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四書/孟子

孟子(맹자) 10. 魚與熊掌(어여웅장)

by 산산바다 2016. 2. 24.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6 告子 上(고자 상)

 

10. 魚與熊掌(어여웅장)

 

孟子曰魚(맹자왈어): 맹자가 이르기를 물고기는

我所欲也(아소욕야): 내가 원하는 것이다.

熊掌(웅장): 웅장

亦我所欲也(역아소욕야)언마는 : 역시 내가 원하는 것이다.

二者(이자): 두 가지를

不可得兼(불가득겸)인댄 : 동시에 얻을 수 없으면

魚而取熊掌者也(어이취웅장자야)로리라 : 생선을 포기하고 웅장을 취하는 것이다.

生亦我所欲也(생역아소욕야): 사는 것도 내가 원하는 것이다.

義亦我所欲也(의역아소욕야)언마는 : 의도 내가 원하는 것이다.

二者(이자): 두 가지를

不可得兼(불가득겸)인댄 : 동시에 얻을 수 없다면

舍生而取義者也(사생이취의자야)로리라 : 사는 것을 버리고 의를 취하는 것이다.

生亦我所欲(생역아소욕)이언마는 : 사는 것 역시 내가 원하는 것이지만

所欲(소욕): 원하는 것에

有甚於生者(유심어생자): 사는 것보다 더 심한 것이 있기 때문에

(): 그러므로

不爲苟得也(불위구득야)하며 : 구차하게 얻는 짓을 하지 않는 것이다.

死亦我所惡(사역아소악)언마는 : 죽는 것 역시 내가 싫어하는 것이지만

所惡(소악): 싫어하는 것이

有甚於死者(유심어사자): 죽는 것보다 심한 것이 있기 때문에

(): 그러므로

患有所不辟也(환유소불벽야)니라 : 환난도 피하지 않는 일이 생기는 것이다.

如使人之所欲(여사인지소욕): 만약에 사람이 원하는 것을

莫甚於生(막심어생)이면 : 사는 것보다 더 심한 것이 없게 만든다면

則凡可以得生者(칙범가이득생자): 무릇 살 수 있는 방법이라면

何不用也(하불용야): 무슨 방법인들 쓰지 않겠는가?

使人之所惡(사인지소악): 사람이 싫어하는 것을

莫甚於死者(막심어사자): 죽는 것보다 심한 것이 없게 만든다면

則凡可以辟患者(칙범가이벽환자): 무릇 환난을 피할 수 있는 짓이라면

何不爲也(하불위야)리오 : 무슨 짓인들 하지 않겠는가?

由是(유시): 이런 방법을 쓰면

則生而有不用也(칙생이유불용야)하며 : 사는데도 그 방법을 쓰지 않는 경우가 있고

由是(유시): 이런 짓을 하면

則可以辟患而有不爲也(칙가이벽환이유불위야)니라 : 환난을 피할 수 있는데도 그런 짓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是故(시고): 그러니

所欲(소욕): 원하는 것이

有甚於生者(유심어생자)하며 : 사는 것보다 심한 것이 있고

所惡(소악): 싫어하는 것이

有甚於死者(유심어사자)하니 : 죽는 것보다 심한 것이 있는 것이다.

非獨賢者有是心也(비독현자유시심야): 현자만이 그런 마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고

人皆有之(인개유지)언마는 : 사람이면 모두 가지고 있다.

賢者(현자): 현자는

能勿喪耳(능물상이)니라 : 그 마음을 상실하지 않는다는 것뿐이다.

一簞食(일단식): 한 대그릇의 밥과

一豆羹(일두갱): 한 나무 그릇의 국을

得之則生(득지칙생)하고 : 얻으면 살고

弗得則死(불득칙사)라도 : 얻지 못하면 죽는 경우에라도

嘑爾而與之(호이이여지): 옛다하고 주면

行道之人(행도지인): 길가는 사람도

弗受(불수)하며 : 받지 않고

蹴爾而與之(축이이여지): 발로 차서 주면

乞人(걸인): 거지도

不屑也(불설야)니라 : 기꺼워하지 않는다.

萬鍾則不辨禮義而受之(만종칙불변례의이수지)하나니 : 만종이면 예와 의를 따지지 않고서 받는다면

萬鍾(만종): 그 만종이

於我何加焉(어아하가언)이리오 : 자기에게 무엇이 보탬이 되겠는가?

爲宮室之美(위궁실지미): 주택의 미려함과

妻妾之奉(처첩지봉): 처첩의 받들어 줌과

所識窮乏者得我與(소식궁핍자득아여)인저 : 자기가 아는 궁핍한 사람이 내가 주는 것을 얻어가게 하기 위해서인가?

鄕爲身(향위신): 먼저 경우에는

死而不受(사이불수)라가 : 자신이 죽게 만들면서도 받지 않고

今爲宮室之美(금위궁실지미)하여 : 이 경우에는 주택의 미려함을 위해서

爲之(위지)하며 : 그것을 받고

鄕爲身(향위신): 먼저 경우에는

死而不受(사이불수)라가 : 자신이 죽게 되면서도 받지 않고

今爲妻妾之奉(금위처첩지봉)하여 : 이 경우에는 처첩의 받들어줌을 위해서

爲之(위지)하며 : 그것을 받고

鄕爲身(향위신): 먼저 경우에는

死而不受(사이불수)라가 : 자신이 죽게 만들면서도 받지 않고

今爲所識窮乏者得我而爲之(금위소식궁핍자득아이위지)하나니 : 이 경우에는 자기가 하는 궁핍한 사람이 자기한데서 얻어가게 하기 위해서 그것을 받는다면

是亦不可以已乎(시역불가이이호): 그런 짓 역시 그만 둘 수 없을 것인가?

此之謂失其本心(차지위실기본심)이니라 : 그렇게 하는 것을 자기 본심을 잃은 것이라고 하는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