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四書/孟子

孟子(맹자) 4. 仁則榮(인칙영)

by 산산바다 2016. 2. 22.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2 公孫丑 上(공손추 상)

 

4. 仁則榮(인칙영)

 

孟子曰 仁則榮(맹자왈 인칙영)하고 : 맹자가 말하기를, 인하면 영화롭고

不仁則辱(불인칙욕)하나니 : 인하지 못하면 욕을 받게 되나니

(): 이제

惡辱而居不仁(악욕이거불인): 욕을 받기를 싫어하면서 인하지 못한 데 머물러 있는 것은

是猶惡濕而居下也(시유악습이거하야)니라 : 마치 습한 것을 싫어하면서 낮은 곳에 머물러 있는 것과 같으니라.

如惡之(여악지)인댄 : 만일 욕보는 것을 싫어한다면

莫如貴德而尊士(막여귀덕이존사): 덕을 귀하게 여기고 선비를 존중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니

賢者在位(현자재위)하며 : 어진 사람이 지위에 있으며

能者在職(능자재직)하여 : 능력 있는 사람이 관직에 있어서

國家閒暇(국가한가)어든 : 국가가 무사하고 태평하거든

及是時(급시시)하여 : 이때를 당해서

明其政刑(명기정형)이면 : 그 정치와 형벌을 밝히면

雖大國(수대국)이라도 : 아무리 큰 나라라 할지라도

必畏之矣(필외지의)리라 : 반드시 두려워할 것이니라.

詩云迨天之未陰雨(시운태천지미음우)하여 : 시경에 말하기를, 하늘에 구름이 끼고 비가 내리기 전에

徹彼桑土(철피상토)하여 : 저 뽕나무 뿌리껍질을 벗겨서

綢繆牖戶(주무유호): 창호를 단단히 얽어매어 두었더라면

今此下民(금차하민): 이제 이 백성들이

或敢侮予(혹감모여)아하여늘 : 혹시나 나를 업신여길 수 있겠는가라 하였는데

孔子曰爲此詩者其知道乎(공자왈위차시자기지도호)인저 :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이 시를 지은 사람이 그 도리를 아는 사람이구나.

能治其國家(능치기국가): 그 국가를 잘만 다스린다면

誰敢侮之(수감모지)리오하시니라 : 누가 감히 업신여기겠는가 하였다.

(): 이제

國家閒暇(국가한가)어든 : 국가가 무사하고 평화로우면

及是時(급시시)하여 : 이런 때를 당해서

般樂怠敖(반악태오)하나니 : 거침없이 행락하고 태만하고 오만해지니

(): 이것은

自求禍也(자구화야)니라 : 스스로 재앙을 구하는 것이라

禍福(화복): 재앙과 복이

無不自己求之者(무불자기구지자)니라 : 자기로부터 구하지 않는 것이 없느니라

詩云永言配命(시운영언배명): 시경에 말하기를., 길이 하늘의 명령에 순종하여

自求多福(자구다복)이라하며 : 스스로 많은 복을 구한다 하며

太甲曰天作孼(태갑왈천작얼): 서경 태갑편에 말하기를, 하늘이 내리는 화는

猶可違(유가위)어니와 : 그래도 늦출 수가 있거니와

自作孼(자작얼): 자기가 지은 허물은

不可活(불가활)이라하니 : 피할 수가 없다 하니

此之謂也(차지위야)니라 : 이것을 말함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