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4편 離婁 下(이루 하)
29. 禹稷顔回同道(우직안회동도)
禹稷(우직)이 : 우와 직이
當平世(당평세)하여 : 태평한 세상에
三過其門而不入(삼과기문이부입)하신대 : 자기집 문앞을 세 차례씩이나 지나면서도 들어가지 않았는데
孔子賢之(공자현지)하시니라 : 공자가 이것을 칭찬하셨다.
顔子當亂世(안자당난세)하여 : 안자는 어지러운 세상을 당해서
居於陋巷(거어루항)하사 : 누추한 동네에 살면서
一簞食(일단식)와 : 한 바구니의 밥과
一瓢飮(일표음)을 : 한 바가지의 물을 마시며
人不堪其憂(인부감기우)어늘 : 남 같으면 그 근심을 감당할 수 없는데도
顔子不改其樂(안자불개기락)하신대 : 안자는 자기의 즐거움을 고치지 아니하니
孔子賢之(공자현지)하시니라 : 공자가 칭찬하였다.
孟子曰禹稷顔回同道(맹자왈우직안회동도)하니라 : 맹자가 말씀하시기를 우와 직과 안회가 행동원리는 다 마찬가지니
禹(우)는 : 우는
思天下有溺者(사천하유닉자)어든 : 천하에 물에 빠진 사람이 있는 것을 생각하기를
由己溺之也(유기닉지야)하시며 : 자기 때문에 빠진 것처럼 하며
稷(직)은 : 직은
思天下有飢者(사천하유기자)어든 : 천하의 굶주린 자가 있으면
由己飢之也(유기기지야)하시니 : 자기 때문에 굶주린 것 같이 생각하니
是以(시이)로 : 이 때문에
如是其急也(여시기급야)시니라 : 이같이 집에도 들르지 못할 정도로 조급하게 지낸 것이다.
禹稷顔子易地則皆然(우직안자이지칙개연)이시리라 : 우와 직이나 안자가 처지를 바꾼다면 모두 다 그러했을 것이다.
今有同室之人鬪者(금유동실지인투자)어든 : 이제 한 방에 거처하는 사람이 싸우거든
救之(구지)하되 : 이것을 구원하되
雖被髮纓冠而救之(수피발영관이구지)라도 : 머리를 풀어헤친 채로 관끈을 졸라매고 싸움을 말리더라도
可也(가야)니라 : 좋다.
鄕鄰(향린)에 : 그러나 동네에
有鬪者(유투자)어든 : 싸우는 자가 있을 적에는
被髮纓冠而往救之(피발영관이왕구지)면 : 머리를 풀어헤친 채로 관끈을 졸라매고 가서 말린다면 이
則惑也(칙혹야)니 :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 것이니
雖閉戶라도可也(雖閉戶라도가야)니라 : 문을 닫고 가만히 있어도 좋은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31. 曾子居武城(증자거무성) (0) | 2016.02.24 |
---|---|
孟子(맹자) 30. 匡章(광장) (0) | 2016.02.24 |
孟子(맹자) 28. 無一朝之患(무일조지환) (0) | 2016.02.24 |
孟子(맹자) 27. 孟子不與右師言(맹자불여우사언) (0) | 2016.02.24 |
孟子(맹자) 26. 所惡於智者(소오어지자) (0) | 2016.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