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017 38. 가난(家難)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8. 가난(家難)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도벽립家徒壁立‘빈한(貧寒)한 집안이라서 아무것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살림이 심(甚)히 구차(苟且)함을 이르는 말. 출전:한서(漢書)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가도사벽家徒四壁‘집안이 네 벽 뿐’이라는 뜻으로, 집안 형편(形便)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출전:한서(漢書)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가무담석家無擔石‘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 집에 조금도 없다.’는 뜻으로, 집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가빈낙백家貧落魄‘집안이 가난하여 혼백(魂魄)이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失意)에 빠짐. 출전:사기(史記)의 역.. 2025. 2. 5. 37. 외로움(孤獨)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7. 외로움(孤獨)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객창한등客窓寒燈「객창에 비치는 쓸쓸하게 보이는 등불(燈-)」이란 뜻으로, 외로운 나그네의 신세를 말함.고근약식孤根弱植‘외로운 뿌리, 약(弱)한 식목(植木)’이라는 뜻으로, 친척(親戚)이나 돌보는 사람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고독단신孤獨單身도와주는 사람 없이 외로운 처지(處地)에 있는 몸.고립무원孤立無援고립(孤立)되어 구원(救援)을 받을 데가 없음.고립무의孤立無依고립(孤立)되어 의지(依支)할 데가 없음.고성낙일孤城落日‘외딴 성(城)과 서산(西山)에 지는 해’라는 뜻으로, 세력(勢力)이 다하고 남의 도움이 없는 매우 외로운 처지(處地)를 이르는 말.고신원루孤臣冤淚임금의 사랑을 잃게 된 외.. 2025. 2. 5. 36. 위기(危機)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6. 위기(危機)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간두竿頭1. 장대(長-)나 대막대기 따위의 끝. 2.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長-) 위에 올라섰다.’는 뜻으로, 몹시 어렵고 위태(危殆)로운 지경(地境)을 이르는 말.간두지세竿頭之勢‘대막대기 끝에 선 형세(形勢)’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危殆)로운 형세(形勢)를 이르는 말.간불용발間不容髮1. ‘머리카락 하나 들어갈 틈도 없다.’는 뜻으로, 주도면밀(周到綿密)하여 빈틈이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말. 2. 사태(事態)가 매우 다급(多急)하여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말.간어제초間於齊楚약자(弱者)가 강자(強者)들 틈에 끼어서 괴로움을 겪음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의 주나라(周--) 말엽(末葉) .. 2025. 2. 4. 35. 원한(怨恨)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5. 원한(怨恨)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각골분한刻骨憤恨뼈에 사무칠 만큼 분(憤)하고 한(恨)스러움. 또는 그런 일.각골지통刻骨之痛뼈에 사무칠 만큼 원통(冤痛)함. 또는 그런 일.각골통한刻骨痛恨뼈에 사무칠 만큼 원통(冤痛)하고 한스러움. 또는 그런 일.견원지간犬猿之間‘개와 원숭이의 사이’라는 뜻으로, 사이가 매우 나쁜 두 관계(關係)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교아절치咬牙切齒몹시 분(憤)하여 이를 갊.권토중래捲土重來1. ‘땅을 말아 일으킬 것 같은 기세(氣勢)로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番) 실패(失敗)하였으나 힘을 회복(回復ㆍ恢復)하여 다시 쳐들어옴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당나라(唐--) 두목(杜牧)의 오강정시(烏江亭詩)>에 .. 2025. 2. 4. 34. 한탄(恨歎)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4. 한탄(恨歎)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부소족취家富疎族聚「집이 부유(富裕)해지면 사이가 멀게 지내던 친척(親戚)들도 모여든다.」는 뜻으로, 인정(人情)의 야박(野薄)함을 이르는 말. 출전:신자(愼子)갈이천정渴而穿井‘목이 말라야 비로소 샘을 판다.’는 뜻으로, 자기(自己)가 급(急)해야 서둘러서 일을 함. 출전:설원(說苑)거세개탁擧世皆濁‘온 세상(世上)이 다 흐리다.’는 뜻으로, 지위(地位)의 높고 낮음을 막론(莫論)하고 모든 사람이 다 바르지 않음. 출전:굴원(屈原)의 어부사(漁父辭) 유래 격세지감隔世之感오래지 않은 동안에 몰라보게 변(變)하여 아주 다른 세상(世上)이 된 것 같은 느낌.고려공사삼일高麗公事三日‘고려(高麗)의 정책(政策)이나 법.. 2025. 2. 4. 33. 교훈(敎訓)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3. 교훈(敎訓)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빈사양처家貧思良妻‘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窮塞)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內助)의 필요성(必要性)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는 말.가빈즉사양처家貧則思良妻‘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窮塞)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內助)의 필요성(必要性)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는 말. 출전:십팔사략(十八史略)개과천선改過遷善지난날의 잘못을 고치어 착하게 됨.거안사위居安思危평안(平安)할 때에도 위험(危險)과 곤란(困難)이 닥칠 것을 생각하며 잊지말고 미리 대비(對備)해야 함. 출전: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경궁지조驚弓之鳥‘한 번.. 2025. 2. 4. 32. 배신(背信)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2. 배신(背信)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구향리폐家狗向裏吠「집에서 기르는 개가 집 안쪽을 향(向)해 짖는다.」는 뜻으로, 은혜(恩惠)를 원수(怨讐)로 갚음을 이르는 말.간명범의干名犯義명분(名分)을 거스르고 의리(義理)를 어기는 행위(行爲).객반위주客反爲主‘손이 도리어 주인(主人) 노릇을 한다.’는 뜻으로, 부차적(副次的)인 것을 주(主)된 것보다 오히려 더 중요(重要)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견리망의見利忘義눈앞의 이익(利益)을 보면 탐내어 의리(義理)를 저버림.망은배의忘恩背義은혜(恩惠)를 잊고 의리(義理)를 배반(背反)함.배부기가背夫棄家남편(男便)을 배반(背反)하고 집에서 나와 버림.배부도주背夫逃走남편(男便)을 배반(背反)하고 도망(逃亡)감.배은망.. 2025. 2. 4. 31. 우연(偶然)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1. 우연(偶然)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맹귀부목盲龜浮木‘눈먼 거북이 우연(偶然)히 뜬 나무를 붙잡았다.’는 뜻으로, 어려운 형편(形便)에 우연(偶然)히 행운(幸運)을 얻게 됨을 이르는 말.맹귀우목盲龜遇木‘눈먼 거북이 우연(偶然)히 뜬 나무를 붙잡았다.’는 뜻으로, 어려운 형편(形便)에 우연(偶然)히 행운(幸運)을 얻게 됨을 이르는 말.무망지복毋望之福뜻하지 않은 복(福), 즉 우연(偶然)한 복(福).불기이회不期而會뜻하지 아니한 때에 우연(偶然)히 서로 만남.사공중곡射空中鵠‘무턱대고 쏜 화살이 과녁에 맞았다.’는 뜻으로, 멋모르고 한 일이 우연(偶然)히 들어맞아 성공(成功)하였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우연지사偶然之事우연(偶然)한 일.주장낙.. 2025. 2. 4. 30. 이중성(二重性)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0. 이중성(二重性)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슬추연加膝墜淵「무릎에 앉혀 귀여워하거나 연못에 빠뜨린다.」는 뜻으로, 사랑과 미움을 기분(氣分)에 따라 나타냄으로써 그 언행(言行)이 예에 벗어남을 이르는 말. 출전:예기(禮記)견광狷狂뜻이 너무 커서 과장(誇張)이 심한 사람과 지식(知識)이 부족(不足)하여 너무 의리(義理)만 고집(固執)하는 사람에 대(對)하여, 모두 지나치게 양극단(兩極端)에 치우친 행동(行動)을 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이르는 말.견우미견양見牛未見羊‘소는 보고 양은 보지 않았다.’는 뜻으로, 무엇이나 보지 않은 것보다는 직접(直接) 눈으로 보고 들은 것에 대(對)하여 한층 더 생각하게 된다는 말. 유래 경낙과신輕諾寡信승낙(承諾)을 .. 2025. 2. 3. 29. 횡포(橫暴)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29. 횡포(橫暴)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렴주구苛斂誅求세금(稅金)을 가혹(苛酷)하게 거두어들이고, 무리(無理)하게 재물(財物)을 빼앗음. 출전:구당서(舊唐書) 유래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가혹(苛酷)한 정치(政治)는 호랑이(虎狼-)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혹독(酷毒)한 정치(政治)의 폐(弊)가 큼을 이르는 말. ≪예기(禮記)≫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유래 가호위假虎威「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寓話)」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強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2025. 2. 3. 28. 욕심(欲心)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28. 욕심(欲心)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계야목家鷄野鶩「집의 닭을 미워하고 들의 물오리를 사랑한다.」는 뜻으로, 일상(日常) 흔한 것을 피(避)하고 새로운 것, 진기(珍奇)한 것을 존중(尊重)함을 비유(比喩ㆍ譬喩).가계야치家鷄野雉「집의 닭을 미워하고 들의 꿩을 사랑한다.」는 뜻으로, 아내를 소박(疏薄)하고 첩(妾)을 좋아함. 좋은 필적(筆跡)을 버리고 나쁜 필적(筆跡)을 좋아함. 출전:진중여서(晉中與書)각박성가刻薄成家「각박(刻薄)하여 집을 이룬다.」는 뜻으로, 몰인정(沒人情)하도록 인색(吝嗇)한 행위(行爲)로 부자(富者)가 됨을 이르는 말.각선구검刻船求劍융통성(融通性) 없이 현실(現實)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固執)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 2025. 2. 3. 27. 경박(輕薄)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27. 경박(輕薄)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동가서可東可西 ‘동쪽이라도 좋고 서쪽이라도 좋다.’는 뜻으로, 이렇게 할 만도 하고, 저렇게 할 만도 함.가동주졸街童走卒 1. 길거리에서 노는 철없는 아이. 2. 일정(一定)한 주견(主見)이 없는 길거리를 떠돌아다니는 무식(無識)한 사람들.가부자假夫子 ‘가짜(假-) 공자(孔子)’라는 뜻으로, 옛날 성균관(成均館) 유생(儒生)들 사이에서 유난히 공부(工夫)에 골몰(汨沒)하거나 언행(言行)을 성인(聖人)처럼 하는 이를 놀림조(--調)로 이르던 말.가슬추연加膝墜淵 「무릎에 앉혀 귀여워하거나 연못에 빠뜨린다.」는 뜻으로, 사랑과 미움을 기분(氣分)에 따라 나타냄으로써 그 언행(言行)이 예에 벗어남을 이르는 말. .. 2025. 2. 3. 26. 속담(俗談)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26. 속담(俗談)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야물감야물加也勿減也勿‘더하지도 덜하지도 말라’는 뜻으로, 한가위의 풍성(豐盛)한 만족(滿足)을 이르는 말. 출전: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간두과삼년竿頭過三年「대 끝에서도 3년(年)」이라는 속담(俗談)의 한역(漢譯)으로, 괴로움을 오랫동안 참고 지낸다는 말.간신월좌자석看晨月坐自夕「새벽달 보자고 초저녁부터 나와 앉아 있으랴.」라는 속담(俗談)의 한역(漢譯)으로, 주책없이 너무 일찍부터 서두름을 이르는 말.갈이천정渴而穿井‘목이 말라야 비로소 샘을 판다.’는 뜻으로, 자기(自己)가 급(急)해야 서둘러서 일을 함. 출전:설원(說苑)걸인연천乞人憐天‘거지가 하늘을 불쌍히 여긴다.’는 뜻으로, 불행(不幸)한 처지(處地)에 .. 2025. 2. 3. 25. 순리(順理)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25. 순리(順理)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상다반家常茶飯「집에서 먹는 평소(平素)의 식사(食事)」라는 뜻으로, 일상사(日常事)나 당연지사(當然之事)를 이르는 말.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집안이 화목(和睦)하면 모든 일이 잘 된다는 말. 출전:명심보감(明心寶鑑) 명심보감 15. 치가편(治家篇) 子孝雙親樂 家和萬事成 : 자식이 효도하면 두 어버이가 즐겁고, 집안이 화목하면 만사가 이루어지느니라.감정선갈甘井先竭‘물맛이 좋은 우물은 빨리 마른다.’는 뜻으로,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일찍 쇠(衰)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감천선갈甘泉先竭‘물맛이 좋은 샘은 먼저 마른다.’는 뜻으로, 재능(才能) 있는 사람이 일찍 쇠폐(衰廢)함을 비유(比喩ㆍ譬喩)해 이르는 말.. 2025. 2. 3. 24. 고향(故鄕)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24. 고향(故鄕)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서만금家書萬金‘가서(家書)는 만금(萬金)의 값어치가 있다.’는 뜻으로, 자기(自己) 집에서 온 편지(便紙ㆍ片紙)의 반갑고 소중(所重)함을 이르는 말. 출전:두보(杜甫)의 춘망시(春望時) 춘망(春望)-두보(杜甫) 烽火連三月(봉화연삼월) : 봉화가 연 이어 석 달을 계속하니 家書抵萬金(가서저만금) : 집안의 편지는 천만금 만큼이나 소중하구나. 가서저만금家書抵萬金‘가서(家書)는 만금(萬金)의 값어치가 있다.’는 뜻으로, 자기(自己) 집에서 온 편지(便紙ㆍ片紙)의 반갑고 소중(所重)함을 이르는 말. 출전:두보(杜甫) 유래 구수丘首1. ‘여우는 죽을 때 자기(自己)가 원래(元來ㆍ原來) 살던 산 쪽으로 머리를 둔다.. 2025. 2. 3. 23. 태평(太平)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23. 태평(太平)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급인족家給人足집집마다 살림이 부족(不足)함이 없이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豐足)해 살기 좋음. 출전:한서(漢書)강구연월康衢煙月번화(繁華)한 큰 길거리에서 달빛이 연기(煙氣)에 은은(隱隱)하게 비치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로, 태평(太平ㆍ泰平)한 세상(世上)의 평화(平和)로운 풍경(風景)을 이르는 말.강재지가康哉之歌온 천하(天下)가 태평(太平)함을 칭송(稱頌)한 노래. 출전:오지(吳志) 유래 격양가擊壤歌풍년(豐年)이 들어 농부(農夫)가 태평(太平ㆍ泰平)한 세월(歲月)을 즐기는 노래. 중국(中國)의 요임금(堯--) 때에, 태평(太平ㆍ泰平)한 생활(生活)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한다. 유래 격양노인擊壤老人태평(太.. 2025. 2. 3. 22. 불교(佛敎)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22. 불교(佛敎)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류타이伽留陀夷십육나한(羅漢)의 하나. 살갗이 검고 빛나므로 이같이 이름. 항상(恒常) 밤에 나와 걸식(乞食)하여 사람들이 두려워하므로 부처(部處)가 이를 금(禁)하였다 함. 「나쁜 짓을 많이 한 비구(比丘)」를 이르는 말.가문假門부처의 가르침을 받아서, 수행(修行)할 능력(能力)이 부족(不足)한 사람을 구제(救濟)하기 위하여 가설(假設)한 법문(法門).각수覺樹‘보리수(菩提樹)’를 달리 이르는 말. 석가모니(釋迦牟尼)가 그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은 나무라는 뜻이다.감응납수感應納受사람이 불심(佛心)을 느끼고 부처가 이에 응(應)함으로써 부처와 중생(衆生)이 긴밀(緊密)히 맺어지는 일.거기擧旗기를 쳐듦. 거기한량.. 2025. 2. 3. 21. 고전(古傳)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21. 고전(古傳)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급천병家給千兵제후(諸侯) 나라에 일천 군사(軍士)를 주어 그의 집을 호위(護衛)시킴.가도멸괵假道滅虢다른 나라의 길을 임시(臨時)로 빌려 쓰다가 나중에 그 나라를 쳐서 없앰. 유래감모변색鑑貌辨色모양(模樣)과 거동(擧動)으로 그 마음속을 분별(分別)할 수 있음.갑장대영甲帳對楹아름다운 갑장(甲帳)이 기둥을 대하였으니, 동방삭(東方朔)이 갑장(甲帳)을 지어 임금이 잠시(暫時) 정지(停止)하는 곳임.개차신발蓋此身髮이 몸의 털은 대개 사람마다 없는 이가 없음.거가비경車駕肥輕수레의 말은 살찌고 몸의 의복(衣服)은 가볍게 차려져 있음.거야동정鉅野洞庭거야(鋸野)는 태산(泰山) 동편에 있는 광야(廣野), 동정(洞庭)은 호.. 2025. 2. 2. 이전 1 2 3 4 5 ··· 6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