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4편 離婁 下(이루 하)
18. 聲聞過情(성문과정)
徐子曰仲尼亟稱於水曰水哉水哉(서자왈중니극칭어수왈수재수재)여하시니 : 서자가 말하기를, 중니가 물에 대해서 감탄하여 말씀하기를, 물이여 물이여 하시니
何取於水也(하취어수야)시니잇고 : 중니는 물의 무엇에 감탄하신 것입니까?
孟子曰原泉(맹자왈원천)이 : 맹자가 말씀하시기를, 근원 있는 샘물이
混混(혼혼)하여 : 끊임없이 흘러
不舍晝夜(불사주야)하여 : 밤낮을 가리지 아니하여
盈科而後進(영과이후진)하여 : 웅덩이에 가득 찬 후에 넘쳐흘러서
放乎四海(방호사해)하나니 : 사해에까지 이르게 되나니
有本者如是(유본자여시)라 : 근본이 있는 것은 모두 다 이와 같은 것이니
是之取爾(시지취이)시니라 : 이점을 취한 것이다.
苟爲無本(구위무본)이면 : 진실로 근본이 없으면
七八月之間(칠팔월지간)에 : 칠월이나 팔월 사이에
雨集(우집)하여 : 빗물이 모여
溝澮皆盈(구회개영)이나 : 도랑과 물길이 다 가득 차게 되나
其涸也(기학야)는 : 그 마르는 것도
可立而待也(가립이대야)라 : 서서 그대로 기다릴 만한 것이니
故(고)로 : 그런 까닭에
聲聞過情(성문과정)을 : 명성이 실정보다 지나치는 것을
君子恥之(군자치지)니라 : 군자는 부끄럽게 여기는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20. 周公思兼三王(주공사겸삼왕) (0) | 2016.02.24 |
---|---|
孟子(맹자) 19. 由仁義行(유인의행) (0) | 2016.02.24 |
孟子(맹자) 15. 博學詳說(박학상설) 16. 以善服人(이선복인) 17. 言無實不祥(언무실불상) (0) | 2016.02.24 |
孟子(맹자) 14. 居安資深(거안자심) (0) | 2016.02.24 |
孟子(맹자) 12. 不失其赤之心(불실기적지심) 13. 當大事(당대사) (0) | 2016.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