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四書/孟子

孟子(맹자) 9. 無或乎王之不智(무혹호왕지부지)

by 산산바다 2016. 2. 24.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6 告子 上(고자 상)

 

9. 無或乎王之不智(무혹호왕지부지)

 

孟子曰無或乎王之不智(맹자왈무혹호왕지부지)로다 : 맹자가 말하기를 왕이 지혜롭지 못한 것을 이상하게 여기지 말 것이다.

雖有天下易生之物也(수유천하이생지물야): 천하에서 가장 쉬이 자라는 물건이 있은들

一日暴之(일일폭지): 하루 동안 해를 쬐고

十日寒之(십일한지): 열흘 동안 차게 하면

未有能生者也(미유능생자야): 자라날 물건이 없으니

吾見(오현): 내가 왕을 만나보지만

亦罕矣(역한의): 그 기회는 역시 드물고 

吾退而寒之者至矣(오퇴이한지자지의): 내가 물러나면 그를 차게 하는 자가 오니

吾如有萌焉(오여유맹언): 내가 싹트게 하 준다고 한들

何哉(하재)리오 : 무엇이 되겠는가?

今夫奕之爲數(금부혁지위수): 이제 바둑의 수는

小數也(소수야): 대단치 않은 수이지마는

不專心致志(불전심치지): 전심해서 거기에만 머리를 쓰지 않으면

則不得也(칙불득야): 써 내지 못한다.

奕秋(혁추): 혁추는

通國之善奕者也(통국지선혁자야): 전국에서 바둑을 잘 두는 것으로 알려진 사람이다.

使奕秋(사혁추): 혁추를 시켜서

誨二人奕(회이인혁)이어든 : 두 사람에게 바둑을 가르치게 하는데

其一人(기일인): 그 중의 한 사람은

專心致志(전심치지)하여 : 전심해서 거기에만 머리를 쓰고

惟奕秋之爲聽(유혁추지위청)하고 : 혁추의 말만을 듣고

一人(일인): 한 사람은

雖聽之(수청지): 그의 말을 듣는다고는 하지마는

一心(일심): 한쪽 마음으로는 ,

以爲有鴻鵠將至(이위유홍곡장지)어든 : 기러기가 오게 되면 하고

思援弓繳而射之(사원궁격이사지)하면 : 활에 주살을 메어서 그것을 쏠 것을 생각한다면

雖與之俱學(수여지구학)이라도 : 이 사람은 앞의 사람과 함께 배운다고는 하지마는

弗若之矣(불약지의)나니 : 그 사람 만해지기는 못한다.

爲是其智弗若與(위시기지불약여): 그의 지혜가 같지 않기 때문인가?

曰非然也(왈비연야)니라 : 그렇지는 않은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