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寒山詩集 : 한산(寒山) 습득(拾得) 풍간(豊干) 詩
한산시(寒山詩) 022
《詩 三百三首 其二二》
有一餐霞子(유일찬하자) : 노을만 먹고 사는 신선은
其居諱俗游(기거휘속유) : 속된 것을 피해 따로 노닌다네.
論時實蕭爽(논시실소상) : 시절을 말할 때면 시원하기 그지없어
在夏亦如秋(재하역여추) : 여름 속에 있어도 가을 같다네.
幽澗常瀝瀝(유간상역력) : 그윽한 시냇물이 사시사철 흐르고
高松風颼颼(고송풍수수) : 키 큰 소나무는 바람소리 좋다네.
其中半日坐(기중반일좌) : 그 안에 반나절만 앉아있으면
忘卻百年愁(망각백년수) : 백 년 된 근심도 잊어버린다네.
▶瀝瀝(역력): 물 흐르는 소리
▶颼颼(수수): 바람소리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寒山詩集(寒山, 拾得, 豊干)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산시(寒山詩) 024 (0) | 2024.03.19 |
---|---|
한산시(寒山詩) 023 (0) | 2024.03.19 |
한산시(寒山詩) 021 (0) | 2024.03.19 |
한산시(寒山詩) 020 (0) | 2024.03.19 |
한산시(寒山詩) 019 (0) | 2024.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