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색229 황매화 黃梅花 Kerria 산과바다 황매화 黃梅花 Kerria 2019. 4. 21. 담음 황매화와 죽단화는 정원에 심어 기르는(원예종) 종으로만 알았더니 숲속에서도 자생하는 식물이군요. * 황매화는 황색꽃의 꽃잎이 5장이고 * 죽단화는 황색꽃의 꽃잎이 겹으로되어 겹황매화라고도 하는군요. 황매화 Kerria japonica (L.) DC. for. japonica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황매화속(Kerria) 장미과(薔薇科 Ros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 일본이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흔히 심는다. 키는 2m에 달하며 줄기는 녹색으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털이 없다. 잎은 길이가 2~9cm, 너비가 3~3.5cm로 어긋나는데 잎맥은 나란하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겹톱니가 있다. 턱잎[托葉]은 가늘고 일찍 .. 2019. 4. 22. 뽀리뱅이 Oriental false hawksbeard 산과바다 뽀리뱅이 Oriental false hawksbeard 2019. 4. 19. 담음 길가에 자라며 꽃을 피우는데 보아야만 보이는 뽀리뱅이의 작은 황색 꽃이 예쁘게 피는군요. * 꽃이 피면서 벌써 열매인 수과(瘦果)에 백색의 긴 관모(冠毛 갓털)가 붙어 풍산포(風散布)를 기다리고 있군요. 뽀리뱅이 Youngia japonica (L.) D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뽀리뱅이속(Youngia) 보리뱅이, 황매체, 박조가리나물이라고도 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가을에 발아해서 로제트 잎으로 겨울을 지내는 해넘이 한해살이풀이다. 들이나 논, 밭둑, 길가, 풀밭 등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15~100cm이고 전체에 퍼진 털이 밀생한다. 원줄기는 밑에서부터 갈라진다. 잎의 근생엽.. 2019. 4. 20. 생강나무 Korean spice bush 산과바다 생강나무 Korean spice bush 2019. 4. 8. 담음 3월 초순경이면 노란꽃이 개화하여 봄을 먼저 알려주는 꽃인데...... 높은산(700여m 고지) 중이어서 인지 이제서 꽃이 피기도 하는군요.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Blum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녹나무목 >녹나무과 >생강나무속(Lindera) 줄기는 높이가 3m에 달하며 나무껍질은 흑회색이고 일년생가지는 황록색이다. 일년생가지와 동아에 털이 없다. 길이 1cm의 열매자루가 있다. 나무껍질은 흑회색이고 일년생가지는 황록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기로 길이 5-15cm, 나비 4-13cm로서 달걀꼴 또는 난상 원형이며 둔두이며 심장저 또는 원저이다. 윗부분이 3-5개로 갈라지지만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 2019. 4. 10. 서양민들레 Broad-lobe dandelion, Bitterwort, Chicoria 산과바다 서양민들레 Broad-lobe dandelion, Bitterwort, Chicoria 2019. 3. 3. 담음 보통 민들레라고 만 불렀는데 총포조각의 젖혀진 모양으로 보아 서양민들레로 구분하여 불러야 겠군요. * 서양민들레의 경우 두상꽃차례를 감싸는 꽃받침대(총포조각)중 바깥쪽에 있는 것들이 뒤로 젖혀져 있는 데 비해 * 민들레는 모든 꽃받침대들이 곧게 서 있어 다르군요. 두상꽃차례를 감싸는 꽃받침대(총포조각)중 바깥쪽에 있는 것들이 뒤로 젖혀져 있군요.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Web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민들레속(Taraxacum)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도시 주변이나 농촌의 길가와 공터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 2019. 3. 3. 괭이밥 Creeping sorrel 산과바다 괭이밥 Creeping sorrel 2019. 3. 3. 담음 괭이밥 Oxalis corniculata L.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쥐손이풀목 >괭이밥과 >괭이밥속(Oxalis) 밭이나 길가에 난다. 줄기는 많은 대가 나와 옆으로 또는 위를 향해 비스듬이 자라며 전체에 잔털이 있고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뿌리.. 2019. 3. 3. 도꼬마리 Cocklebur 산과바다 도꼬마리 Cocklebur 2018. 9. 26. 담음 도꼬마리 Xanthium strumarium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도꼬마리속 (Xanthium) 집 마을 빈터, 밭머리, 낮은 지대의 길가에서 흔히 자라지만 북부지방에 많다.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잎과 더불어 털이 있다. 단모(短毛)가 많으며 보통 엷은 녹색으로 흑자색의 반문(班紋)이 산재한다.잎은 어긋나기 하며 엽병이 길고 넓은 삼각형이며 예두 아심장저이고 길이 5~15cm로서 흔히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3개의 큰 맥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양면이 거칠다.꽃은 8~9월에 피며 황색으로서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원추상으로 달리며 암꽃과 수꽃이 있고 수꽃의 머리모양.. 2018. 9. 30. 진득찰 Sigesbeckia glabrescens 산과바다 진득찰 Sigesbeckia glabrescens 2018. 9. 24. 담음 총포조각이 꽃을 둘러싸고 있음이 가막사리와 비슷한데..... * 진득찰은 녹색인 5개의 총포조각(꽃받침)에 점액을 분비하는 선모(腺毛)가 빽빽하게 있어서 만져보면 진득거림이 가막사리와 다르군요. 진득찰 Sigesbeckia glabrescens Makino. 피자.. 2018. 9. 29. 새팥 꼬투리 Wild red bean 산과바다 새팥 꼬투리 Wild red bean 2018. 9. 19. 담음 돌콩과 새콩도 삼출엽으로 잎 모양이 비슷하여 혼동 되는데 속이 다르고 꽃의 색깔이 다르군요. * 돌콩은 콩속으로 나비모양의 연한 홍자색 꽃이 피고 * 새콩은 새콩속으로 꽃이 연한 자주색으로 피는데 * 새팥은 동부속이고 연한 황색의 꽃이 핌이 달라서 구분이 되는군요. 새팥 Vigna angularis (Ohwi) var. nipponensis Ohwi & H. Ohash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동부속(Vigna) 산녹두, 삼열엽채두라고도 한다. 전국의 낮은 지대 언덕 및 길가 초원지 풀밭에서 자라는 덩굴성의 한해살이풀로 높이 100~200cm 정도이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물체에 감겨 .. 2018. 9. 21. 왕고들빼기 Indian lettuce 산과바다 왕고들빼기 Indian lettuce 2018. 9. 19. 담음 어린잎(로제트잎)은 뜯어 쌈 싸먹고(삼겹살)..유년시에 씨앗똥이라 하여 뜯어다가 토끼에게 주면 잘 먹더군요. 속은 다르지만 고들빼기 이고들빼기 까치고들빼기 등의 황색꽃이 비슷하고 씀바귀 꽃과도 비슷하군요. 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왕고들빼기속(Lactuca) 밭머리 집 마을 빈터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1~2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털이 있거나 거의 없다. 잎의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30cm, 폭 1~5cm로서 밑부분이 직접 원줄기에 달리며 표면은.. 2018. 9. 21. 팥(小豆) Red Bean 산과바다 팥(小豆) Red Bean 2018. 9. 1. 담음 * 콩은 연한 홍자색의 꽃이 피고, 팥은 황색의 꽃이 피는데 콩의 꽃보다 크군요. * 콩(大豆)과 팥(小豆)을 두태(豆太)라 하고 같은 콩과이나 콩은 콩속이고 팥은 동부속으로 속이 다르군요. 팥 Vigna angularis (Wild.) Ohwi & H.Ohash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동부속(Vigna) 우리나라에서는 소두(小豆)라고도 불리며, 중국에서는 소두(小豆) 적소두(赤小豆) 홍두(紅豆) 잔두(殘豆) 미두(眉豆) 등으로 불린다. 팥은 원래 적두라 하였고, 『예기』·『황제내경(黃帝內經)』 등에 보이는 소두는 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 『제민요술(齊民要術)』에서는 녹두·적두·백두·완두 등 알맹.. 2018. 9. 2. 짚신나물 Hairyvein Agrimonia 산과바다 짚신나물 Hairyvein Agrimonia 2018. 7. 22. 담음 충북대학병원(7월 17일~22일)에서 편히 쉬었다가 나와서 오후에 즐거운 마음으로 뒷산 산책로에 올라보았다. 야산 산책로 길가에서 자람을 담았는데 줄기와 잎의 앞뒷면에 털이 나 있고 잎의 가장자리는 거치(鋸齒)로 되었군요. 짚신나물 Ag.. 2018. 7. 23. 솔나물 Galium verum 산과바다 솔나물 Galium verum 2018. 7. 7. 담음 양지바른 무덤가 언덕에서 자람을 담았는데 잎이 소나무의 잎처럼 가늘고 길게 생겨서 솔나물이라 한다는 군요. 꽃은 하나하나의 지름이 2.5㎜로 매우 작으며 많은 수의 꽃들이 뭉쳐서 피는군요. 솔나물 Galium verum var. asiaticum Nakai 피자식물문 >쌍.. 2018. 7. 8. 금불초(金佛草) Asian yellow-starwort 산과바다 금불초(金佛草) Asian yellow-starwort 2018. 6. 29. 담음 * 금불초가 벌써 꽃을 피워 예쁘군요. 6월 하순부터 9월 말경까지 오랜 기간동안 꽃을 볼 수 있군요. * 금불초는 샛노란 꽃잎이 무리지어 피어 있는 모습이 부처님의 환하고 온화한 모습을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군요. 금불초(金佛草) Inula britannica L.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금불초속(Inula) 꽃국화과의 다년초.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뻗으면서 번식하는데 높이 30∼60cm이고 전체에 털이 나며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로 잔 .. 2018. 7. 1. 노랑코스모스 Yellow Cosmos 산과바다 노랑코스모스 Yellow Cosmos 2018. 6. 29. 담음 * 혀꽃의 꽃잎이 8개인데 겹꽃인 것도 보이고 꽃잎이 그 이상인 것도 있군요. * 코스모스에 비해 잎이 넓고 끝이 뾰족하게 갈라지며 꽃이 주황색이므로 구분되는군요. 노랑코스모스 Cosmos sulphureus Cav.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코스모스속(Cosmos) 멕시코 원산으로 1930~1945년에 한국에 도입되어 관상용으로 식재되며, 인근의 자연으로 퍼져 서식하여 야생화가 되었다. 줄기는 높이 40~100cm, 곧추 서며 가지를 많이 치고 털이 없다.잎은 마주나기(對生)잎차례이고 아래쪽의 것은 긴 잎자루가 있고, 잎몸은 윤곽이 삼각상 달걀모양(三角狀卵形)으로 2회 .. 2018. 6. 29. 뱀딸기 False strawberry 산과바다 뱀딸기 False strawberry 2918. 5. 19. 담음 황색꽃 옆에 빨간 열매가 탐스럽게 보이는군요. 어렸을 땐 따 먹기도 했었는데.... 뱀딸기의 잎과 꽃이 양지꽃과 비슷하게 보이는군요. * 뱀딸기는 황색꽃이 잎겨드랑이(葉腋)에 1개씩 나며, 긴 꽃자루(花梗)가 있다. 꽃이 핀 다음 화상이 부풀어 오른다. * 양지꽃은 황색의 꽃이 줄기 끝부분에서 여러 개 꽃이 취산화서(聚散花序 고른 우산살송이모양꽃차례)로 핀다. 꽃이 핀 다음 화상이 부풀어 오르지 않는다. * 일반 딸기(프라가리아속 Fragaria)는 백색 꽃이 핀다. 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Zoll. & Moritzi) Miq.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뱀딸기속(Duchesnea) 전국의.. 2018. 5. 21. 뽀리뱅이 Oriental false hawksbeard 산과바다 뽀리뱅이 Oriental false hawksbeard 2018. 5. 13. 담음 열매인 수과(瘦果)에 백색의 긴 관모(冠毛 갓털)가 붙어 풍산포(風散布)를 기다리고 있군요. 뽀리뱅이 Youngia japonica (L.) D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뽀리뱅이속(Youngia) 보리뱅이, 황매체, 박조가리나물이라고도 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가을에 발아해서 로제트 잎으로 겨울을 지내는 해넘이 한해살이풀이다. 들이나 논, 밭둑, 길가, 풀밭 등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15~100cm이고 전체에 퍼진 털이 밀생한다. 원줄기는 밑에서부터 갈라진다. 잎의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거꿀피침모양이고 질이 연약하며 길이 8~25cm, 폭 1.7~6cm로서 털이 있.. 2018. 5. 16. 개구리자리 Cursed buttercup 산과바다 개구리자리 Cursed buttercup 2018. 5. 13. 담음 산남동 두꺼비집 앞 습지에서 담았는데 황색의 꽃잎이 반짝거리며 윤기가 나서 시선을 끄는군요.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논두렁이나 습지에서 흔하게 자란다. 줄기는 한해살이지만, 종종 해넘이살이(越年生)로 관찰된다. 바로 서고 윗부분에서 분지한다. 약간 윤기가 나며, 윗부분에서 털이 드물게 있다. 잎은 백색 뿌리에서 난 잎(根生葉)은 모여 나며(叢生), 성장하면서 긴 잎자루를 만들고, 논바닥 같은 습지 바닥에 붙어서 겨울을 나기도 한다. 두꺼운 편(肉質)이며, 윤기가 난다. 줄기에서 난 잎(莖生葉)은 어긋나.. 2018. 5. 14.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산과바다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2018. 5. 8. 담음 황색의 꽃잎으로 줄기는 높이가 10cm가량이고 잎이 난상 원형으로 길이×나비 (20mm×15mm)정도로 작고 동글동글하게 보여 다른 씀바귀와 쉽게 구분이 되는군요. 살갈퀴와도 사이좋게 살아가는군요.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A.Gray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선씀바귀속(Ixeris)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산 능선을 따라서 또는 길가나 숲 가장자리에 조밀하게 생육하며 주로 메마르고 척박한 토양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10cm가량으로 줄기가 길게 벋으면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는 근경이 갈라져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난상 원형, 넓은 달걀모양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 2018. 5. 11. 이전 1 ··· 5 6 7 8 9 10 11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