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105 무지개(대기과학) (rainbow) 산과바다 무지개(대기과학) (rainbow) 빛이 광원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비·물보라·안개와 같은 물방울의 집합체를 비출 때 나타나는 일련의 채색된 동심호(同心弧)(→ 일사). 무지개는 태양이 소나기의 빗방울을 비출 때 태양과 반대방향에서 가장 흔하게 관찰된다. 비행기 등을 타고 하늘에서 바.. 2008. 4. 7. 주상절리(株狀節理 Columnar Joint) 산과바다 제주 서귀포 대포동 주상절리 주상절리(株狀節理 Columnar Joint) 기둥 모양으로 갈라진 틈을 의미하는데, 이는 현무암질의 용암이 바다와 만나 급격히 냉각·수축되면서 4~6각 기둥의 형태로 굳어진 지층을 말한다. 절리(Joint)란 마그마의 급속한 냉각으로 용암이 수축되어 만들어.. 2008. 3. 28. 삼릉석(三稜石) facetted pebble과 사구(砂丘) sand dune 산과바다 삼릉석(三稜石) facetted pebble 바람에 날려 오는 모래에 깎여 세 개의 모서리가 생긴 돌. 풍릉석(Ventifact)의 일종인데 풍릉석이란 흑요석(Obsidian), 처트 (Chert), 규암(Quartzite) 같은 단단한 암석이 계속되어 바람에 날리는 모래에 노출되어 한쪽 면이 깎이고 돌의 위치가 바뀌어 다른 면이 깎이는 등.. 2008. 3. 26. 버섯바위 (mushroom rock) 산과바다 버섯바위 [mushroom rock] 대만에 있는 버섯바위(이쁜 소영이 2007년 여름에) 버섯바위 버섯 모양으로 생긴 주로 사막에서 볼 수 있는 암석의 형태. 미암괴(迷岩塊) 또는 받침돌이라고도 부르며 일반적인 경우 바람에 의해 사막바닥을 날아다니는 모래와 먼지가 수 천 년에 걸쳐 암석의 아래 부분.. 2008. 3. 25. 漢浦弄月(한포농월) / 이색(李穡) 산과바다 漢浦弄月 (한포농월)/이색(李穡) 日落沙逾白 (일락사유백) 해 질녁에 모래사장 더욱 희고 雲移水更淸 (운이수경청) 구름 지나가니 강물이 한결 맑다 高人弄明月 (고인농명월) 고고한 선비 밝은 달과 노니는데 只欠紫鸞苼 (지흠자란생) 다만 피리소리 없는 것이 한이다 고려말.. 2008. 3. 24. 여러가지 낚시 줄 묶기 산과바다 낚시 줄묶기 1. 꽈배기 묶기 2. 줄이음-안전줄 이음, 더블줄 이음, 간이묶음, 특수줄 이름 3. 현장에서 바늘 바깥돌리기 묶음 4. 묶음 고리 5. 가짓줄 연결 6. 끝대 원줄 묶기 산과바다 이계도 2008. 3. 23. 볼락 낚시(봄철) 산과바다 봄철 볼락(뽈라구) 낚시 봄철 볼락 낚시 봄 볼락낚시 시즌은 늦어도 3월 중순부터는 본격적인 레이스에 들어갈 모든 준비는 완료되었다. 벌써 카운트다운에 들어간 분위기라 시즌이 열리는 건 시간문제다. 볼락낚시는 무척 아기자기하다. 화끈한 손맛은 없지만, 잔재미는 어떤 어종도 따라올 수 없을 정도다. 그러나 볼락낚시가 마냥 수월한 건 아니다. 무작정 덤벼들어선 백전백패. 볼락에게 희롱만 당한다. 그렇다고 대단히 어렵지도 않다. 몇 가지만 알면 다른 어떤 낚시보다 쉽다. 알면 쉽고, 모르면 어려운 볼락낚시, 올해는 제대로 알고 시작해 보자. 먼바다에서 입질 시작, 순식간에 내만권으로 봄 볼락낚시는 누구나 부담 없이 쉽게 찾을 수 있는 내만권 섬이나 방파제에서 많이 이뤄진다. 하지만 실제로 이런 내만권.. 2008. 3. 23. 볼락 채비 가지바늘 묶기 산과바다 가지바늘 묶기 가지바늘은 마릿수로 직결된다 볼락낚시에서는 외바늘채비보다 가지바늘채비가 많이 쓰인다. 입질이 시작되면 연타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꺼번에 두마리 이상 낚을 수 있는 가지바늘채비가 효과적인 것이다. 엉킬 확률은 높지만 속전속결로 뽑아 낼때는 가지바늘을 3개 이상 묶어 쓰기도 한다. 가지바늘채비는 세발도래를 쓰면 엉킬 확률이 적고 목줄을 그대로 묶어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가장 편하게 묶어 쓸 수 있다. 예민한 채비가 조과 좌우 ‘볼락은 낚는 게 아니라 꼬신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볼락이란 물고기가 매우 겁이 많고 경계심이 강하므로 아무 채비에나 미끼만 달고 던져 놓아선 낚기 어렵고, 예민한 채비로 입질을 유도해야만 낚을 수 있다는 말이다. 특히 봄철엔 볼락의 경계심이 매우.. 2008. 3. 17. 충주 중앙탑 산과바다 충주 중앙탑(충주 탑평리 7층 석탑) 위치 충북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 11 2008.2.10. 산과바다 홀로 국보 제6호로서 신라 원성왕 12년에 건립되었다고 하며 중앙탑은 신라탑 중 유일한 7층 석탑으로 통일신라기에 우리나라의 중앙에 세워져 '중앙탑'이라고 한다. 건립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 2008. 3. 10. 대둔산 등산 산과바다 대둔산(879m) 등산 위치 : 전북 완주군, 충남 금산군, 논산시 2008.3.1. 코스-대둔산주차장-금강계곡-동심정휴게소-동심바위-전망대-약수정-마천대 정상(878m)-하산은 역순(천천히 쉬엄쉬엄 약5시간) 산과바다(이계도)는 선재(한병국)님과 동행하여 대둔산 가는 길-대통고속도로-추부IC-.. 2008. 3. 2. 톳 채취-녹미채(廘尾菜) 산과바다 톳 채취-녹미채(廘尾菜) 톳을 채취하고 2008.2.20. 산과바다(이계도)는 선재(한병국)님과 동행하여 바다가 좋아 나갔다가 톳 채취하고 썰물을 기다리며 잠시 원시인이 되어 굴을 돌로찍어 먹는다. (선재님에게 이것이 굴이라고 알려주고 돌로두드려 까서 먹으며 따먹으라 했더니 처음 먹어본다.. 2008. 2. 29. 최영장군 사당(충남 홍성군) 산과바다 최영장군 사당을 둘러보고 최영장군 사당 위치 : 충남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 2008.2.24. 산과바다 동반하여 충남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는 고려 공민왕 때 최영 장군이 1316년에 출생한 영지이다. 노은리 삼봉산정에 있던 무민공의 사우는 어느 때 철거 되었는지 기록이 없고 1995년 말 삼봉산정에 .. 2008. 2. 29. 홍주 의사총(洪州 義士塚)을 둘러보고 산과바다 洪州 義士塚을 둘러보고 홍주 의사총 위치 : 충남 홍성군 홍성읍 대교리 12 문화재 정보 : 사적 431호 2008.2.24. 산과바다 동반하여 이곳은 일제의 강압으로 을사조약이 체결된후, 전참판 민종식이 중심이된 의병이 홍주성에서 일본군에 대항하여 싸우다 순국한 수백명의 유해가 합장되어 있는 .. 2008. 2. 27. 萬海 한용운(韓龍雲)선생 생가지에 가보다. 산과바다 한용운선생 생가지 2008. 2. 24.산과바다 동반하여위치 :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 492 문화재 정보 : 시도기념물 75호 승려이며 시인인 한용운(1879∼1944) 선생이 태어난 곳이다. 선생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으로 독립운동가로도 활동했으며 호는 만해(萬海)이다. 1919년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분으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 체포되어 3년형을 받았다. 일제에 대항하는 단체였던 신간회를 주도적으로 결성하였는데, 이 신간회는 후에 학생 의거와 전국적인 민족 운동으로 전개되고 추진되었다. 저서로『님의침묵』『불교대전』등을 남겼으며 그의 사후인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이 수여되었다. 이어 생가 좌측 뒷편에 사당과 삼문을 신축하였으며, 사.. 2008. 2. 27. 김좌진장군(金佐鎭將軍) 생가지(生家址)에 가보다. 산과바다김좌진장군(金佐鎭將軍) 生家址충남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330-1외 문화재 정보 : 시도기념물 76호 2008. 2. 24.산과바다 동반하여 다녀옴백야 김좌진(1889∼1930) 장군이 살았던 곳이다. 선생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으로 대한제국 후기의 독립운동가이다. 1905년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된 후 청년학우회 등의 간부를 지냈고, 자금을 모으다가 체포되어 3년간 복역한 후 1917년 만주로 망명하였는데, 이후 13년간 평생을 항일전투에 몸바쳤다. 1920년 10월 청산리전투에서 일본군을 섬멸하였는데 이것이 독립 전투상 승리의 금자탑을 세운 일로 기록되는 청산리전투이다. 1929년 정신, 이붕해 등과 함께 한족총연합회를 조직하여 주석에 취임하고, 만주에 거주하는 동포의 교육과 민생에.. 2008. 2. 27. 남연군묘(南延君墓) 산과바다 남연군묘(南延君墓) 위치: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가야산에 있음 여행일: 2008.2.24. 이계도 박종규 홍순호 박상기(부부동반) 남연군(南延君 1788년-1836년)은 조선시대의 왕족이다. 본관은 전주. 성은 이(李), 이름은 구(球)이다. 인조의 셋째 아들인 인평대군(麟平大君)의 7대손으로, .. 2008. 2. 27. 우리의 만남은 산과바다 우리의 만남은 이계도 박종규 홍순호 박상기(부부동반) 2008.2.23.-24. 남당항-덕산온천-남연군묘 우리의 만남은 그리워 달려가서 잠시지만 반가웠고 변하는 우리모습 새로움에 희망 솟아 마음은 건강 잘 살펴 즐거움에 만나네. 이야기 꽃피우며 잔을 들어 정을 주고 벗님들 만났으.. 2008. 2. 25. 남당리 새조개-덕산온천 산과바다 우리의 만남 이계도 박종규 홍순호 박상기 (부부동반) 2008.2.23-24. 남당리-덕산세심천온천호텔-남연군묘 남당리 가는길 1월18일부터 5월31일까지 새조개 축제기간이란다. 새조개 껍데기 남당리에서는 대하축제와 새조개축제가 주를 이루고, 천북에는 굴구를 전문으로 손님을 기다.. 2008. 2. 25. 이전 1 ··· 594 595 596 597 598 599 600 ··· 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