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한자성어(漢字成語)***/한자성어(漢字成語)

28. 욕심(欲心)에 관련된 漢字成語

by 산산바다 2025. 2. 3.

산과바다

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28. 욕심(欲心)에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漢字成語 의미 해석
가계야목 家鷄野鶩 집의 닭을 미워하고 들의 물오리를 사랑한다.는 뜻으로, 일상(日常) 흔한 것을 피()하고 새로운 것, 진기(珍奇)한 것을 존중(尊重)함을 비유(比喩譬喩).
가계야치 家鷄野雉 집의 닭을 미워하고 들의 꿩을 사랑한다.는 뜻으로, 아내를 소박(疏薄)하고 첩()을 좋아함. 좋은 필적(筆跡)을 버리고 나쁜 필적(筆跡)을 좋아함. 출전:진중여서(晉中與書)
각박성가 刻薄成家 각박(刻薄)하여 집을 이룬다.는 뜻으로, 몰인정(沒人情)하도록 인색(吝嗇)한 행위(行爲)로 부자(富者)가 됨을 이르는 말.
각선구검 刻船求劍 융통성(融通性) 없이 현실(現實)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固執)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배에서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位置)를 뱃전에 표시(標示)하였다가 나중에 배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여씨춘추(呂氏春秋)<찰금편(察今篇)>에 나오는 말이다.
각주구검 刻舟求劍 융통성(融通性) 없이 현실(現實)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固執)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배에서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位置)를 뱃전에 표시(標示)하였다가 나중에 배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여씨춘추(呂氏春秋)<찰금편(察今篇)>에 나오는 말이다.  유래 
갈택이어 竭澤而漁 연못의 물을 말려 고기를 잡는다.는 뜻으로, 일시적(一時的)인 욕심(欲心慾心) 때문에 먼 장래(將來)를 생각하지 않음. 출전:여씨춘추(呂氏春秋)
감탄고토 甘呑苦吐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자신(自身)의 비위(脾胃)에 따라서 사리(事理)의 옳고 그름을 판단(判斷)함을 이르는 말.
거어지탄 車魚之歎 수레와 고기가 없음을 탄식(歎息嘆息)한다.’는 뜻으로, 사람의 욕심(欲心慾心)에는 한()이 없음을 이름. 출전:사기(史記)
걸아득금 乞兒得錦 거지 애가 비단(緋緞)을 얻었다.’는 뜻으로, 제 분수(分數)에 넘치는 일을 지나치게 자랑함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견리망의 見利忘義 눈앞의 이익(利益)을 보면 탐내어 의리(義理)를 저버림.
견문발검 見蚊拔劍 모기를 보고 칼을 뺀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일에 크게 성내어 덤빔을 이르는 말. 출전:위략(魏略)  유래 
견물생심 見物生心 물건(物件)을 보면 욕심(慾心)이 생긴다.는 뜻.
견토지쟁 犬兔之爭 개와 토끼의 다툼이라는 뜻으로, 두 사람의 싸움에 제삼자(第三者)가 이익(利益)을 봄을 이르는 말.  유래 
경시호탈 輕施好奪 제 것을 남에게 잘 주는 이는 무턱대고 남의 것을 탐낸다는 말.
계학 溪壑 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 끝이 없는 욕심(欲心慾心)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계학지욕 溪壑之慾 끝이 없는 욕심(欲心慾心)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곤수유투 困獸猶鬪 위급(危急)할 때는 아무리 약()한 짐승이라도 싸우려고 덤빔. 출전: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과대황장 過大皇張 사물(事物)을 지나치게 떠벌림.
과분지망 過分之望 분수(分數)에 지나치는 욕망(慾望).
과불급 過不及 능력(能力) 따위가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한 상태(狀態)에 있음.
과유불급 過猶不及 정도(程度)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中庸)이 중요(重要)함을 이르는 말. 논어(論語)<선진편(先進篇)>에 나오는 말이다. 출전:논어(論語)의 선진편(先進篇) 論語(논어) 11. 先進(선진) 子曰 過猶不及 : 공자 말씀하셨다. '과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느니라.'
교각살우 矯角殺牛 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잘못된 점()을 고치려다가 그 방법(方法)이나 정도(程度)가 지나쳐 오히려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유래 
교왕과직 矯枉過直 굽은 것을 바로잡으려다가 정도(程度)에 지나치게 곧게 한다.’는 뜻으로, 잘못된 것을 바로잡으려다가 너무 지나쳐서 오히려 나쁘게 됨을 이르는 말. 출전:한서(漢書)  유래 
구미속초 狗尾續貂 담비 꼬리가 모자라 개의 꼬리로 잇는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부로 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훌륭한 것 뒤에 보잘것없는 것이 뒤따름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진서(晉書)의 조왕륜전(趙王倫傳)
구즉득지 사즉실지 求則得之 舍則失之 ()하면 얻고 놓으면 잃는다.’는 뜻으로, 자신(自身)의 분수(分數)에 맞게 행동(行動)하라는 말임. 출전:맹자(孟子)의 진심장구(盡心章句) 孟子(맹자) 6. 乃若其情(내약기정) 曰求則得之(왈구칙득지)하고 : 구하면 얻고 舍則失之(사칙실지)라하니 : 버려두면 잃어버린다.’고 말하는 것이다. 孟子(맹자) 3. 求則得之(구칙득지) 孟子曰求則得之(맹자왈구칙득지)하고 : 맹자가 말하기를 구하면 얻게 되고 舍則失之(사칙실지)하나니 : 버려두면 잃게 되니
굴묘편시 掘墓鞭屍 ()를 파헤쳐 시체(屍體)에 매질을 한다.’는 뜻으로, 통쾌(痛快)한 복수(復讐)나 지나친 행동(行動)을 일컫는 말. 출전:오자서(伍子胥)  유래 
궁구막추 窮寇莫追 ()할 곳 없는 도적(盜賊)을 쫓지 말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한 지경(地境)에 있는 사람을 모질게 다루면 해()를 입으니 건드리지 말라는 말. 출전:손자(孫子)
궁구물박 窮寇勿迫 ()할 곳 없는 도적(盜賊)을 쫓지 말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한 지경(地境)에 있는 사람을 모질게 다루면 해()를 입으니 건드리지 말라는 말.
궁구물추 窮寇勿追 ()할 곳 없는 도적(盜賊)을 쫓지 말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한 지경(地境)에 있는 사람을 모질게 다루면 해()를 입으니 건드리지 말라는 말. 출전:손자(孫子)
궁서막추 窮鼠莫追 ()할 곳 없는 쥐를 쫓지 말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한 지경(地境)에 있는 사람을 모질게 다루면 해를 입으니 건드리지 말라는 말.
권모술수 權謀術數 1. 목적(目的) 달성(達成)을 위()해서는 인정(人情)이나 도덕(道德)을 가리지 않고 권세(權勢)와 모략(謀略) 중상(中傷) () 갖은 방법(方法)과 수단(手段)을 쓰는 술책(術策). 2. 목적(目的)을 위()해 남을 교묘(巧妙)하게 속이는 모략(謀略)이나 술수(術數). 3. 상황(狀況)에 따라 능수능란(能手能爛)하게 대처(對處)하는 수완(手腕).
권모술책 權謀術策 1. 목적(目的) 달성(達成)을 위()해서는 인정(人情)이나 도덕(道德)을 가리지 않고 권세(權勢)와 모략(謀略), 중상(中傷) () 갖은 방법(方法)과 수단(手段)을 쓰는 술책(術策). 2. 목적(目的)을 위()해 남을 교묘(巧妙)하게 속이는 모략(謀略)이나 술수(術數). 3. 상황(狀況)에 따라 능수능란(能手能爛)하게 대처(對處)하는 수완(手腕).
권수 權數 권모술수(權謀術數)의 준말.
권술 權術 권모술수(權謀術數)의 준말.
금미지취 金迷紙醉 금종이(--)에 정신(精神)이 미혹(迷惑)되고 취한다.’는 뜻으로, 사치(奢侈)스런 생활(生活)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유래 
기우 杞憂 앞일에 대해 쓸데없는 걱정을 함. 또는 그 걱정. 옛날 중국(中國) 기나라(--)에 살던 한 사람이 만일(萬一) 하늘이 무너지면 어디로 피()해야 좋을 것인가?’ 하고 침식(寢食)을 잊고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출전:열자(列子)의 천서편(天瑞篇)  유래 
기인우천 杞人憂天 중국(中國)의 기나라(--) 사람이 하늘이 무너질까봐 침식(寢食)을 잊고 근심, 걱정하였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걱정을 나타냄. 출전:열자(列子)의 천서편(天瑞篇) 유래 
기인지우 杞人之憂 기나라(--) 사람의 군걱정이란 뜻으로, 곧 쓸데없는 군걱정, 헛걱정, 무익(無益)한 근심을 말함. 출전:열자(列子)의 천서편(天瑞篇)  유래 
노서소미 老鼠燒尾 늙은 쥐가 꼬리는 태운다.’는 뜻으로, 재능(才能)이 없으면서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함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출전:손광헌(孫光憲)의 북몽쇄언(北夢瑣言)  유래 
노승발검 怒蠅拔劍 성가시게 구는 파리를 보고 화()가 나서 칼을 뺀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일에 화()를 내거나 또는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않게 커다란 대책(對策)을 세움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유래 
농과성진 弄過成嗔 장난도 지나치면 노염을 사게 됨을 이르는 말.
농교성졸 弄巧成拙 지나치게 솜씨를 부리다가 도리어 서툴게 됨을 이르는 말.
득롱망촉 得隴望蜀 ()을 얻고서 촉()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滿足)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欲心慾心)을 부리는 경우(境遇)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가 농() 지방(地方)을 평정(平定)한 후()에 다시 촉() 지방(地方)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由來)한다출전:삼국지(三國志)  유래 
망자계치 亡子計齒 죽은 자식(子息) 나이 세기라는 뜻으로, 이미 그릇된 일은 생각하여도 아무 소용(所用)이 없음을 이르는 말.
망촉 望蜀 ()을 얻고서 촉()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滿足)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欲心慾心)을 부리는 경우(境遇)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가 농() 지방(地方)을 평정(平定)한 후()에 다시 촉() 지방(地方)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由來)한다.
망촉지탄 望蜀之歎 () 땅을 얻고 싶어 하는 탄식(歎息嘆息)’이라는 뜻으로, 인간(人間)의 욕심(慾心)은 한이 없음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명주탄작 明珠彈雀 새를 잡는 데 구슬을 쓴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탐()내다가 큰 것을 손해(損害) 보게 됨을 이르는 말.
몽매지간 夢寐之間 잠을 자면서 꿈을 꾸는 동안이라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좀처럼 잊지 못함이나 이룰 수 없는 일에 너무 지나치게 몰두(沒頭)함을 이르는 말.
무염지욕 無厭之慾 만족(滿足)할 줄 모르는 끝없는 욕심(慾心). 한이 없는 욕심(慾心).
문정경중 問鼎輕重 ()의 경중(輕重)을 묻는다.’는 뜻으로, 천하(天下)를 빼앗으려는 속셈이나 남의 실력(實力)을 의심(疑心)하는 행위(行爲)에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출전: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유래 
문필도적 文筆盜賊 남의 글이나 저술(著述)을 베껴 마치 제가 지은 것처럼 써먹는 사람.
미혈전설 米穴傳說 ()을 팔 때마다 매번 한 끼를 먹을 만큼씩의 쌀이 나온다,는 말로 탐욕(貪慾)을 경계(警戒)하는 내용(內容)의 전설(傳說).  유래 
반계곡경 盤溪曲徑 서려 있는 계곡(谿谷)과 구불구불한 길이라는 뜻으로, 일을 순서(順序)대로 정당(正當)하게 하지 아니하고 그릇된 수단(手段)을 써서 억지로 함을 이르는 말.
방휼지세 蚌鷸之勢 도요새가 조개를 쪼아 먹으려고 부리를 넣는 순간(瞬間) 조개가 껍데기를 닫고 놓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대립(對立)하는 두 세력(勢力)이 잔뜩 버티고 맞서 겨루면서 조금도 양보(讓步)하지 아니하는 형세(形勢)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유래 
방휼지쟁 蚌鷸之爭 도요새가 조개와 다투다가 다 같이 어부(漁夫漁父)에게 잡히고 말았다.’는 뜻으로, 대립(對立)하는 두 세력(勢力)이 다투다가 결국(結局)은 구경하는 다른 사람에게 득()을 주는 싸움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전국책(戰國策)의 연책(燕策)  유래 
배수거신 杯水車薪 한 잔의 물을 한 수레의 장작불에 끼얹는다.’는 뜻으로, 아무 소용(所用) 없음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또는 능력(能力)이 모자라 도저히 일을 감당(堪當)할 수 없음.
배수구거 杯水救車 한 잔의 물로 수레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려 한다.’는 뜻으로, 능력(能力)이 도저히 미치지 않아 불가능(不可能)함에도 불구(不拘)하고 어리석은 짓을 한다는 말. 출전:맹자(孟子) 孟子(맹자) 18. 仁勝不仁(인승불인) 猶以一杯水(유이일배수): 마치 한 잔의 물을 가지고 救一車薪之火也(구일거신지화야): 수레 한 차에 실려 있는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는 것과도 같다.
배수여신 杯水輿薪 잔의 물로 수레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려 한다.’는 뜻으로, 능력(能力)이 도저히 미치지 않아 불가능(不可能) 함에도 불구(不拘)하고 어리석은 짓을 한다는 말. 출전:맹자(孟子)
배중사영 杯中蛇影 술잔 속의 뱀 그림자라는 뜻으로, 자기(自己) 스스로 의혹(疑惑)된 마음이 생겨 고민(苦悶)하는 일. 또는 아무것도 아닌 일에 의심(疑心)을 품고 지나치게 근심함. 출전:진서(晉書)의 악광전(樂廣傳)  유래 
병탄 竝呑(倂呑) 남의 재물(財物)이나 다른 나라의 영토(領土)를 한데 아울러서 제 것으로 만듦.
복과재생 福過災生 ()이 너무 지나치면 도리어 재앙(災殃)이 생긴다는 말.
부달시변 不達時變 시대(時代)의 흐름에 따르지 못한다.는 뜻으로, 지나치게 완고(頑固)하여 융통성(融通性)이 없음.
비기윤신 肥己潤身 1. 제 몸만 살찌게 함. 2. 제 이익(利益)만 취().
사가망처 徙家忘妻 이사(移徙)를 갈 때 아내를 잊고 두고 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잘 잊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공자가어(孔子家語)의 현군편(賢君篇)
사복 私腹 사사(私事)로운 배라는 뜻에서, 사사로운 이익과 욕심 즉, 사리사욕(私利私慾)을 뜻하는 말.
사어지천 射魚指天 물고기를 잡으려고 하늘을 향()해 쏜다.’는 뜻으로, 불가능(不可能)한 일을 하려 함을 이르는 말.
사택망처 徙宅忘妻 집을 옮기며 아내를 잊어 버린다.’는 뜻으로, 정신(精神)이 나간 사람처럼 소중(所重)한 것을 잊어버린다는 말. 출전:공자가어(孔子家語)의 현군편(賢君篇)
상사실지빈 相士失之貧 뛰어난 선비도 지나치게 가난하면 세상(世上)이 알아주지 않아서 활동(活動)할 길이 열리기 어렵다는 말.
상산구어 上山求魚 () 위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到底)히 불가능(不可能)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선어무망 羨魚無網 그물이 없으면서 고기를 얻고 싶어한다.는 뜻으로, 얻을 수단(手段)이 없으면서 무엇을 갖고 싶어 함.
소탐대실 小貪大失 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음. 출전:북제유주(北齊幼主)의 신론(新論)
수서양단 首鼠兩端 쥐가 구멍에서 머리를 내밀고 나갈까 말까 망설인다는 뜻으로, 머뭇거리며 진퇴(進退)나 거취(去就)를 정()하지 못하는 상태(狀態)를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  유래 
수주 守株 한 가지 일에만 얽매여 발전(發展)을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중국(中國) 송나라(--)의 한 농부(農夫)가 우연(偶然)히 나무 그루터기에 토끼가 부딪쳐 죽은 것을 잡은 후(), 또 그와 같이 토끼를 잡을까 하여 일도 하지 않고 그루터기만 지키고 있었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한비자(韓非子)<오두편(五蠹篇)>에 나오는 말이다.
수주대토 守株待兔 한 가지 일에만 얽매여 발전(發展)을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중국(中國) 송나라(--)의 한 농부(農夫)가 우연(偶然)히 나무 그루터기에 토끼가 부딪쳐 죽은 것을 잡은 후(), 또 그와 같이 토끼를 잡을까 하여 일도 하지 않고 그루터기만 지키고 있었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한비자(韓非子)<오두편(五蠹篇)>에 나오는 말이다.  유래 
수주탄작 隋珠彈雀 수후(隋侯)의 구슬로 참새를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얻으려다 큰 것을 손해(損害) 보게 됨을 이르는 말.  유래 
수즉다욕 壽則多辱 오래 살수록 그만큼 욕()됨이 많음을 이르는 말. 장자(莊子)<천지편(天地篇)>에 나오는 말이다.  유래 
수지청즉무어 水至淸則無魚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없다.는 뜻으로, 사람이 너무 야박(野薄)하거나 지나치게 똑똑하면 다른 사람들이 그를 두려워하고 피()하여 벗을 사귀지 못함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로 쓰임.
슬갑도적 膝甲盜賊 남의 시문(詩文)을 표절(剽竊)하여 쓰는 사람을 일컫는 말.
시훼 豕喙 돼지 주둥아리라는 뜻으로, 인상(人相)에 욕심(欲心慾心)이 많아 보이는 사람을 이르는 말.
식자우환 識字憂患 글자를 아는 것이 오히려 근심이 된다.는 뜻으로, 알기는 알아도 똑바로 잘 알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그 지식(知識)이 오히려 걱정거리가 됨. 도리(道理)를 알고 있는 까닭으로 도리어 불리(不利)하게 되었음을 이름.
신화 身火 몸을 태우는 불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끝없는 욕심(欲心慾心)을 이르는 말.
아랑 餓狼 굶주린 이리라는 뜻으로, 무엇에나 탐()을 내는 사람을 이르는 말.
아전인수 我田引水 자기(自己) 논에 물 대기라는 뜻으로, 자기(自己)에게만 이()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行動)함을 이르는 말.  유래 
양득 兩得 1.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익(利益)을 얻음. 2. 장기(將棋將碁)에서, 자기(自己) 말 하나를 죽이고 상대(相對)의 말 둘을 잡음. 또는 그런 수.
어부지리 漁夫之利 두 사람이 이해관계(利害關係)로 서로 싸우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가로챈 이익(利益)을 이르는 말. 도요새가 무명조개의 속살을 먹으려고 부리를 조가비 안에 넣는 순간(瞬間) 무명조개가 껍데기를 꼭 다물고 부리를 안 놔주자, 서로 다투는 틈을 타서 어부(漁夫漁父)가 둘 다 잡아 이익(利益)을 얻었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출전:전국책(戰國策)  유래 
어옹지리 漁翁之利 고기 잡는 어르신의 이익(利益)’이란 뜻으로, 쌍방(雙方)이 다투는 틈을 타서, 3 자가 애쓰지 않고 이득(利得)을 보는 경우(境遇)를 가리키는 말.
어인득리 漁人得利 고기 잡는 사람이 이익(利益)을 얻음.’을 뜻하는 말로, 쌍방(雙方)이 다투는 틈을 타서, 3 자가 애쓰지 않고 이득(利得)을 보는 경우(境遇)를 가리키는 말.
어인지공 漁人之功 두 사람이 이해관계(利害關係)로 서로 싸우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가로챈 이익(利益)을 이르는 말. 도요새가 무명조개의 속살을 먹으려고 부리를 조가비 안에 넣는 순간(瞬間) 무명조개가 껍데기를 꼭 다물고 부리를 안 놔주자, 서로 다투는 틈을 타서 어부(漁夫漁父)가 둘 다 잡아 이익(利益)을 얻었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어인지리 漁人之利 고기 잡는 사람의 이익(利益)’이란 뜻으로, 쌍방(雙方)이 다투는 틈을 타서, 3 자가 애쓰지 않고 이득(利得)을 보는 경우(境遇)를 가리키는 말.
언과기실 言過其實 말이 실제(實際)보다 지나치다.는 뜻으로, 말만 꺼내 놓고 실행(實行)이 부족(不足)함을 이르는 말.
여호모피 與虎謀皮 호랑이와 호랑이 가죽을 구()할 일을 도모하다.’는 뜻으로, 근본적(根本的)으로 이룰 수 없는 일을 이르는 말.
여호모피 與狐謀皮 여우하고 여우의 모피(毛皮)를 벗길 모의(謀議)를 한다.’는 뜻으로, 이해(利害)가 상충(相衝)하는 사람하고 의논(議論)하면 결코 이루어지지 않음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연목구어 緣木求魚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到底)히 불가능(不可能)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맹자(孟子)의 양혜왕장구상편(梁惠王章句上篇) 孟子(맹자) 7. 齊桓晉文(제환진문) 緣木求魚(연목구어): 나무를 잡고 물고기를 구하는 것은, 雖不得魚(수불득어): 비록 고기를 잡지 못하는 것뿐  유래 
예승즉이 禮勝則離 예의(禮儀)가 지나치면 도리어 사이가 멀어짐.
완화자분 玩火自焚 불을 가지고 놀다가 자신(自身)을 태워 버린다.’는 뜻으로, 무모(無謀)한 일로 남을 해치려다 결국(結局) 자신(自身)이 해()를 입게 됨.  유래 
욕교반졸 欲巧反拙 잘 만들려고 너무 기교(技巧)를 다하다가 도리어 졸렬(拙劣)한 결과(結果)를 보게 되었다.’는 뜻으로, 너무 잘하려 하면 도리어 잘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유리시시 惟利是視 의리(義理)의 유무(有無)는 따지지 않고 이해(利害) 관계(關係)에만 관심(關心)을 가짐.
육지행선 陸地行船 육지(陸地)에서 배를 저으려 한다.’는 뜻으로, 안 되는 일을 억지로 하려고 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이란격석 以卵擊石 달걀로 돌을 친다는 뜻으로, 아주 약()한 것으로 강()한 것에 대항(對抗)하려는 어리석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이란투석 以卵投石 달걀로 돌을 친다는 뜻으로, 아주 약()한 것으로 강()한 것에 대항(對抗)하려는 어리석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순자(荀子)
이주탄작 以珠彈雀 귀중(貴重)한 구슬로 새를 쏜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얻으려다 큰 것을 손해(損害) 보게 됨을 이르는 말. 출전:장자(莊子)
이하조리 以蝦釣鯉 새우로 잉어를 낚는다.는 뜻으로, 적은 밑천을 들여 큰 이익(利益)을 얻음. 출전:순오지(旬五志)
일거양득 一擧兩得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익(利益)을 얻음.  유래 
일거이득 一擧二得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익(利益)을 얻음.
일로영일 一勞永逸 1. 한때 고생(苦生)하고 오랫동안 안락(安樂)을 누림. 2. 적은 노고(勞苦)의 보람으로 오랜 이익(利益)을 봄.
일석이조 一石二鳥 돌 한 개를 던져 새 두 마리를 잡는다.’는 뜻으로, 동시(同時)에 두 가지 이득(利得)을 봄을 이르는 말.
입화습률 入火拾栗 불 속에 들어가서 밤을 줍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이익(利益)을 얻기 위()하여 큰 모험(冒險)을 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장협귀래호 長鋏歸來乎 장검(長劍)아 돌아가지 않겠느냐.’는 뜻으로, 만족(滿足)할 줄 모르는 인간(人間)의 욕망(欲望慾望)을 비유(比喩譬喩)한 말. 출전:사기(史記)
정위전해 精衛塡海 작은 새 정위(精衛)가 바다를 메우려 한다.’는 뜻으로, 가망(可望) 없을 일에 힘들임을 이르는 말. 또는 목적(目的)을 달성(達成)하기 위하여 온갖 고난(苦難)을 무릅쓰고 노력(努力). 출전:산해경(山海經)의 공산경(孔山經)  유래 
조장발묘 助長拔苗 빨리 자라라고 모를 뽑는다.’는 뜻으로, 빠른 성과(成果)를 보려고 무리(無理)하게 다른 힘을 더하여 도리어 그것을 해()치게 됨을 이르는 말. 출전:맹자(孟子)  유래 
주마간산 走馬看山 말을 타고 달리며 산천(山川)을 구경한다.’는 뜻으로, 자세(仔細子細)히 살피지 아니하고 대충대충 보고 지나감을 이르는 말. 출전:맹교(孟郊)의 등과후시(登科後詩)  유래 
지치득거 舐痔得車 남의 치질(痔疾)을 핥아 주고, 수레를 얻는다.는 뜻으로, 비열(卑劣)한 수단(手段)으로 권력(權力)이나 부귀(富貴)를 얻음을 이르는 말. 출전:장자(莊子)
초비수부 楚妃守符 초나라(--) 왕비(王妃)가 부()를 지킨다.’는 뜻으로, 명분(名分)에 사로잡혀 실()을 잃음을 이르는 말. 출전: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  유래 
칠실지우 漆室之憂 자기(自己) 분수(分數)에 넘치는 일을 근심함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노나라(--)에서 신분(身分)이 낮은 여자(女子)가 캄캄한 방()에서 나라를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유래 
탐소실대 貪小失大 작은 이익(利益)을 탐하여 큰 이익(利益)을 잃어버림.
평롱망촉 平隴望蜀 ()을 얻고서 촉()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滿足)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欲心慾心)을 부리는 경우(境遇)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가 농() 지방(地方)을 평정(平定)한 후()에 다시 촉() 지방(地方)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由來)한다.
한강투석 漢江投石 한강(漢江)에 돌 던지기라는 뜻으로, 지나치게 미미(微微)하여 아무런 효과(效果)를 미치지 못함을 이르는 말.
해망구실 蟹網俱失 게와 그물을 모두 잃었다.’는 뜻으로, 이익(利益)을 보려다가 도리어 밑천까지 잃음을 이르는 말.
홍로상일점설 紅爐上一點雪 1. 빨갛게 달아오른 화로(火爐) 위에 한 송이의 눈을 뿌리면 순식간(瞬息間)에 녹아 없어지는 데에서, ()를 깨달아 의혹(疑惑)이 일시(一時)에 없어짐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2. 사욕(私慾)이나 의혹(疑惑)이 일시(一時)에 꺼져 없어짐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속근사록(續近思錄)
홍로점설 紅爐點雪 빨갛게 달아오른 화로(火爐) 위에 한 송이의 눈을 뿌리면 순식간(瞬息間)에 녹아 없어지는 데에서, ()를 깨달아 의혹(疑惑)이 일시(一時)에 없어짐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사욕(私慾)이나 의혹(疑惑)이 일시(一時)에 꺼져 없어짐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화사첨족 畫蛇添足 뱀을 다 그리고 나서 있지도 아니한 발을 덧붙여 그려 넣는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군짓을 하여 도리어 잘못되게 함을 이르는 말. 출전:전국책(戰國策), 사기(史記)  유래 
휼방지쟁 鷸蚌之爭 도요새가 조개와 다투다가 다 같이 어부(漁夫漁父)에게 잡히고 말았다.’는 뜻으로, 대립(對立)하는 두 세력(勢力)이 다투다가 결국(結局)은 구경하는 다른 사람에게 득()을 주는 싸움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유래

 

28 한자성어 욕심.hwpx
0.11MB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