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한자성어(漢字成語)***/한자성어(漢字成語)

29. 횡포(橫暴)에 관련된 漢字成語

by 산산바다 2025. 2. 3.

산과바다

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29. 횡포(橫暴)에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漢字成語 의미 해석
가렴주구 苛斂誅求 세금(稅金)을 가혹(苛酷)하게 거두어들이고, 무리(無理)하게 재물(財物)을 빼앗음. 출전:구당서(舊唐書)  유래 
가정맹어호 苛政猛於虎 가혹(苛酷)한 정치(政治)는 호랑이(虎狼-)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혹독(酷毒)한 정치(政治)의 폐()가 큼을 이르는 말. 예기(禮記)<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유래 
가호위 假虎威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寓話),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強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가호위호 假虎威狐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寓話),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強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출전:서언고사(書言故事)
각목위리 刻木爲吏 나무를 깎아 관리(官吏)의 형상(形象形像)을 만든다.’는 뜻으로, 옥리(獄吏)를 심()히 미워해 이르는 말. 출전:한서(漢書)
갱유분서 坑儒焚書 중국(中國) 진나라(--)의 시황제(始皇帝)가 학자(學者)들의 정치적(政治的) 비판(批判)을 막기 위()하여 민간(民間)의 책() 가운데 의약(醫藥), 복서(卜筮), 농업(農業)에 관()한 것만을 제외(除外)하고 모든 서적(書籍)을 불태우고 수()많은 유생(儒生)을 구덩이에 묻어 죽인 일.
거조실당 擧措失當 모든 조치(措置)가 정당(正當)하지 않음. 출전:사기(史記)의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유래 
녹림호걸 綠林豪傑 푸른 숲속에 사는 호걸(豪傑)’이라는 뜻으로, 화적(火賊)이나 도둑을 달리 이르는 말.  유래 
도탄 塗炭 진구렁에 빠지고 숯불에 탄다.’는 뜻으로, 몹시 곤궁(困窮)하여 고통(苦痛)스러운 지경(地境)을 이르는 말.
도탄지고 塗炭之苦 진구렁에 빠지고 숯불에 타는 괴로움을 이르는 말. 서경(書經)<중훼지고편(仲虺之誥篇)>에 나오는 말이다. 書經(서경) 第二 仲虺之誥(중훼지고) 1~5
분서갱유 焚書坑儒 중국(中國) 진나라(--)의 시황제(始皇帝)가 학자(學者)들의 정치적(政治的) 비판(批判)을 막기 위()하여 민간(民間)의 책() 가운데 의약(醫藥), 복서(卜筮), 농업(農業)에 관()한 것만을 제외(除外)하고 모든 서적(書籍)을 불태우고 수()많은 유생(儒生)을 구덩이에 묻어 죽인 일. 출전:사기(史記)  유래 
불한이율 不寒而慄 춥지 아니한데 공포(恐怖)에 떨린다.는 뜻으로, 포악(暴惡)한 정치(政治)로 백성(百姓)들이 두려워하는 것을 이르는 말.
솔수식인 率獸食人 폭정(暴政)으로 백성(百姓)들에게 고통(苦痛)을 줌.  유래 
이록위마 以鹿爲馬 사슴을 말이라고 우겨댄다.’는 뜻으로, 윗사람을 기만(欺瞞)하고 권세(權勢)를 휘두름을 이르는 말.
지록위마 指鹿爲馬 윗사람을 농락(籠絡)하여 권세(權勢)를 마음대로 함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진나라(--)의 조고(趙高)가 자신(自身)의 권세(權勢)를 시험(試驗)하여 보고자 황제(皇帝) 호해(胡亥)에게 사슴을 가리키며 말이라고 한 데서 유래(由來)한다. 모순(矛盾)된 것을 끝까지 우겨서 남을 속이려는 짓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의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유래 
진화 秦火 중국(中國)의 시황제(始皇帝)가 유학(儒學)과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서적(書籍)을 불태운 일.
차호위호 借虎威狐 호랑이의 위세(威勢)를 빌려 허세(虛勢) 부리는 여우라는 뜻으로, 윗사람의 권위(權威)를 빌려 공갈(恐喝)하는 자()를 이르는 말. 남의 권세(權勢)를 빌어 뽐내는 것을 비유(比喩譬喩)한 말. 출전:전국책(戰國策)
취렴지신 聚斂之臣 지위(地位)를 이용(利用)하고 윗사람의 권세(權勢)에 기대어 백성(百姓)을 가혹(苛酷)하게 다루고, 세금(稅金)이나 뇌물(賂物)을 긁어모으는 신하(臣下). 출전:대학(大學) 大學(대학) 傳文10 治國平天下(치국평천하) 不畜聚斂之臣(불축취렴지신)하나니 : 취렴하는 신하를 기르지 아니한다. 與其有聚斂之臣(여기유취렴지신)으론 : 취렴하는 신하를 가질진댄 寧有盜臣(녕유도신)이라하니 : 차라리 도둑질하는 신하를 가질 것이다.”고 했으니,
침윤지언 浸潤之言 차차(次次) 젖어서 번지는 것과 같이 조금씩 오래 두고 하는 참소(讒訴譖訴)의 말.
침윤지참 浸潤之譖 차차(次次) 젖어서 번지는 것과 같이 조금씩 오래 두고 하는 참소(讒訴譖訴)의 말. 출전:논어(論語) 論語(논어) 12. 顔淵(안연) 子張聞明 子曰 浸潤之讒 : 자장이 밝음에 대해 묻자 공자 대답하셨다. '물방울이 스며들 듯 파고드는 참소와...
하월비상 夏月飛霜 여름철에도 서리가 내린다.’는 뜻으로, 포악무도(暴惡無道)함을 이르는 말.  유래 
호가호위 狐假虎威 남의 권세(權勢)를 빌려 위세(威勢)를 부림. 전국책(戰國策)<초책(楚策)>에 나오는 말로 여우가 호랑이(虎狼-)의 위세(威勢)를 빌려 호기(豪氣)를 부린다는 데에서 유래(由來)한다. 출전:전국책(戰國策)의 초책(楚策)  유래 

 

29 한자성어 횡포.hwpx
0.08MB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