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과213 결명자 決明子 Cassia seed 산과바다 결명자 決明子 Cassia seed 2017. 9. 12. 담음 * 녹색의 꼬투리(莢果)가 활처럼 굽어있음이 특이하군요. * 밭 근처 야산기슭 양지바른 언덕에 몇 그루 자람을 담았는데 아마도 재배했던 씨에 의한 것 같고 야생이 되었나 보다. * 눈이 침침한데 결명자를 구해서 결명자 차로 술로 이용해 보아야겠군요.찬장을 열어보니 이런것이 있었네!.한컵 타볼까~! 팩으로 되어 있는데 뜨거운물에 넣으니 색깔이 예쁘게 되는군요. 결명자 Casssia tor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콩목 >콩과 >결명속(Senna) 긴강남차, 결명차(決明茶), 초결명 이라고도 한다. 결명(決明)이라는 명칭은 눈을 밝게 해준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이며 약용으로 재배한다. 높이는.. 2017. 9. 13. 차풀 Senna 산과바다 차풀 Senna 2017. 9. 9. 담음 자귀풀과 모양이 비슷하여 구분하기 쉽지 않군요. * 차풀과 자귀풀의 구분 차풀은 분절이 없고 황색꽃잎이 5개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인데 자귀풀은 분절이 있고 나비모양의 황색꽃이 피는것으로 구분 되는군요. 차풀 Cassia mimosoides var. nomame 속씨식.. 2017. 9. 12. 자귀풀 Indian jointvetch, 산과바다 자귀풀 Indian jointvetch, 2017. 9. 9. 담음 차풀과 모양이 비슷하여 구분하기 쉽지 않군요. * 자귀풀과 차풀의 구분 자귀풀은 분절이 있고 황색의 나비모양꽃이 피는데 차풀은 분절이 없고 황색꽃잎이 5개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구분 되는군요. 자귀풀 Aeschynomene indica L. 피자.. 2017. 9. 12. 큰낭아초 Dwarf false indigo 산과바다 큰낭아초 Dwarf false indigo 2017. 9. 9. 담음 * 낭아초는 바닷가에서 주로 자라며 잎과 줄기가 왜소한데...... * 내륙에서 보이는 대부분은 큰낭아초로 이제부터는 구분해서 불러야 되겠군요. * 콩과의 낙엽활엽 반관목인데 이름에는 ~草로 되어있군요. 큰낭아초 Indigofera bungeana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땅비싸리속(Indigofera) 큰낭아초는 낭아초에 비해 전체적으로 크다는 뜻의 이름이다. 원산지가 중국인 도입식물이며, 잎이 지는 떨기나무(낙엽관목)이다. 높이는 1~2m이다. 나무껍질은 갈색 또는 회갈색이고 껍질눈이 있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어린 가지에 짧은 털이 있다. 겨울눈은 둥글.. 2017. 9. 10. 새팥 Wild red-bean 산과바다 새팥 Wild red-bean 2017. 9. 4. 담음 * 돌콩과 새콩도 잎자루가 삼출엽으로 모양이 비슷하여 혼동 되는데 속이 다르고 꽃의 색깔이 다르군요. * 돌콩은 콩속으로 나비모양의 연한 홍자색 꽃이 피고, 새콩은 새콩속으로 꽃이 연한 자주색으로 피는데 새팥은 동부속이고 연한 황색의 꽃이 핌이 다르군요. 새팥 Vigna angularis (Ohwi) var. nipponensis Ohwi & H. Ohash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동부속(Vigna) 산녹두, 삼열엽채두라고도 한다. 전국의 낮은 지대 언덕 및 길가 초원지 풀밭에서 자라는 덩굴성의 한해살이풀로 높이 100~200cm 정도이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물체에 감겨 올라간다. 전체에 퍼진.. 2017. 9. 5. 좀싸리 Wand lespedeza 산과바다 좀싸리 Wand lespedeza 2017. 8. 27. 담음 * 야산 묘 언덕에서 담았는데 백색 나비모양인 작은 꽃잎과 꽃잎 기부에는 적색 반점이 있음이 특이하고 꽃받침(花托)은 자색을 띠며, 꽃이 1쌍씩 드물게 핌이 특이하군요. 좀싸리 Lespedeza virgata (Thunb.) D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싸리속(Lespedeza) 좀싸리는 싸리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목본성 풀(subshrub herb)로 분류된다. 수고 약 50cm 정도로 가늘고 비스듬히 자라며 한곳에서 여러 개가 모여 나온다.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3출엽이다. 작은 잎은 타원형으로 가징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에 잔털이 밀생한다.꽃은 8~9월 잎겨드랑이에서 가늘고.. 2017. 9. 1. 매듭풀 Korean lespedza 산과바다 매듭풀 Korean lespedza 2017. 8. 27. 담음 * 지금까지 마디풀로 올렸었는데 꽃 모양과 잎 모양을 자세히 살펴 매듭풀로 동정하여 올린다. * 마디풀과 이름도 비슷하고 사는 곳도 비슷해서 헷갈린다. 매듭풀 Kummerowia striata (Thunb. ex Murray) Schind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 콩과 >매듭풀속(Kummerowia) 매돕풀이라고도 한다. 길가나 들 또는 하천가의 해가 잘 드는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높이 10∼3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는 가늘고 갈라져 옆으로 자라는데 아래쪽을 향해 잔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3출엽으로 3개의 작은 잎이 모여 있다. 작은 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15m.. 2017. 9. 1. 비수리 Chinese bush clover 산과바다 비수리 Chinese bush clover 2017. 7. 18. 담음 * 반관목인 비수리는 호비수리와 꽃이 같아 보이는데 호비수리는 비수리보다 일찍 6~7월에 꽃이 피고 분명한 화경(花梗:꽃대와 연결된 자루)이 있음이 다르고, * 6월에 흰색 꽃을 피는 흰전동싸리와도 비슷한데 비수리는 흰색 꽃 기판의 중앙에 자주색 줄이 있음이 다르군요. * 비수리는 잎이 3장씩 나오는 3출 겹잎이고 꽃은 흰 바탕에 자줏빛 줄이 있고 가운데 큰 꽃잎의 중앙은 자줏빛임이 특이하군요. 비수리 Lespedeza cuneata (Dum. Cours.) G. Don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싸리속(Lespedeza) 한약명은 야관문(夜關門)이다. 콩과의 반관목으로.. 2017. 7. 20. 얼치기완두(열매) Lentil tare 산과바다 얼치기완두(열매) Lentil tare 2017. 5. 20. 담음 4월 중순에 꽃이 피더니 5월 중순부터 열매가 익어가는군요. 새완두(종자 2개) 얼치기완두(종자 3~6개) 살갈퀴(종자 10개 내외)의 잎과 꽃이 비슷하여 구분이 쉽지 않았는데 열매(꼬투리)속의 종자의 갯수를 비교해보니 구분이 되는군요. 얼치기완두 Vicia tetrasperma (L.) Schre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나비나물속(Vicia) 새완두와 살갈퀴의 중간 정도 되는 모습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유럽 원산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산과 들에서 덩굴져 자라는 이년생 초본이다. 줄기는 길이 30~60cm, 아래쪽에서 가지를 많이 치며 어릴 때 털이 약간 있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며 작은잎은 6.. 2017. 5. 21. 땅비싸리 Kirilow indigo 산과바다 땅비싸리 Kirilow indigo 2017. 5. 20. 담음 * 야산 기슭 양지바른 곳에서 담았는데 담홍색 꽃이 긴꽃대에 여러개가 붙어있고 싸리나 참싸리보다 크군요. * 하나의 꽃대에 여러개의 꽃이 달려있고 지고 피고 하는군요. 땅비싸리 Indigofera kirilowii Maxim. ex Pali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땅비싸리속(Indigofera) 콩과의 잎 지는 넓은잎 작은키나무로 산기슭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는 1m 정도이고 뿌리에서 많은 싹이 나온다. 여러 개의 줄기가 올라오며 가지에 세로로 된 줄 모양의 돌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互生), 홀수 1회 깃꼴겹잎(羽狀複葉)이다. 작은잎은 7∼11개로 두껍고 원형 ·타원형 또는 거꾸.. 2017. 5. 21. 아까시나무 False acasia 산과바다 아까시나무 False acasia2017. 5. 6. 담음* 한때 아카시아>라고 했으나, 요즘은 아카시아속(Acaccia) 식물이 한국에 소개되면서 혼동을 피하기 위해 아까시나무>라 한다. 하얀 꽃이 피기 시작하니 꽃을 담으며 코끝을 쫑긋거리며 과수원길 노래 가 흥얼거려 지는군요. 과수원길 동구 밖 과수원길 아카시아 꽃이 활짝 폈네하이얀 꽃 이파리 눈송이처럼 날리네 향긋한 꽃 냄새가 실바람타고 솔솔둘이서 말이 없네 얼굴 마주 보며 생긋아카시아 꽃 하얗게 핀 먼 옛날에 과수원길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 acaci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아까시나무속(Robinia)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약 25m이다. 나무껍질은 노란빛을 .. 2017. 5. 7. 박태기나무 紫荊木 Chinese Redbud 산과바다 박태기나무 紫荊木 Chinese Redbud 2017. 4. 16. 담음 밥풀떼기모양의 꽃 봉오리가 열리어 홍자색 꽃이 나비 모양으로 피어 예쁘군요. 줄기와 가지에 다닥다닥 꽃이 핀 모습이 밥알 붙은 주걱처럼 보인다고 해서 밥풀떼기나무, 이것이 변하여 박태기나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는 군요. 꽃을 자형화(紫荊花), 열매를 자형과(紫荊果), 나무를 자형목(紫荊木)이라 한다.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Bung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박태기나무속(Cercis) 잎은 어긋나며 거의 가죽질인데 길이 5~8cm, 나비 4~8cm의 심장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며 밑 부분에서 5개의 커다란 맥이 발달한다. 앞면은 윤기가 나며 털이 없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2017. 4. 17. 살갈퀴 Vicia angustifolia 산과바다 살갈퀴 Vicia angustifolia 2017. 4. 3. 담음 4월 초순에 벌써 꽃이 피는군요. 지난해에는 5월 말경에 열매가 익더군요. * 살갈퀴는 작은잎 끝에 3갈래의 덩굴손이 있어 가는살갈퀴와 구분이 되는군요. * 새완두(종자 2개) 얼치기완두(종자 3~6개) 살갈퀴(종자 10개 내외)의 잎과 꽃이 비슷하여 구분이 쉽지 않았는데 * 열매(꼬투리)속의 종자의 갯수를 비교해보니 구분이 되는군요. 살갈퀴 Vicia angustifoliavar var. segetilis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나비나물속(Vicia) 우리나라 각 처의 밭이나 들, 산록에서 덩굴져 자라는 이년생 초본이다. 네모진 줄기는 길이 60~150cm 정도로 덩굴져 자라며 전체에 털이 덮이며 밑부분에서.. 2017. 4. 4. 자주비수리 Lespedeza rosea 산과바다 자주비수리 Lespedeza rosea 2016. 9. 15. 담음 * 비수리와 호비수리는 흰색꽃을 피우는데 자주비수리는 홍색이나 붉은자주색의 꽃이 피는군요. * 꽃비수리 이름이 자주비수리로 바뀌었군요. 자주비수리 Lespedeza rosea Y.N.Le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싸리속(Lespedeza) 콩과에 속하는 중국 원산의 여러해살이풀 또는 반떨기나무로서 줄기는 높이 1m 내외로 곧추 자라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흰색 누운 털 또는 퍼진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흰색 누운 털이 빽빽하게 있고, 3출겹잎이다.꽃은 8~10월에 분홍색 또는 붉은 자주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총상꽃차례를 이루고 잎보다 짧다.열매는 협과(莢果 .. 2016. 9. 23. 비수리 Chinese bush clover 산과바다 비수리(=야관문) Chinese bush clover 2016. 9. 15. 담음 * 호비수리와 꽃은 같아 보이는데 호비수리는 6~7월에 꽃이 피고 분명한 화경(花梗:꽃대와 연결된 자루)이 있음이 다르군요. * 흰전동싸리와도 비슷하게 6월에 피는 꽃이 백색인데 비수리는 기판의 중앙에 자주색 줄이 있음이 다르군요. 비수리 Lespedeza cuneata (Dum. Cours.) G. Don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싸리속(Lespedeza) 한약명은 야관문(夜關門)이다. 콩과의 반관목으로 여러해 살이 풀이다. 비수리의 동의어로 백마편(白馬鞭), 삼엽초(三葉草), 천리광(千里光)이라고도 한다.줄기는 반관목 모양으로 곧게 자라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가지는.. 2016. 9. 23. 벌노랑이 Asian birds foot trefoil 산과바다 벌노랑이 Asian birds foot trefoil 2016. 9. 15. 담음 * 여름에 피는 꽃이 9월 중순인데도 보이는군요. * 벌노랑이, 서양벌노랑이, 들벌노랑이의 구분꽃줄기 끝 꽃의 수잎에벌노랑이2~3(4)개털이 없다서양벌노랑이3~7개털이 갈래조각에 많다.들벌노랑이5~15개부드러운 털 잎 뒷면 백분색 벌노랑이 Lotus corniculatus L. var. japonicus Rege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 >벌노랑이속(Lotus) 벌노랑이는 노랑돌콩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숲이나 풀밭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 높이 약 30cm이다. 밑동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비스듬히 자라거나 퍼지고 털이 없다.잎은 어긋나는데, 5개의 작은.. 2016. 9. 17. 큰낭아초 Dwarf false indigo 산과바다 큰낭아초 Dwarf false indigo 2016. 9. 12. 담음 * 낭아초는 바닷가에서 주로 자라며 잎과 줄기가 왜소한데...... * 내륙에서 보이는 대부분은 큰낭아초로 이제부터는 구분해서 불러야 되겠군요. * 콩과의 낙엽활엽 반관목인데 이름에는 ~草로 되어있군요. 큰낭아초 Indigofera bungeana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땅비싸리속(Indigofera) 큰낭아초는 낭아초에 비해 전체적으로 크다는 뜻의 이름이다. 원산지가 중국인 도입식물이며, 잎이 지는 떨기나무(낙엽관목)이다. 높이는 1~2m이다. 나무껍질은 갈색 또는 회갈색이고 껍질눈이 있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어린 가지에 짧은 털이 있다. 겨울눈은 둥.. 2016. 9. 13. 좀싸리 Wand lespedeza 산과바다 좀싸리 Wand lespedeza 2016. 9. 3. 담음 * 야산 양지바른 풀밭에서 담았는데 백색 나비모양인 작은 꽃잎과 꽃잎 기부에는 적색 반점이 있음이 특이하고, 꽃받침(花托)은 자색을 띠며, 꽃이 1쌍씩 드물게 핌이 특이하군요. * 좀싸리는 싸리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목본성 풀(subshrub herb)로 분류되는군요. 좀싸리 Lespedeza virgata (Thunb.) D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싸리속(Lespedeza) 좀싸리는 싸리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목본성 풀(subshrub herb)로 분류된다. 수고 약 50cm 정도로 가늘고 비스듬히 자라며 한곳에서 여러 개가 모여 나온다.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3출엽이.. 2016. 9. 4. 이전 1 ··· 4 5 6 7 8 9 10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