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39. 백중(伯仲)에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 漢字成語 | 의미 해석 |
갑론을박 | 甲論乙駁 | 「갑(甲)이 논(論)하면 을(乙)이 논박(論駁)한다.」는 뜻으로, 서로 논란(論難)하고 반박(反駁)함을 이르는 말. |
난백난중 | 難伯難仲 | ‘누가 맏형(-兄)이고 누가 둘째 형(兄)인지 분간(分揀)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비교(比較)되는 대상(對象)의 우열(優劣)을 가리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
난위형난위제 | 難爲兄難爲弟 | ‘누구를 형(兄)이라 하고 누구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두 사물(事物)이 비슷하여 낫고 못함을 정(定)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출전:세설신어(世說新語) 유래 |
난형난제 | 難兄難弟 | ‘누구를 형(兄)이라 하고 누구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두 사물(事物)이 비슷하여 낫고 못함을 정(定)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출전:세설신어(世說新語) 유래 |
녹사수수 | 鹿死誰手 | ‘사슴이 누구의 손에 죽는가.’라는 뜻으로, 승패(勝敗)를 결정(決定)하지 못하는 것을 이르는 말. 출전:진서(晉書) |
막상막하 | 莫上莫下 | 더 낫고 더 못함의 차이(差異)가 거의 없음. |
백중 | 伯仲 | 1. 맏이와 둘째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재주나 실력(實力), 기술(技術) 따위가 서로 비슷하여 낫고 못함이 없음. 또는 그런 형세(形勢). |
백중세 | 伯仲勢 | 서로 우열(優劣)을 가리기 힘든 형세(形勢). 위나라(魏--) 문제(文帝)의 ≪전론(典論)≫에서 나온 말이다. |
백중지간 | 伯仲之間 | 서로 우열(優劣)을 가리기 힘든 형세(形勢). 위나라(魏--) 문제(文帝)의 ≪전론(典論)≫에서 나온 말이다. |
백중지세 | 伯仲之勢 | 서로 우열(優劣)을 가리기 힘든 형세(形勢). 위나라(魏--) 문제(文帝)의 ≪전론(典論)≫에서 나온 말이다. * 옛날에 형제(兄弟)의 순서(順序)를 백(伯), 중(仲), 숙(叔), 계(季)로 일컬었음. 유래 |
양웅상쟁 | 兩雄相爭 | ‘용(龍)과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강자(強者)끼리 서로 싸움을 이르는 말. |
용나호척 | 龍拏虎擲 | ‘용과 범이 맞붙어 싸운다.’는 뜻으로, 영웅(英雄)들이 서로 싸움을 이르는 말. |
용양호박 | 龍攘虎搏 | ‘용(龍)처럼 세차게 물리치고 범처럼 세차게 친다.’는 뜻으로, 맹렬(猛烈)히 싸우는 모양(模樣)을 이르는 말. |
용호상박 | 龍虎相搏 | ‘용(龍)과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강자(強者)끼리 서로 싸움을 이르는 말. 유래 |
정여노위 | 政如魯衛 | 두 나라의 정치가(政治家) 서로 비슷함을 이르는 말. 유래 |
중원지록 | 中原之鹿 | ‘중원(中原)의 사슴’이라는 뜻으로, 천자(天子)의 자리. 또는 천자(天子)를 비유(比喩ㆍ譬喩)해 이르는 말. 유래 |
중원축록 | 中原逐鹿 | 1. ‘넓은 들판 한가운데서 사슴을 쫓는다.’는 뜻으로, 군웅(群雄)이 제왕(帝王)의 지위(地位)를 얻으려고 다투는 일을 이르는 말. 중원(中原)을 천하(天下)에, 사슴을 제왕(帝王)의 지위(地位)에 비유(比喩ㆍ譬喩)하였다. 2. 서로 경쟁(競爭)하여 어떤 지위(地位)를 얻고자 하는 일을 이르는 말. 유래 |
축록 | 逐鹿 | ‘사슴을 뒤쫓는다.’는 뜻으로, 제위(帝位)나 정권(政權) 따위를 얻으려고 다투는 일을 이르는 말. ≪사기(史記)≫의 <회음후전(淮陰侯傳)>에 나오는 말이다. 유래 |
춘란추국 | 春蘭秋菊 | 봄의 난초(蘭草)와 가을의 국화(菊花)는 각각(各各) 특색(特色)이 있어 어느 것이 더 낫다고 할 수 없음. 출전:태평광기(太平廣記) |
팔년병화 | 八年兵火 | 싸움이 오랫동안 계속(繼續)되어도 승부(勝負)가 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유래 |
산과바다 이계도
'***한자성어(漢字成語)*** > 한자성어(漢字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 연령(年齡)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5 |
---|---|
40. 경조사(慶弔事)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5 |
38. 가난(家難)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5 |
37. 외로움(孤獨)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5 |
36. 위기(危機)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