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寒山詩集 : 한산(寒山) 습득(拾得) 풍간(豊干) 詩
한산시(寒山詩) 045
《詩 三百三首 其四五》
夫物有所用(부물유소용) : 대저 모든 사물은 쓸 곳이 있고
用之各有宜(용지각유의) : 쓰임에는 제각각 마땅함이 있나니
用之若失所(용지약실소) : 씀에 있어 만약 알맞음을 잃으면
一缺復一虧(일결부일휴) : 하나는 비고 또 하나는 모자란다.
圓鑿而方枘(원착이방예) : 둥근 구멍에 모난 말뚝을 박는 것
悲哉空爾爲(비재공이위) : 슬프도다. 부질없는 일이라서
驊騮將捕鼠(화류장포서) : 천리마로 쥐를 잡으려 하면
不及跛貓兒(불급파묘아) : 다리 다친 고양이만도 못하리라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寒山詩集(寒山, 拾得, 豊干)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산시(寒山詩) 047 (0) | 2024.03.20 |
---|---|
한산시(寒山詩) 046 (0) | 2024.03.20 |
한산시(寒山詩) 044 (0) | 2024.03.20 |
한산시(寒山詩) 043 (0) | 2024.03.20 |
한산시(寒山詩) 042 (0) | 2024.03.20 |
댓글