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4편 離婁 下(이루 하)
14. 居安資深(거안자심)
孟子曰君子深造之以道(맹자왈군자심조지이도)는 : 맹자가 말씀하시기를, 군자가 올바른 방법으로 깊이 탐구하는 것은
欲其自得之也(욕기자득지야)니 : 자신이 스스로 체득하려 함이니
自得之則居之安(자득지칙거지안)하고 : 스스로 채득하게 되면 사물에 대처함에 안정되어 진다.
居之安則資之深(거지안칙자지심)하고 : 그 일에 대처하는 것이 안정되게 되면 그 일에서 취하는 것이 깊이가 있어진다.
資之深則取之左右(자지심칙취지좌우)에 : 그 일에서 취하는 것이 깊이가 있게 되면 좌우 어느 쪽에서 취택하더라도
逢其原(봉기원)이니 : 그 근원을 파악하게 된다.
故(고)로 : 그러므로
君子(군자)는 : 군자는
欲其自得之也(욕기자득지야)니라 : 몸소 체득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18. 聲聞過情(성문과정) (0) | 2016.02.24 |
---|---|
孟子(맹자) 15. 博學詳說(박학상설) 16. 以善服人(이선복인) 17. 言無實不祥(언무실불상) (0) | 2016.02.24 |
孟子(맹자) 12. 不失其赤之心(불실기적지심) 13. 當大事(당대사) (0) | 2016.02.24 |
孟子(맹자) 8. 人有不爲(인유불위) 9. 言人之不善(언인지불선) 10. 不爲已甚(불위이심) 11. 惟義所在(유의소재) (0) | 2016.02.24 |
孟子(맹자) 7. 中也養不中(중야양부중) (0) | 2016.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