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32. 배신(背信)에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 漢字成語 | 의미 해석 |
가구향리폐 | 家狗向裏吠 | 「집에서 기르는 개가 집 안쪽을 향(向)해 짖는다.」는 뜻으로, 은혜(恩惠)를 원수(怨讐)로 갚음을 이르는 말. |
간명범의 | 干名犯義 | 명분(名分)을 거스르고 의리(義理)를 어기는 행위(行爲). |
객반위주 | 客反爲主 | ‘손이 도리어 주인(主人) 노릇을 한다.’는 뜻으로, 부차적(副次的)인 것을 주(主)된 것보다 오히려 더 중요(重要)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
견리망의 | 見利忘義 | 눈앞의 이익(利益)을 보면 탐내어 의리(義理)를 저버림. |
망은배의 | 忘恩背義 | 은혜(恩惠)를 잊고 의리(義理)를 배반(背反)함. |
배부기가 | 背夫棄家 | 남편(男便)을 배반(背反)하고 집에서 나와 버림. |
배부도주 | 背夫逃走 | 남편(男便)을 배반(背反)하고 도망(逃亡)감. |
배은망덕 | 背恩忘德 | 남에게 입은 은덕(恩德)을 잊고 배반(背反)함. |
사중우어 | 沙中偶語 | ‘모래땅 위에서 남모르게 주고받는 말’이라는 뜻으로, 신하(臣下)가 몰래 모반(謀反)하려고 계책(計策)을 꾸미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한고조(漢高祖)가 공신(功臣) 이십여(二十餘) 명(名)에게 큰 벼슬을 주자, 벼슬을 받지 못한 다른 여러 장수(將帥)가 모래땅에 모여 모반(謀反)을 의논(議論)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출전:사기(史記) 유래 |
양호유환 | 養虎遺患 | ‘범을 길러서 화근(禍根)을 남긴다.’는 뜻으로, 화근(禍根)이 될 것을 길러서 후환(後患)을 당(當)하게 됨을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의 항우본기(項羽本紀) 유래 |
양호후환 | 養虎後患 | ‘범을 길러서 화근(禍根)을 남긴다.’는 뜻으로, 화근(禍根)이 될 것을 길러서 후환(後患)을 당(當)하게 됨을 이르는 말. |
은반위구 | 恩反爲仇 | 은혜(恩惠)가 도리어 원수(怨讐)가 됨을 이르는 말. |
인면수심 | 人面獸心 |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뜻으로, 마음이나 행동(行動)이 몹시 흉악(凶惡ㆍ兇惡)함을 이르는 말. 출전:한서(漢書) |
지부작족 | 知斧斫足 |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는 뜻으로, 믿는 사람에게서 배신(背信)당함을 비유(比喩ㆍ譬喩)해 이르는 말. 출전:순오지(旬五志) |
호서배 | 狐鼠輩 | ‘여우와 쥐의 무리’라는 뜻으로, 간사(奸邪)하고 못된 사람이나 무리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
산과바다 이계도
'***한자성어(漢字成語)*** > 한자성어(漢字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34. 한탄(恨歎)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4 |
---|---|
33. 교훈(敎訓)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4 |
31. 우연(偶然)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4 |
30. 이중성(二重性)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3 |
29. 횡포(橫暴)에 관련된 漢字成語 (0) | 2025.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