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38. 가난(家難)에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 漢字成語 | 의미 해석 |
가도벽립 | 家徒壁立 | ‘빈한(貧寒)한 집안이라서 아무것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살림이 심(甚)히 구차(苟且)함을 이르는 말. 출전:한서(漢書)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 |
가도사벽 | 家徒四壁 | ‘집안이 네 벽 뿐’이라는 뜻으로, 집안 형편(形便)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출전:한서(漢書)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 |
가무담석 | 家無擔石 | ‘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 집에 조금도 없다.’는 뜻으로, 집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 |
가빈낙백 | 家貧落魄 | ‘집안이 가난하여 혼백(魂魄)이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失意)에 빠짐. 출전:사기(史記)의 역생육가열전(酈生陸賈列傳) |
격종정식 | 擊鐘鼎食 | ‘종(鐘)을 쳐서 식솔(食率)을 모아 솥을 걸어놓고 먹는다.’는 뜻으로, 부유(富裕)한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
계옥지수 | 桂玉之愁 | ‘계수나무(桂樹--)보다 비싼 장작(長斫)과 옥(玉)보다 귀(貴)한 쌀로 생활(生活)하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다른 나라에 살면서 겪는 괴로움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
계옥지탄 | 桂玉之嘆 | 식량(食糧) 구(求)하기가 계수나무(桂樹--) 구(求)하듯이 어렵고, 땔감을 구(求)하기가 옥(玉)을 구(求)하기 만큼이나 어려움. |
고어지사 | 枯魚之肆 | ‘목마른 고기의 어물전(魚物廛)’이라는 뜻으로, 매우 곤궁(困窮)한 처지를 비유(比喩ㆍ譬喩). 출전:장자(莊子) |
구구생활 | 區區生活 | 겨우겨우 살아 나가는 변변하지 못한 생활(生活). |
남부여대 | 男負女戴 | ‘남자(男子)는 지고 여자(女子)는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
누항단표 | 陋巷簞瓢 | ‘누항(陋巷)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淸貧)한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 단표(簞瓢) 단사표음(簞食瓢飮)의 준말 : 도시락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소박한 생활의 비유. 청빈한 생활. |
단사표음 | 簞食瓢飮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瓢--)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淸貧)하고 소박(素朴)한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출전:논어(論語) 論語(논어) 6. 雍也(옹야) 子曰 賢哉 回也 一簞食 一瓢飮 在陋巷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안회는 정말 현명하다. 한 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로 다 쓰러져가는 동네에서 살고 있구나. 유래 |
단표누항 | 簞瓢陋巷 | ‘누항(陋巷)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淸貧)한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
문전걸식 | 門前乞食 | 이 집 저 집 돌아다니며 빌어먹음. |
미주신계 | 米珠薪桂 | ‘쌀은 구슬 보다 비싸고, 땔감은 계수나무(桂樹--)보다 비싸다.’는 뜻으로, 물가(物價) 가 치솟아 생활(生活)하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
부중생어 | 釜中生魚 | ‘솥 안에 물고기가 생긴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여 오랫동안 밥을 짓지 못함을 이르는 말. ≪후한서(後漢書)≫의 <범염전(范冉傳)>에 나오는 말이다. |
빈주 | 貧廚 | 「음식(飮食)이 넉넉하지 못한 부엌」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살림을 이르는 말. |
삼간초가 | 三間草家 | ‘세 칸밖에 안 되는 초가(草家)’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집을 이르는 말. |
삼간초옥 | 三間草屋 | ‘세 칸밖에 안 되는 초가(草家)’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집을 이르는 말. |
삼순구식 | 三旬九食 | ‘삼십(三十) 일(日) 동안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함을 이르는 말. |
상루하습 | 上漏下濕 | ‘위에서는 비가 새고 아래에서는 습기(濕氣)가 오른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한 집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장자(莊子) |
상우방풍 | 上雨旁風 | ‘위로는 비가 새고 옆으로는 바람이 들이친다.’는 뜻으로, 비바람이 들이치는 낡은 집을 이르는 말. |
상호 | 桑戶 | ‘뽕나무로 만든 지게문(--門)’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
소사채갱 | 疏食菜羹 | 「거친 음식(飮食)과 나물국」이란 뜻으로, 청빈(淸貧)하고 소박(素朴)한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
식옥취계 | 食玉炊桂 | ‘식량으로 옥을 먹고, 계수나무(桂樹--)로 밥을 짓는다.’는 뜻으로, 물가(物價)가 비싸 생활(生活)이 어려움을 이르는 말. |
안분지족 | 安分知足 | 편안(便安)한 마음으로 제 분수(分數)를 지키며 만족(滿足)할 줄을 앎. |
안빈낙도 | 安貧樂道 | 가난한 생활(生活)을 하면서도 편안(便安)한 마음으로 도(道)를 즐겨 지킴. |
옹유승추 | 甕牖繩樞 | 「깨진 항아리의 주둥이로 창을 하고, 새끼로 문을 단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출전:가의(賈誼) |
의리폐천 | 衣履弊穿 | 「옷은 헤어지고, 신발은 구멍이 났다.」는 뜻으로, 빈천(貧賤)한 차림을 이르는 말. 출전:장자(莊子) |
조강불포 | 糟糠不飽 | 가난하여 술찌끼와 쌀겨조차 배부르게 먹을 수 없음. |
형비 | 荊扉 | 가시나무로 짜 만든 문짝(門-). 조잡(粗雜)하고 허름하게 만든 문짝(門-). ‘가시나무로 짜 만든 사립문(--門)’이라는 뜻으로, 매우 구차(苟且)한 살림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
호구 | 糊口(餬口) | ‘입에 풀칠(-漆)을 한다.’는 뜻으로, 겨우 끼니를 이어 감을 이르는 말. |
산과바다 이계도
'***한자성어(漢字成語)*** > 한자성어(漢字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 경조사(慶弔事)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5 |
---|---|
39. 백중(伯仲)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5 |
37. 외로움(孤獨)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5 |
36. 위기(危機)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4 |
35. 원한(怨恨)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