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詩聖 杜甫 詩

두보 시(杜甫 詩) - 동일유회이백(冬日有懷李白) -

by 산산바다 2020. 12. 14.

산과바다

杜甫 詩 HOME

 

 

 

             동일유회이백(冬日有懷李白) - 두보(杜甫)

               겨울날 이백을 그리워하다

 

 

寂寞書齋裏(적막서재리) : 적막한 서재 안에서

終朝獨爾思(종조독이사) : 아침이 다 가도록 홀로 그대를 생각하네.

更尋嘉樹傳(갱심가수전) : 아름다운 나무에 대해 쓴 좌전(左傳)을 다시 살펴보고

不忘角弓詩(불망각궁시) : 각궁시(角弓詩)를 잊지 못한다오.

短褐風霜入(단갈풍상입) : 짧고 거친 베옷으로 바람과 서리 스며드는데

還丹日月遲(환단일월지) : 그대는 아직 환단(還丹)을 만들지 못했나 보네.

未因乘興去(미인승흥거) : 기분 내키는 대로 그대 있는 곳으로 떠나지 못하니

空有鹿門期(공유록문기) : 부질없이 녹문(鹿門)의 기약만 남아 있네.

 

 

* () : , 그대.

* 嘉樹傳(가수전) : 아름다운 나무에 대한 이야기를 실려 있는 춘추좌전(春秋左傳). 춘추시대 진()의 한선자(韓宣子)가 노() 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소공(昭公)이 베푼 잔치에서 형제국은 서로 친애해야 한다는 뜻으로 <각궁> 시를 읊었고, 연회가 끝나자 계무자(季武子)의 집에서 주연을 베풀었는데 계씨의 집에 아름다운 나무(嘉樹)가 있어 이를 읊으니, 계무자는 각궁 시와 가수를 칭송한 글을 잊지 말아 달라고 하였다.<春秋左傳·昭公二年>

* 角弓詩(각궁시) : 두보가 이백에게 형제와 같이 생각하여 서로 잊지 말자는 뜻.

시경(詩經) 소아(小雅) 어조지십(魚藻之什)에 실려 있는 시경(詩經) 소아(小雅) 角弓詩(각궁시) 형제와 인척은 서로 멀리하지 말라(兄弟昏姻, 無胥遠矣.)”는 구절이 있다.

* 短褐(단갈) : 짧고 거친 베옷. 裋褐(수갈)로 되어 있는 판본도 있으며 수갈은 헤진 좁고 짧은 옷을 말한다.

* 還丹日月遲(환단일월지) : 환단을 이루는데 세월이 더디 가고 있다. 還丹(환단)廣宏明集(광굉명집), “丹砂(단사)를 태워 수은(水銀)을 만들고, 수은을 되돌려 丹砂(단사)를 만들기 때문에 還丹(환단)이라고 한다.[燒丹成水銀 還水銀成丹 故曰還丹]”라고 하였다. 본초강목에는 단사를 오래 먹은 자는 신명을 통하고 늙지 않으며 몸이 가벼워져 신선이 된다고 하였다. 이백이 도교에 심취하여 도교에 입문하였으나 시간만 보내고 있음을 말한다. 두보의 시 <贈李白(증이백)>에도 기술하였다.

* 乘興(승흥) : 흥이 나다. 기분이 내키다.

* 鹿門期(녹문기) : 녹문산에 은거 하자는 기약. 동한(東漢)의 방덕공(龐德公)이 현산(峴山)의 남쪽에 지내면서 성안에 들어가지 않고 형주자사(荊州刺史) 유표(劉表)의 추천 역시 여러 차례 거절하다가 나중에는 녹문산(鹿門山)에서 은거하며 삶을 마쳤다. <後漢書(후한서) 逸民列傳(일민열전) 龐公傳(방공전)

 

* 이 시는 전당시(全唐詩)에 실려 있으며 당() 천보(天寶) 4(745)에 두보가 34세 때 지은 시로, 천보(天寶) 3(744) 두보(杜甫)처음 이백(李白)을 알게 되어 이백과 함께 제주(斉州:지금의 산동성 일대)를 유람하고 있다가 이백은 제주(斉州)에서 도사(道士) 고여귀(高如貴)에게 입문하였고 두보는 제주사마(斉州司馬)로 부임하였다. 겨울날 홀로 앉아 이백을 생각하며 이백을 따라 가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가지 못하는 마음과 그리워하는 마음을 시경과 춘추좌전의 각궁 시와 가수(嘉樹)를 인용하여 읊은 시이다.

 

* 李白과 杜甫의 서로에 대한 시 年譜

杜甫: 증이백(贈李白)[五言律排] (744)

杜甫: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 (744)

杜甫: 증이백(贈李白)[七言絶句] (745)

杜甫: 여이십이백동심범십은거(與李十二白同尋范十隱居) (745)

李白: 군동석문송두이보(魯郡東石門送杜二甫) (745)

李白: 희증두보(戲贈杜甫) (746年秋)

李白: 사구성하기두보(沙邱城下寄杜甫) (746年秋)

杜甫: 동일유회이백(冬日有懷李白) (746)

杜甫: 춘일억이백(春日憶李白) (747)

杜甫: 송공소부사병귀유강동겸정이백(送孔巢父謝病歸游江東兼呈李白) (747)

杜甫: 몽이백이수(夢李白二首) (759)

杜甫: 천말회이백(天末懷李白) (759)

杜甫: 기이십이백이십운(寄李十二白二十韻) - (759)

杜甫: 불견(不見) - (761)

杜甫: 견회(遣懷) (766)

杜甫: 석유이수(昔遊二首) (766)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