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412 말징버섯 Calvatia craniiformis 산과바다 말징버섯 Calvatia craniiformis 2016. 7. 10. 담음 야산 숲속 부식질이 많은 맨땅에서 발생함을 담았는데 지난해 같은 장소에서 8월 중순 넘어서 보았는데 올해에는 지난해보다 일찍 7월 초순인데도 보이는군요. 말징버섯 Calvatia craniiformis (Schwein.) Fr. 담자균문> 복균아강> 말불버섯목&.. 2016. 7. 10. 미동정 버섯 산과바다 미동정 버섯 2015. 7. 27. 담음 야산 활렵수 부후목에 발생함을 담았는데 무슨 점균 같아 보이기도 하고 동정하기가 어렵군요. 산과바다 이계도 2015. 7. 28. 산호점균 Coral Slime 산과바다 산호점균 Coral Slime 2015. 7. 27. 담음 산호점균과 산호점균속의 점균들으로 보이는데 변형균의 모양이 불규칙하고 수많이 모여 군생하여 바로 선 것. 분지가 난 것. 고드름형 등 다양하군요. 산호점균 Ceratiomyxa fruticulosa var. porioides (Mull.)Mac. 점균강 >산호점균목 >산호점균과 >.. 2015. 7. 28. 갈색고리갓버섯 Lepiota cristata 산과바다 갈색고리갓버섯 Lepiota cristata 2015, 7, 27. 담음 등산로입구 시멘트옹벽 갈라진 틈새에서 발생함을 담음. 갓위 갈색표피의 인피형성이 진갈색주름버섯과 비슷하게 보이는데 주름살의 색이 변하지 않고 대의 아리쪽 색이 적갈색으로 보임이 달라보이는군요. 갈색고리갓버섯 Lepiota cr.. 2015. 7. 28. 흰애주름버섯 Mycenao smundicola 산과바다 흰애주름버섯 Mycenao smundicola 2015. 7. 25. 담음 참나무 썩은 베어진자리와 떨어진 나뭇가지에서 발생함을 담았는데 작고(갓 5mm 정도) 대가 연약하고 반투명해 보이는군요. 흰애주름버섯 Mycenao smundicola J.E. Lange 담자균문> 균심아강> 주름버섯목> 송이과> 애주름버섯속 여름.. 2015. 7. 26. 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산과바다 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2015. 7. 25. 담음 활엽수림 속의 낙엽사이 맨땅에서 발생함을 담았는데 다른 무당버섯에 비해 작고(갓이 1cm 정도) 깔때기모양에 가운데가 자줏빛 붉은색으로 보이는군요. 아래는 7월 17일 담음 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무당.. 2015. 7. 26. 말총낙엽버섯 Marasmius crinisequi 산과바다 말총낙엽버섯 Marasmius crinisequi 2015. 7. 24. 담음 낙엽이나 나뭇가지가 아닌 살아있는 참나무 밑둥치 이끼 낀 표면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담았는데 너무 작아서 잘 담아지지 않는군요. 버섯주변에 거미줄같은 균사 다발도 보이고 자루가 말총같이 검은갈색의 길고 가늘어 말총낙엽버.. 2015. 7. 26. 산호점균 Coral Slime 산과바다 산호점균 Coral Slime 2015. 7. 25. 담음 변형균의 모양이 둥글군요. 산호점균속의 점균으로 보이는데 산호점균으로 올려 봅니다. 산호점균 Ceratiomyxa fruticulosa var. porioides (Mull.)Mac. 점균강 >산호점균목 >산호점균과 >산호점균속 초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활엽수의 부후목, 나뭇잎.. 2015. 7. 26. 금불초 Inula 산과바다 금불초 Inula 2015. 7. 25. 산책로 길가에서 담음 * 금불초는 샛노란 꽃잎의 무리지어 피어 있는 모습이 부처님의 환하고 온화한 모습을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란다. 금불초(金佛草) Inula britannica L.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금불초속(Inula) 꽃국화과의 다년초.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뻗으면서 번식하는데 높이 30∼60cm이고 전체에 털이 나며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로 잔 톱니가 있다. 잎 길이 5∼10cm, 나비 1∼3cm로 밑부분이 좁아져서 줄기를 싸며 양면에 털이 있다.꽃은 7∼9월에 황색으로 .. 2015. 7. 26. 왕원추리 Daylily 산과바다 왕원추리 Daylily 2015. 7. 24. 담음 * 꽃이 피고 지고를 반복하는데 매일 다른 꽃을 보게 되는군요. 그래서 꽃 이름이 Daylily라 하는군요. 왕원추리 Hemerocallis fulva f. kwanso (Regel) Kitam.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백합과 >원추리속(Hemerocallis)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산지나 초원에 자란다. 뿌리에 노란색의 방추형의 덩이뿌리가 있고 때로 땅속줄기를 낸다.잎은 마주나기 하여 얼싸안으며 선형으로 길이 40~90cm, 나비 2~4cm이고 끝은 활처럼 뒤로 굽는다.꽃은 7~8월에 등황색 또는 등적색으로 피고 화경 끝이 2개로 갈라져 많은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수술의 전부 또는 일부가 화피로 되어 겹꽃이고 꽃.. 2015. 7. 26. 산호점균 Coral Slime 산과바다 산호점균 Coral Slime 2015. 7. 25. 담음 산호점균 Ceratiomyxa fruticulosa var. porioides (Mull.)Mac. 점균강 >산호점균목 >산호점균과 >산호점균속 초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활엽수의 부후목, 나뭇잎등에 군생~밀생하며 한국,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자실체는 너비 0.5~1mm, 높이 1~10mm로 불.. 2015. 7. 25. 애주름버섯속 Mycena 산과바다 애주름버섯속 Mycena 2015. 7. 24. 담음 콩나물애주름버섯일까? 참나무가지 고목에서 발생함을 담았는데 콩나물처럼 자루가 흰빛에 길고 연약하여 잘 부러지는군요. 하루 지난 7월 25일 담은 모습 애주름버섯속 Mycena 균류> 담자균문> 담자균강> 주름버섯목> 애주름버섯과> .. 2015. 7. 25. 미동정 버섯? 잔나비버섯의 유균? 산과바다 미동정 버섯? 잔나비버섯의 유균? 2015. 7. 24. 담음 잔나비버섯의 유균으로 추정되는데? 소나무의 토막 베어진 곳에 발생함을 담았는데 여러달 전 부터보이고 골프공 모양으로 둥글고 단단한데 잔나비버섯의 유균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동정을 못하는군요. 산과바다 이계도 2015. 7. 24. 흰목이 Tremella fuciformis 산과바다 흰목이 Tremella fuciformis 2015. 7. 24. 담음 떨어진 참나무 죽은 가지에 발생함을 담았는데 모양은 갈색인 꽃흰목이와 비슷하고 흰목이는 흰색이군요. 흰목이 Tremella fuciformis Berk. 담자균류> 흰목이목> 흰목이과> 흰목이속 은이(銀栮)라고도 한다. 여름과 가을에 각종 활엽수.. 2015. 7. 24. 졸각무당버섯 Russula rosacea 산과바다 졸각무당버섯 Russula rosacea 2015. 7. 20. 담음 수원무당버섯과 혼돈스럽군요. 비슷하여 갓 표면색으로 구분해보았답니다. 활엽수림 낙엽사이 맨땅에서 단생함을 담았는데 갓 표면색이 혈적색으로 보이고 자루가 굵고 부스러지며 갓 표면은 붉은색, 자루와 주름살은 흰색이군요. 졸.. 2015. 7. 21. 미치광이버섯(=솔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liquiritiae 산과바다 미치광이버섯(=솔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liquiritiae 2015. 7. 18. 담음 미치광이버섯으로 이름이 바뀌었군요. 죽은 소나무 토막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습기가 있으면 수시로 발생하는 늦봄에서 가을까지(5월~10월) 발생기간이 길군요. 예쁜 버섯인데 독버섯이랍니다. 미치광이버섯 Gymnop.. 2015. 7. 18. 등색가시비녀버섯 Cyptotrama asprata 산과바다 등색가시비녀버섯 Cyptotrama asprata 2015. 7. 18. 담음 활엽수의 죽은 토막과 떨어진 나뭇가지에 발생함을 담았는데 아주 작은 버섯이군요. 등색가시비녀버섯 Cyptotrama asprata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송이과> 비녀버섯속 여름에서 가을까지 숲 속에 있는 활엽수의 쓰러진 나무와 .. 2015. 7. 18. 산딸기점균 Tubifera ferruginosa 산과바다 산딸기점균 Tubifera ferruginosa 2015. 7. 18. 담음 야산의 습한곳에 다니다 보니 모기 때문에 급하게 담고 나오는군요. 소나무 토막에서 발생함을 담았는데 적색과 홍적색이(흰색~적색~홍적색~갈색~검은색으로 변하며)보이며 노균의 검은색(흑색)도 보이는군요. 산딸기점균 Tubifera ferrugi.. 2015. 7. 18.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