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44. 호칭(呼稱)에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 漢字成語 | 의미 해석 |
가부지친 | 葭莩之親 | ‘갈대의 줄기에 붙어 있는 갈대청같이 엷게 붙어 있는 친척(親戚)’이라는 뜻으로, 촌수(寸數)가 먼 인척(姻戚)을 이르는 말. |
과처 | 寡妻 | 남에게 자기(自己)의 아내를 낮추어 이르는 말. 중국(中國) 후한(後漢) 때에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으로 만든 치마를 입었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
동상 | 東牀 | ‘동쪽(東-) 평상(平牀)’이라는 뜻으로, ‘사위’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中國) 진나라(晉--)의 극감(郄鑒)이 사위를 고르는데, 왕도(王導)의 아들 가운데 동쪽(東-) 평상(平牀) 위에서 배를 드러내고 누워 있는 왕희지(王羲之)를 골랐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
외형 | 畏兄 | ‘두려워하며 존경(尊敬)하는 형(兄)’이라는 뜻으로, 친구(親舊)를 대접(待接)하여 부르는 말. |
우독 | 愚禿 | ‘머리 벗어진 어리석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승려(僧侶)가 자기(自己)를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一人稱) 대명사(代名詞). |
우생 | 愚生 | ‘어리석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말하는 이가 자기(自己)를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一人稱) 대명사(代名詞). |
우신 | 愚臣 | ‘어리석은 신하(臣下)’라는 뜻으로, 신하(臣下)가 임금을 상대(相對)하여 자기(自己)를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一人稱) 대명사(代名詞). |
하신 | 下臣 | ‘미천(微賤)한 신하(臣下)’라는 뜻으로, 신하(臣下)가 자기(自己)를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一人稱) 대명사(代名詞). |
형부 | 荊婦 | 남에게 자기(自己)의 아내를 낮추어 이르는 말. 중국(中國) 후한(後漢) 때에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으로 만든 치마를 입었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
산과바다 이계도
'***한자성어(漢字成語)*** > 한자성어(漢字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43. 편지(便紙)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6 |
---|---|
42. 절기(節氣)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6 |
41. 연령(年齡)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5 |
40. 경조사(慶弔事)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5 |
39. 백중(伯仲)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