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1편 梁惠王 上(양혜왕 상)
「양혜왕」상·하 이 편은 맹자가 편력한 지방을 보여주기 위해 편집되었다고 보는 학자도 있다. 즉 양의 혜왕에서 제의 선왕으로, 제에서 추의 목공에게로 옮아가는 대화의 순서가 사실은 그대로 맹자가 여행한 순서였다는 것이다. 각 나라의 제후들을 상대로 맹자가 주장한 것은, 첫 번째 얘기가 보여주듯이, 공리주의를 배격하고 인의를 기본으로 하는 도덕정치의 실시였다.
1. 何必曰利(하필왈리)
孟子見梁惠王(맹자견양혜왕)하신대 : 맹자가 양 혜왕을 만나 뵈자
王曰叟不遠千里而來(왕왈수불원천리이래)하시니 : 왕이 말하기를, "선생님께서 천리를 멀다 않고 찾아와 주셨으니
亦將有以利吾國乎(역장유이이오국호)잇가 : 역시 이 나라에 앞으로 이익을 주시려 함입니까?"
孟子對曰王(맹자대왈왕)은 : 맹자가 대답하여 말씀하시기를, "왕께서는
何必曰利(하필왈이)잇고 : 하필이면 이익을 말씀하십니까?
亦有仁義而已矣(역유인의이이의)니이다 : 또한 오직 인의가 있을 뿐입니다.
王曰何以利吾國(왕왈하이이오국)고하시면 : 왕께서 나라의 이익만을 생각하시면
大夫曰何以利吾家(대부왈하이이오가)오하며 : 대부들은 어찌하면 내 집이 이로울까 생각하며,
士庶人曰何以利吾身(사서인왈하이이오신)고하여 : 선비나 백성들은 제 한 몸의 이익밖에 생각하지 않을 것입니다.
上下交征利(상하교정이)면 : 윗사람이나 아랫사람 모두가 서로의 이익만을 취하게 된다면
而國危矣(이국위의)리이다 : 나라는 위태로워질 것입니다.
萬乘之國(만승지국)에 : 만승의 나라에서
弑其君子(시기군자)는 : 그 임금을 죽이는 자는
必天乘之家(필천승지가)요 : 반드시 천승의 대신이며,
天乘之國(천승지국)에 : 천승의 나라에서
弑其君子(시기군자)는 : 그 왕을 죽이는 자는
必百乘之家(필백승지가)니 : 반드시 백승의 대신입니다.
萬取千焉(만취천언)하며 : 만승의 나라에서 천승을 지니고
千取百焉(천취백언)이 : 천승의 나라에서 백승을 지니고 있다는 것은
不爲不多矣(불위불다의)언마는 : 결코 적은 것이 아닙니다.
苟爲後義而先利(구위후의이선리)면 : 진실로 의리를 뒤로 미루고 이익만을 앞세운다면
不奪(불탈)하여는 : 모든 것을 다 빼앗지 않고서는
不饜(불염)이니이다 : 만족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未有仁而遺其親者也(미유인이유기친자야)며 : 아직 어질면서 그 부모를 버린 사람은 없으며
未有義而後其君者也(미유의이후기군자야)니이다 : 의로우면서 임금을 뒷전으로 여긴 사람은 없습니다.
王(왕)은 : 왕께서는
亦曰仁義而已矣(역왈인의이이의)시니 : 오직 인의만을 말씀하실 것이지
何必曰利(하필왈이)잇고 : 하필이면 이익을 말씀하십니까?“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5. 可使制挺(가사제정) (0) | 2016.02.22 |
---|---|
孟子(맹자) 4. 以刃與政(이인여정) (0) | 2016.02.22 |
孟子(맹자) 3. 王無罪歲(왕무죄세) (0) | 2016.02.22 |
孟子(맹자) 2. 與民偕樂(여민해락) (0) | 2016.02.22 |
孟子(맹자) HOME (0) | 2016.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