 철을 이르는 말.
주단야장 晝短夜長 낮은 짧고 밤은 길다.’는 뜻으로, 동지(冬至)의 전후(前後)를 이르는 말.
주장야단 晝長夜短 낮은 길고 밤은 짧다.’는 뜻으로, 하지(夏至)의 전후(前後)를 이르는 말.
죽소춘 竹小春 음력(陰曆) 8()을 달리 이르는 말. 이때쯤 대나무의 신록(新綠)이 한창인 데에서 유래(由來)한다.
중동 仲冬 겨울이 한창인 때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11()을 달리 이르는 말.
중상 仲商 가을이 한창인 때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8()을 달리 이르는 말. 仲商=中秋
중양 仲陽 음력(陰曆) 2()을 달리 이르는 말.
중추 仲秋 가을이 한창인 때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8()을 달리 이르는 말.
중춘 仲春 봄이 한창인 때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2()을 달리 이르는 말.
중하 仲夏 여름이 한창인 때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5()을 달리 이르는 말.
천고마비 天高馬肥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하늘이 맑아 높푸르게 보이고 온갖 곡식(穀食)이 익는 가을철을 이르는 말. 출전:한서(漢書)의 흉노전(匈奴傳)  유래 
추고마비 秋高馬肥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하늘이 맑아 높푸르게 보이고 온갖 곡식(穀食)이 익는 가을철을 이르는 말. 출전:두심언(杜審言)의 시() 유래 
추고새마비 秋高塞馬肥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하늘이 맑아 높푸르게 보이고 온갖 곡식(穀食)이 익는 가을철을 이르는 말.
추구월 秋九月 가을철이란 뜻으로, 음력(陰曆) 구월(九月)을 이르는 말.
추천절 鞦韆節 그네 뛰는 명절(名節)’이라는 뜻으로, ‘단오절(端午節)’을 달리 이르는 말.
추팔월 秋八月 가을철이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팔월(八月)을 문자투(文字套)로 이르는 말.
하월비상 夏月飛霜 여름철에도 서리가 내린다.’는 뜻으로, 포악무도(暴惡無道)함을 이르는 말.  유래 
향서 向暑 더운 쪽으로 향()한다.’는 뜻으로, 차차(次次) 더워짐을 이르는 말.
화신풍 花信風 1. 꽃이 피려고 함을 알리는 바람이라는 뜻으로, 꽃이 필 무렵에 부는 바람을 이르는 말. 2. 소한(小寒)에서 곡우(穀雨)까지 이십사후(二十四候) 사이에, 닷새마다 새로운 꽃이 피는 것을 알려 주는 봄바람.
화왕지절 火旺之節 오행(五行)에서 화기(火氣)가 왕성(旺盛)한 절기(節氣)라는 뜻으로, ‘여름을 이르는 말.
화풍난양 和風暖陽 솔솔 부는 화창(和暢)한 바람과 따스한 햇볕이라는 뜻으로, 따뜻한 봄 날씨를 이르는 말.
황매우 黃梅雨 매화나무(梅花--)의 열매가 누렇게 익을 무렵에 내리는 비라는 뜻으로, 장마를 이르는 말.
흉월 凶月 ()이 나쁘거나 흉년(凶年)이 드는 달이라는 뜻으로, 주로 음력(陰曆) 5()을 이르는 말.

 

42 한자성어 절기.hwpx
0.09MB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