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한자성어(漢字成語)***/한자성어(漢字成語)

3. 노력(努力)에 관련된 漢字成語

by 산산바다 2025. 1. 30.

산과바다

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 노력(努力)에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漢字成語 의미 해석
각고면려 刻苦勉勵 1. 심신(心身)을 괴롭히고 노력(努力).
2. 대단히 고생(苦生)하여 힘써 정성(精誠)을 들임.
각고정려 刻苦精勵 몹시 애를 쓰고 정성(精誠)을 들임.
각근면려 恪勤勉勵 정성(精誠)을 다하여 부지런히 힘씀.
각답실지 脚踏實地 발이 실제(實際)로 땅에 붙었다.’는 뜻으로, 일처리(-處理) 솜씨가 착실(着實)함을 말함. 또는 행실(行實)이 바르고 태도(態度)가 성실(誠實)함을 일컫는 말.
견마지로 犬馬之勞 개나 말 정도(程度)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忠誠)을 다하는 자신(自身)의 노력(勞力)을 낮추어 이르는 말.
견마지성 犬馬之誠 1. 임금이나 나라에 바치는 충성(忠誠)을 낮추어 이르는 말.
2. ‘
개나 말의 정성(精誠)’이라는 뜻으로, 자신(自身)의 정성(精誠)을 낮추어 이르는 말.
견마지심 犬馬之心 개나 말이 주인(主人)을 위하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신하(臣下)나 백성(百姓)이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忠誠)하는 마음을 낮추어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 구마지심(狗馬之心) 출전:한서(漢書)
견마지역 犬馬之役 개나 말 정도(程度)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忠誠)을 다하는 자신(自身)의 노력(勞力)을 낮추어 이르는 말.
곤이지지 困而知之 애써 고생(苦生)하며 공부(工夫)한 끝에 앎. 노력하여 얻은 지식(知識)이나 실력(實力)을 이르는 말.
공석묵돌 孔席墨突 묵자(墨子) 집의 굴뚝엔 그을음이 낄 새가 없다.’는 뜻으로, 여기저기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 출전:한유(韓愈) 유래 
공휴일궤 功虧一簣 ()을 쌓아 올리는데 한 삼태기의 흙을 게을리하여 완성(完成)을 보지 못한다.’는 뜻으로, 거의 이루어진 일을 중지(中止)하여 오랜 노력(勞力)이 아무 보람도 없게 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서경(書經)<여오편(旅獒篇)>에 나오는 말이다. 書經(서경) 第七 旅獒(여오) 1~2  유래 
구년면벽 九年面壁 달마(達磨)가 중국(中國) 쑹산산(嵩山山)의 소림사(少林寺)에서 9년 동안 벽()을 보고 좌선(坐禪)하여 도()를 깨달은 일을 이르는 말. 출전:전등록(傳燈錄) 面壁九年 유래 
구인공휴일궤 九仞功虧一簣 ()을 쌓아 올리는데 한 삼태기의 흙을 게을리하여 완성(完成)을 보지 못한다.’는 뜻으로, 거의 이루어진 일을 중지(中止)하여 오랜 노력(勞力)이 아무 보람도 없게 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서경(書經) 書經(尙書) 全文
구치 驅馳 1. 말이나 수레를 타고 달림. 2. 몹시 바삐 돌아다님.
군경절축 群輕折軸 가벼운 것도 많이 모이면 수레의 굴대를 부러뜨린다.’는 뜻으로, 작은 힘이라도 뭉치면 큰 힘이 됨을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
금석위개 金石爲開 쇠와 돌을 열리게 한다.’는 뜻으로, ()한 의지(意志)로 전력(全力)을 다하면 어떤 일에도 성공할 수 있다는 말.
남행북주 南行北走 남쪽(-)으로 가고 북쪽(-)으로 뛰어간다.’는 뜻으로, 이리저리 바삐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노마십가 駑馬十駕 느리고 둔()한 말도 준마(駿馬)의 하룻길을 열흘에는 갈 수 있다.’는 뜻으로, ()하고 재능(才能)이 모자라는 사람도 열심히 하면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유래 
동분서주 東奔西走 동쪽(-)으로 뛰고 서쪽(西-)으로 뛴다.’는 뜻으로, 사방(四方)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출전:역림(易林)
동심동덕 同心同德 같은 목표(目標)를 위해 일치단결(一致團結)된 마음.
동주서분 東走西奔 동쪽(-)으로 달리고 서쪽(西-)으로 뛴다.’는 뜻으로, 사방(四方)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동치서주 東馳西走 동쪽(-)으로 뛰고 서쪽(西-)으로 뛴다.’는 뜻으로, 사방(四方)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동행서주 東行西走 동쪽(-)으로 가고 서쪽(西-)으로 뛰어간다.’는 뜻으로, 이리저리 바삐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출전:역림(易林)
마부위침 磨斧爲針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끊임없이 노력(努力)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유래 
마부작침 磨斧作針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끊임없이 노력(努力)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출전:당서(唐書) 유래
마부정제 馬不停蹄 달리는 말은 말굽을 멈추지 않는다.는 뜻으로, 지난 성과(成果)에 안주(安住)하지 말고 더욱 발전(發展)하고 정진(精進)하자는 뜻.
마철저 磨鐵杵 쇠로 만든 다듬이 방망이를 갈아서 바늘을 만들려 한다.’는 뜻으로, 노력(努力)하면 아무리 힘든 목표(目標)라도 달성(達成)할 수 있음을 뜻함.
마철저이성침 磨鐵杵而成針 쇠공이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정성(精誠)을 다하여 노력(努力)하면 아무리 힘든 목표(目標)라도 달성(達成)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말.
면벽수도 面壁修道 얼굴을 벽에 대고 도()를 닦는 것.
묵돌부득검 墨突不得黔 묵자(默子)의 집 굴뚝은 검정이 묻지 아니하였다.’라는 뜻으로, 대단히 바빠 동분서주(東奔西走)함을 이름. 출전:한유(韓愈) 유래 
백절불굴 百折不屈 백 번 꺾여도 굴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떠한 난관(難關)에도 결코 굽히지 않음.
백절불요 百折不搖 백 번 꺾여도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떠한 난관(難關)에도 결코 굽히지 않음.
백절불요 百折不撓 어떠한 난관(難關)에도 결코 굽히지 않음. 유래 
북마남선 北馬南船 중국(中國)의 남쪽(-)은 강()이 많아서 배를 이용(利用)하고 북쪽(-)은 산()과 사막(沙漠砂漠)이 많아서 말을 이용(利用)한다.’는 뜻으로, 늘 쉬지 않고 여기저기 여행(旅行)을 하거나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南船北馬 
분골 粉骨 1. ‘뼈를 가루로 만들고 몸을 부순다.’는 뜻으로, 정성(精誠)으로 노력(勞力)함을 이르는 말. 또는 그렇게 하여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짐. 2. 참혹(慘酷)하게 죽음.
분골쇄신 粉骨碎身 1. ‘뼈를 가루로 만들고 몸을 부순다.’는 뜻으로, 정성(精誠)으로 노력(勞力)함을 이르는 말. 또는 그렇게 하여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짐.
2. 참혹(慘酷)하게 죽음. 유래 
분신미골 粉身糜骨 몸이 가루가 되게 하고 뼈를 부러뜨린다.’는 뜻으로, 모든 정성(精誠)과 힘을 다함. 출전:삼국사기(三國史記)
불면불휴 不眠不休 자지도 않고 쉬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조금도 쉬지 않고 힘써 일함을 이르는 말. 출전:열자(列子)
불분주야 不分晝夜 썩 바쁠 때에 밤낮을 헤아리지 아니하고 힘써 함.
불식지공 不息之工 천천히 하여도 늘 끊임없이 꾸준하게 하는 일.
불요불굴 不撓不屈 휘지도 않고 굽히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한번 먹은 마음이 흔들리거나 굽힘이 없음.
불철주야 不撤晝夜 어떤 일에 몰두(沒頭)하여 조금도 쉴 사이 없이 밤낮을 가리지 아니함.
불해의대 不解衣帶 옷을 벗지 않다.’는 뜻으로, 잠시도 쉬지 않으며 일에 힘씀. 출전:한서(漢書)
사석성호 射石成虎 돌을 범인 줄 알고 쏘았더니 화살이 꽂혔다.는 말로, 성심(誠心)을 다하면 아니 될 일도 이룰 수 있다는 것.
사석위호 射石爲虎 돌을 범인 줄 알고 쏘았더니 돌에 화살이 꽂혔다.’는 뜻으로, 성심(誠心)을 다하면 아니 될 일도 이룰 수 있음. 출전:여씨춘추(呂氏春秋)
사이후이 死而後已 죽은 뒤에야 일을 그만둔다.’는 뜻으로, 있는 힘을 다하여 그 일에 끝까지 힘씀을 이르는 말. 출전:논어(論語)論語(논어) 8. 泰伯(태백)
산류천석 山溜穿石 ()에서 흐르는 물이 바위를 뚫는다.’는 뜻으로, 작은 것이라도 모이고 쌓이면 큰 것이 됨의 비유(比喩譬喩). 출전:계림옥로(鶴林玉露)
선기후인 先己後人 다른 사람의 일보다 자기(自己)의 일에 우선(于先) 성실(誠實)해야 한다는 말.
성심성의 誠心誠意 참되고 성실(誠實)한 마음과 뜻.
성의정심 誠意正心 뜻을 성실(誠實)히 하고 마음을 바르게 가짐.
쇄골분신 碎骨粉身 뼈를 가루로 만들고 몸을 부순다.’는 뜻으로, 정성(精誠)으로 노력(勞力)함을 이르는 말. 또는 그렇게 하여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짐.
수적석천 水滴石穿 물방울이 돌을 뚫는다.’는 뜻으로, 미미(微微)한 힘이라도 꾸준히 노력(努力)하면 큰 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수적성천 水積成川 물이 모이면 내를 이룸. 출전:설원(說苑)
수적천석 水滴穿石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는 뜻으로, 작은 노력(努力)이라도 끈기 있게 계속(繼續)하면 큰 일을 이룰 수 있음.
실질강건 實質剛健 꾸밈이 없이 성실(誠實)하고, 굳세고 씩씩함.
십년창하 十年窓下 십년 동안 창문(窓門) 아래에 찾는 이가 없다.는 뜻으로, 외부(外部)와 접촉(接觸)을 끊고 학문(學問)에 정진(精進).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십년한창 十年寒窓 십년 동안 사람이 찾아 오지 않아 쓸쓸한 창문(窓門)이란 뜻으로, 외부(外部)와 접촉(接觸)을 끊고 학문(學問)에 정진(精進).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십벌지목 十伐之木 열 번() 찍어 베는 나무라는 뜻으로,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음을 이르는 말.
악목 握沐 어진 인재(人材)를 간절(懇切)히 구()함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의 주공(周公)이 머리를 감을 동안 찾아온 인사(人事)들을 감던 머리를 거머쥐고 지체(遲滯)하지 않고 만났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악발 握髮 어진 인재(人材)를 간절(懇切)히 구()함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의 주공(周公)이 머리를 감을 동안 찾아온 인사(人事)들을 감던 머리를 거머쥐고 지체(遲滯)하지 않고 만났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악발토포 握髮吐哺 민심(民心)을 수람(收攬)하고 정무(政務)를 보살피기에 잠시(暫時)도 편안(便安)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의 주공(周公)이 식사(食事) 때나 목욕(沐浴)할 때 내객(來客)이 있으면 먹던 것을 뱉고, 감고 있던 머리를 거머쥐고 영접(迎接)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유래 
야이계주 夜以繼晝 어떤 일에 몰두(沒頭)하여 조금도 쉴 사이 없이 밤낮을 가리지 아니함.
여의투질 如蟻偸垤 개미가 둑을 쌓듯이 한다.’는 뜻으로, 근검(勤儉)하여 재산(財產)을 축적(蓄積)함을 이르는 말.
여조삭비 如鳥數飛 새가 하늘을 날기 위해 자주 날갯짓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배우기를 쉬지 않고 끊임없이 연습(練習)하고 익힘.
온유돈후 溫柔敦厚 부드럽고 온화(溫和)하며 성실(誠實)한 인품(人品)이나 시를 짓는 데 기묘(奇妙)하기보다 마음에서 우러난 정취(情趣)가 있음을 두고 이르는 말. 출전:예기(禮記)
온후독실 溫厚篤實 1. 성격(性格)이 온화(溫和)하고 착실(着實).
2. 인품(人品)이 따뜻하고 성실(誠實)함이 넘침.
우공이산 愚公移山 우공(愚公)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勞力)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우공(愚公)이라는 노인(老人)이 집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려고 대대(代代)로 산()의 흙을 파서 나르겠다고 하여 이에 감동(感動)한 하느님이 산()을 옮겨 주었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열자(列子)<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말이다. 출전:열자(列子)의 탕문편(湯問篇) 유래 
우수천석 雨垂穿石 떨어지는 빗방울이 돌을 뚫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상황(狀況)일지라도 적극적(積極的)인 돌파구를 마련하면 해결(解決)되지 않는 일은 없다는 뜻.
유지경성 有志竟成 뜻이 있어 마침내 이루다.는 뜻으로, 이루고자 하는 뜻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성공(成功)한다는 것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일념통암 一念通巖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면 화살이 바위를 뚫는다.’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면 때로는 믿을 수 없을 만한 큰 힘이 나올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일모도원 日暮途遠 날은 저물고 갈 길은 멀다.’는 뜻으로, 늙고 쇠약(衰弱)한데 앞으로 해야 할 일은 많음을 이르는 말. 사기(史記)<오자서열전(伍子胥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유래 
적소성대 積小成大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적수성연 積水成淵 한 방울의 물이 모여 연못(-)을 이룬다.’는 뜻으로, 작은 것도 모이면 큰 것이 됨을 이르는 말.
적진성산 積塵成山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적토성산 積土成山 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전력투구 全力投球 1. (어떤 일에) 모든 힘을 다 기울임.
2.
야구(野球)에서, 투수(投手)가 타자(打者)를 상대(相對)로 모든 힘을 기울여 공을 던지는 것.
전심전력 全心全力 온 마음과 온 힘을 다 기울임.
점적천석 點滴穿石 처마의 빗방울이 돌을 뚫는다.’는 뜻으로, 작은 힘이라도 그것이 거듭되면 예상(豫想)하지 못했던 큰 일을 해냄을 이르는 말. 출전:두목(杜牧)의 야우(夜雨)
정신일도 精神一到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말.
정신일도하사불성 精神一到何事不成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말. 출전:주자어류(朱子語類)
좌신현담 坐薪懸膽 섶나무 위에 앉고, 쓸개를 걸어 두고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怨讐)를 갚기 위()해 각고의 노력(努力)을 함을 이르는 말. 출전:금사(金史)
주이계야 晝而繼夜 어떤 일에 몰두(沒頭)하여 조금도 쉴 사이 없이 밤낮을 가리지 아니함.
중석몰시 中石沒矢 쏜 화살이 돌에 박힌다.’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면 때로는 믿을 수 없을 만한 큰 힘이 나올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중석몰촉 中石沒鏃 돌에 박힌 화살촉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면 때로는 믿을 수 없을 만한 큰 힘이 나올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
진충갈력 盡忠竭力 충성(忠誠)을 다하고 있는 힘을 다 바침.
진합태산 塵合泰山 티끌 모아 태산. 작은 물건(物件)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철저마침 鐵杵磨鍼 쇠공이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정성(精誠)을 다하여 노력(努力)하면 아무리 힘든 목표(目標)라도 달성(達成)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말. 출전:방여승람(方輿勝覽)
철저성침 鐵杵成針 () 절굿공이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주 오래 노력(努力)하면 성공(成功)한다는 말을 나타냄.
초부득삼 初不得三 첫번에 실패(失敗)한 것이 세 번째는 성공(成功)한다.’는 뜻으로, 꾸준히 하면 성공(成功)할 수 있다는 말.
토악 吐握 민심(民心)을 수람(收攬)하고 정무(政務)를 보살피기에 잠시(暫時)도 편안(便安)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의 주공(周公)이 식사(食事) 때나 목욕(沐浴)할 때 내객(來客)이 있으면 먹던 것을 뱉고, 감고 있던 머리를 거머쥐고 영접(迎接)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토악지로 吐握之勞 토포악발(吐哺握髮)하는 수고라는 뜻으로, 뛰어난 인물(人物)을 얻으려고 노력(努力)함을 이르는 말.
토적성산 土積成山 작은 물건(物件)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출전:설원(說苑)
토포 吐哺 1. 씹던 음식(飮食)을 뱉어 냄. 2. 입에 든 것을 토().
토포악발 吐哺握髮 민심(民心)을 수람(收攬)하고 정무(政務)를 보살피기에 잠시(暫時)도 편안(便安)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의 주공(周公)이 식사(食事) 때나 목욕(沐浴)할 때 내객(來客)이 있으면 먹던 것을 뱉고, 감고 있던 머리를 거머쥐고 영접(迎接)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출전:한유(韓愈)의 상재상서(上宰相書) 유래
토포착발 吐哺捉髮 민심(民心)을 수람(收攬)하고 정무(政務)를 보살피기에 잠시(暫時)도 편안(便安)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의 주공(周公)이 식사(食事) 때나 목욕(沐浴)할 때 내객(來客)이 있으면 먹던 것을 뱉고, 감고 있던 머리를 거머쥐고 영접(迎接)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한마지로 汗馬之勞 1. ‘말이 땀을 흘리며 전장(戰場)을 오간다.’는 뜻으로, 싸움터에서 이긴 공로(功勞)를 이르는 말.
2.
말이 땀을 흘릴 정도(程度)의 노역(勞役)을 이르는 말. 출전:전국책(戰國策)
형안 螢案 1. ‘반딧불로 밝힌 책상(冊床)’이라는 뜻으로, 공부(工夫)하는 책상(冊床)을 이르는 말.
2. 어려운 형편(形便)에서 힘들게 한 공부(工夫)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형학 螢學 반딧불의 빛으로 공부(工夫)한다.’는 뜻으로, 어렵고 힘들게 공부(工夫)함을 이르는 말.

 

3 한자성어 노력.hwpx
0.09MB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