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한자성어(漢字成語)***/한자성어(漢字成語)

6. 효행(孝行)에 관련된 漢字成語

by 산산바다 2025. 1. 30.

산과바다

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6. 효행(孝行)에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漢字成語 의미 해석
가빈친로 家貧親老  ‘집이 가난하고 어버이가 늙었다.’는 뜻으로, 집안의 사정(事情)이 여의(如意)치 못하여 마땅치 않은 일이라도 해야 하는 상태(狀態)를 이르는 말. 출전:공자가어(孔子家語)
고빙 叩氷 물고기를 잡기 위하여 얼음에 구멍을 내려고 두드림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진나라(--)의 왕연(王延)이 효성(孝誠)이 지극(至極)하여 계모(繼母)가 겨울철에 잉어를 먹고 싶어 하자 얼음을 두들겨 깨고 물고기를 얻었다는데서 유래(由來)한다.
노래지희 老萊之戲 노래자(老萊子)의 재롱이라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나이가 들어도 부모(父母)의 자식(子息)에 대()한 마음은 똑같으니 변()함없이 효도(孝道)를 해야 한다는 말. 출전:몽구(蒙求) 유래 
동온하정 冬溫夏凊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모(父母)를 잘 섬기어 효도(孝道)함을 이르는 말.
반의지희 斑衣之戲 늙어서 효도(孝道)함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초나라(--)의 노래자(老萊子)가 일흔 살에 늙은 부모(父母)님을 위로(慰勞)하려고 색동저고리(----)를 입고 어린이처럼 기어 다녀 보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출전:몽구(蒙求) 유래 
반포 反哺 자식(子息)이 커서 부모(父母)를 봉양(奉養)하는 일.
반포보은 反哺報恩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 까마귀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어 보답(報答)한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자라서 어버이의 은혜(恩惠)에 보답(報答)함으로써 효()를 행()함을 이르는 말.
반포지효 反哺之孝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라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恩惠)를 갚는 효성(孝誠)을 이르는 말. 유래 
백유읍장 伯兪泣杖 백유(伯兪)가 매를 맞으며 운다.’는 뜻으로, 늙고 쇠약(衰弱)해진 어머니의 모습을 보여 슬퍼함. 유래 
백유지효 伯兪之孝 백유(伯兪)의 효도(孝道)’라는 뜻으로, 어버이에 대한 지극(至極)한 효심(孝心)을 일컫는 말. 유래 
봉양 奉養 부모(父母)나 조부모(祖父母)와 같은 웃어른을 받들어 모심.
선침온석 扇枕溫席 부채질로 시원하게, 이부자리를 따뜻하게 한다.’라는 뜻으로, 부모(父母)에게 효도(孝道)를 다함. 출전:예기(禮記)
수욕정이풍부지 樹欲靜而風不止 나무가 조용히 있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부모(父母)님을 공양(供養)하고 싶어도 부모(父母)님이 별세(別世)하여 세상(世上)에 계시지 않음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출전:한시외전(韓詩外傳) 유래 
숙수지환 菽水之歡 콩과 물만 먹는 가난한 생활(生活) 속에서의 즐거움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중()에도 부모(父母)를 잘 섬겨 그 마음을 기쁘게 함을 이르는 말.
애일 愛日 시일(時日)을 아낀다.’는 뜻으로, 부모(父母)를 섬길 수 있는 날이 적음을 안타까워하여 하루라도 더 정성(精誠)껏 봉양(奉養)하려고 노력(勞力)하는 효성(孝誠)을 이르는 말. ‘사랑해야 할 햇빛이라는 뜻으로, 겨울의 낮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양지 養志 1. 부모(父母)의 뜻을 받들어 지극(至極)한 효도(孝道)를 다하는 일. 2. 자기(自己)의 뜻을 기름. 3. 심지(心志)를 고상(高尙)하게 갈고 닦음.
오유반포지효 烏有反哺之孝 까마귀에게도 그 새끼가 자라서 어버이에게 먹이를 먹여 주는 일이 있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부모(父母)의 은혜(恩惠)에 보답(報答)함을 이르는 말.
오조사정 烏鳥私情 까마귀가 새끼 적에 어미가 길러 준 은혜(恩惠)를 갚는 사사(私事)로운 애정(愛情)’이라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부모(父母)에게 효성(孝誠)을 다하려는 마음을 이르는 말.
온정 溫凊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모(父母)를 잘 섬기어 효도(孝道)함을 이르는 말.
온정정성 溫凊定省 자식(子息)이 효성(孝誠)을 다하여 부모(父母)를 섬기는 도리(道理).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하며, 저녁에는 자리를 편(便)히 마련하고, 아침에는 안부(安否)를 여쭙는 일을 이른다. 출전:예기(禮記)
원걸종양 願乞終養 부모(父母)가 돌아가시는 날까지 봉양(奉養)하기를 원()하다.’는 뜻으로, 부모(父母)에 대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이르는 말. 출전:이밀(李密)의 진정표(陳情表)
은불위친 隱不違親 속세(俗世)를 떠나 산속에 숨어들어도 어버이 섬기기를 게을리 하지 않음. 출전:후한서(後漢書)
입봉모의 入奉母儀 집에 들어서는 어머니를 받들어 종사(從事)해야 함.
자로부미 子路負米 공자(孔子)의 제자(弟子)인 자로(子路)는 가난하여 매일(每日) 쌀을 등짐으로 져서 백 리 밖까지 운반(運搬)하여 그 운임(運賃)을 받아 양친(兩親)을 봉양(奉養)했다함. 출전:공자가어(孔子家語)
자욕양이친부대 子欲養而親不待 자식(子息)이 부모(父母)에게 봉양(奉養)하고자 하나 부모(父母)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뜻으로, 효도(孝道)를 다하지 못한 채 부모(父母)를 잃은 자식(子息)의 슬픔을 가리키는 말로 부모(父母)가 살아계실 때 효도(孝道)를 다하라는 뜻. 출전:한시외전(韓詩外傳) 유래 
정성온청 定省溫淸 아침 저녁으로 부모(父母)의 이부자리를 보살펴 안부(安否)를 묻고, 따뜻하고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부모(父母)를 섬기는 도리(道理)를 이르는 말. 출전:예기(禮記)
출천대효 出天大孝 하늘이 낸 효자(孝子)’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자(孝子)나 효성(孝誠)을 이르는 말.
출천지효 出天之孝 하늘이 낸 효자(孝子)’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자(孝子)나 효성(孝誠)을 이르는 말.
풍목지비 風木之悲 효도(孝道)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子息)의 슬픔을 이르는 말.
풍수지비 風樹之悲 효도(孝道)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子息)의 슬픔을 이르는 말.
풍수지탄 風樹之歎(風樹之嘆) 효도(孝道)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子息)의 슬픔을 이르는 말. 출전:한시외전(韓詩外傳) 유래 
할고료친 割股療親 허벅지의 살을 잘라내어 부모(父母)를 치료(治療)한다.는 뜻으로, 효행(孝行)을 비유(比喩譬喩)하여 이르는 말. 출전:송사(宋史)
혼정신성 昏定晨省 밤에는 부모(父母)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父母)의 밤새 안부(安否)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父母)를 잘 섬기고 효성(孝誠)을 다함을 이르는 말. 출전:예기(禮記)
회귤 懷橘 귤을 품속에 품는다.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이르는 말. 출전:삼국지(三國志) 유래 
효자애일 孝子愛日 효자(孝子)는 날을 아낀다.’는 뜻으로, 될 수 있는 한 오래 부모(父母)에게 효성(孝誠)을 다하여 섬기고자 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6 한자성어 효행.hwpx
0.08MB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