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4편 離婁 下(이루 하)
28. 無一朝之患(무일조지환)
孟子曰君子所以異於人者(맹자왈군자소이이어인자)는 : 맹자가 말씀하시기를, 군자가 일반 사람과 다른 까닭은
以其存心也(이기존심야)니 : 자기의 마음을 보존하고 있기 때문이니
君子(군자)는 : 군자는
以仁存心(이인존심)하며 : 인을 마음에 지니고
以禮存心(이예존심)이니라 : 예를 마음에 지닌다.
仁者(인자)는 : 인자한 사람은
愛人(애인)하고 : 남을 사랑하고
有禮者(유예자)는 : 예를 차리는 사람은
敬人(경인)하나니 : 남을 공경하나니
愛人者(애인자)는 : 남을 사랑하는 사람은
人恒愛之(인항애지)하고 : 남들이 항상 이 사람을 사랑하고
敬人者(경인자)는 : 남을 공경하는 사람은
人恒敬之(인항경지)니라 : 남들이 항상 이 사람을 공경하는 것이다
有人於此(유인어차)하니 : 여기에 사람이 있어서
其待我以橫逆(기대아이횡역)이어든 : 그 사람이 나를 횡포하게 대하면
則君子必自反也(칙군자필자반야)하여 : 군자는 반드시 스스로 반성하여
我必不仁也(아필부인야)며 : 내가 틀림없이 인자하지 못하며
必無禮也(필무예야)로다 : 예를 지키지 못한 모양이다.
此物(차물)이 : 이런 일이
奚宜至哉(해의지재)오하나니라 : 어떻게 나에게 닥쳐올 수 있겠는가
其自反而仁矣(기자반이인의)며 : 자기가 스스로 반성하였으나 인자하며
自反而有禮矣(자반이유예의)로되 : 자기 스스로 반성하여 예법대로 하였는데
其橫逆(기횡역)이 : 그 사람의 무례함이
由是也(유시야)어든 : 이와 같으면
君子必自反也(군자필자반야)하여 : 군자는 반드시 스스로 반성하여
我必不忠(아필부충)이로다하나니라 : 내가 반드시 충성되지 못함이다 하나니
自反而忠矣(자반이충의)로되 : 자기 스스로 반성하여서 충성해도
其橫逆(기횡역)이 : 그 사람의 무례함이
由是也(유시야)어든 : 마찬가지면
君子曰此亦妄人也已矣(군자왈차역망인야이의)로다하나니 : 그때는 군자가 말하기를 이 사람이 또한 망령된 사람일 뿐이다 할 터이니
如此(여차)면 : 이처럼 된다면
則與禽獸奚擇哉(칙여금수해택재)리오 : 금수와 다를 것이 무엇이겠는가?
於禽獸(어금수)에 : 또 금수에 대해서
又何難焉(우하난언)이리오 : 무엇을 힐난 하겠는가?
是故(시고)로 : 이런 까닭으로
君子有終身之憂(군자유종신지우)요 : 군자는 일생 동안의 근심은 있어도
無一朝之患也(무일조지환야)니 : 하루아침의 근심은 없는 것이며
乃若所憂則有之(내야소우칙유지)하니 : 근심하는 것이라면 이런 것이 있나니
舜(순)도 : 순 임금도
人也(인야)며 : 사람이며
我亦人也(아역인야)로되 : 나도 역시 사람인데
舜(순)은 : 순 임금은
爲法於天下(위법어천하)하사 : 천하에 법도를 펴서
可傳於後世(가전어후세)어시늘 : 후세에 전할 만한데도
我(아)는 : 나는
由未免爲鄕人也(유미면위향인야)하니 : 오히려 아직도 시골 평범한 사람 노릇하는 것을 면치 못하고 있다.
是則可憂也(시칙가우야)라 : 이것이 바로 근심할 만한 것이다.
憂之如何(우지여하)오 : 근심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如舜而已矣(여순이이의)니라 : 순과 같이 할 뿐이다.
若夫君子所患則亡矣(야부군자소환칙망의)니 : 만일 군자가 걱정할 것이라면 없는 것이니
非仁無爲也(비인무위야)며 : 인이 아니면 하지 아니하며
非禮無行也(비예무행야)라 : 예법이 아니면 행동하지 아니하나니
如有一朝之患(여유일조지환)이라도 : 만일 하루아침에 걱정거리가 생기더라도
則君子不患矣(칙군자불환의)니라 : 군자는 그런 것을 걱정하지 않는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30. 匡章(광장) (0) | 2016.02.24 |
---|---|
孟子(맹자) 29. 禹稷顔回同道(우직안회동도) (0) | 2016.02.24 |
孟子(맹자) 27. 孟子不與右師言(맹자불여우사언) (0) | 2016.02.24 |
孟子(맹자) 26. 所惡於智者(소오어지자) (0) | 2016.02.24 |
孟子(맹자) 25. 西子蒙不潔(서자몽불결) (0) | 2016.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