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2편 公孫丑 上(공손추 상)
3. 以力假仁(이력가인)
孟子曰以力假仁者(맹자왈이력가인자)는 : 맹자께서 말씀하시기를, 힘으로써 인을 가장하는 사람은
覇(패)니 : 패자가 되나니
覇必有大國(패필유대국)이요 : 패자가 되려면 반드시 대국이 있어야 하고
以德行仁者(이덕행인자)는 : 덕으로써 인을 실천하는 사람은
王(왕)이니 : 왕자가 되나니
王不待大(왕부대대)라 : 왕자는 큰 나라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湯以七十里(탕이칠십리)하시고 : 탕은 사방 70리로 왕자가 되고
文王以百里(문왕이백리)하시니라 : 문왕은 사방 100리로 왕자가 되었느니라
以力服人者(이력복인자)는 : 힘으로써 사람을 복종하게 하는 것은
非心服也(비심복야)라 : 마음으로 복종하는 것이 아니라
力不贍也(력불섬야)요 : 힘이 부족하기 때문이요
以德服人者(이덕복인자)는 : 덕으로써 사람을 복종하게 하는 것은
中心悅而誠服也(중심열이성복야)니 : 마음속으로 기뻐서 진정으로 복종함이니
如七十子之服孔子也(여칠십자지복공자야)라 : 70제자들이 공자에게 감복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詩云自西自東(시운자서자동)하며 : 시에 말하기를, 서쪽으로부터 동쪽으로까지와
自南自北(자남자북)이 : 남쪽으로부터, 북쪽으로까지
無思不服(무사불복)이라하니 : 복종하지 아니할 이가 없다 하니
此之謂也(차지위야)니라 : 이것을 이름이니라.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5. 信能行此(신능행차) (0) | 2016.02.22 |
---|---|
孟子(맹자) 4. 仁則榮(인칙영) (0) | 2016.02.22 |
孟子(맹자) 2. 浩然之氣(호연지기) (0) | 2016.02.22 |
孟子(맹자) 1. 管仲晏子(관중안자) (0) | 2016.02.22 |
孟子(맹자) 16. 嬖人臧倉(폐인장창) (0) | 2016.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