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寒山詩集 : 한산(寒山) 습득(拾得) 풍간(豊干) 詩
한산시(寒山詩) 080
《詩 三百三首 其八十》
徒勞說三史(도로설삼사) : 헛되이 수고롭게 역사를 설하고
浪自看五經(낭자간오경) : 시간을 허비하여 오경을 읽었네.
洎老檢黃籍(기로검황적) : 나이 들어 지난날의 공덕부를 살펴보니
依前住白丁(의전주백정) : 남은 날은 흰옷 입고 살아가야겠네.
筮遭連蹇卦(서조연건괘) : 점을 치면 힘든 건괘 잇따라 나와
生主虛危星(생주허위성) : 사는 동안 괴로움을 벗어날 수 없으니
不及河邊樹(불급하변수) : 황하 주변 나무들이 부럽기만 하네.
年年一度靑(연년일도청) : 해마다 한번은 꼭 푸르름 되찾으니
▶ 三史(삼사) : 《사기史記》, 《전한서前漢書》, 《후한서後漢書》
▶ 五經(오경) : 《시경詩經》, 《서경書經》, 《역경易經》, 《춘추春秋》, 《예기禮記》
▶ 黃籍(황적) : 동진東晉의 이주정권이 운영했던 호적제도로, 세금납부가 면제된 북래한족北來漢族의 ‘황적黃籍’과 강남 토착민 및 유랑민들의 ‘백적白籍’두 종류가 있었다.
▶ 白丁(白丁) : 벼슬살이를 하지 않은 일반 백성
▶ 連蹇卦(연건괘) : 건괘(蹇卦)는 감괘(坎卦)가 위에 있고 간괘(艮卦)가 아래에 있는 괘로서 수산건(水山蹇)이라고도 한다. 연건連蹇의 괘는 일이 제대로 되지 않을 운수를 지칭한다. 부담연건浮湛連蹇(=크게 불우한 일에 맞닥뜨리다.)이라는 사자성어도 있음
▶ 虛危星(허위성) : 고대 천문학의 28성수(星宿) 중에서 북방에 있는 별 두 개를 가리키는데 죽음과 울음, 기아와 병란(兵亂)을 뜻한다.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寒山詩集(寒山, 拾得, 豊干)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산시(寒山詩) 082 (0) | 2024.03.21 |
---|---|
한산시(寒山詩) 081 (0) | 2024.03.21 |
한산시(寒山詩) 079 (0) | 2024.03.21 |
한산시(寒山詩) 078 (0) | 2024.03.21 |
한산시(寒山詩) 077 (0) | 2024.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